항목 ID | GC08900823 |
---|---|
한자 | 南楊州市廳 |
영어공식명칭 | Namyangju City Hall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경기도 남양주시 경춘로 1037[금곡동 185-10]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기훈 |
설립 시기/일시 | 1980년 - 남양주시청, 남양주군청 설치 |
---|---|
이전 시기/일시 | 1995년 - 남양주시청 남양주시 신청사 입주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95년 - 남양주시청 남양주군청을 남양주시 제2청사로 변경 |
최초 설립지 | 남양주군청 - 경기도 남양주시 지금동 159-7 |
현 소재지 | 남양주시 제1청사 - 경기도 남양주시 경춘로 1037[금곡동 185-10] |
현 소재지 | 남양주시 제2청사 - 경기도 남양주시 경춘로 522[다산동 3159-7] |
성격 | 공공기관 |
전화 | 031-592-4900 |
홈페이지 | https://www.nyj.go.kr |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있는 남양주시 관할 지방 자치 행정 기관.
[개설]
남양주시청은 지방자치단체인 경기도 남양주시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이다. 선거를 통하여 당선된 남양주시장이 시정을 주관하고 남양주시의회에서 결정된 정책을 집행·관리한다.
[설립 목적]
남양주시청은 중앙정부 및 광역자치단체로부터 위임받은 업무와 남양주 지역 고유의 대민 행정 및 민원 업무 수행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남양주시청의 역사는 남양주군청에서 시작된다. 남양주군청은 1980년 경기도 양주군에서 2개 읍과 6개 면을 분리하여 설치된 남양주군의 행정 업무를 관할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남양주군 청사는 경기도 남양주시 지금동 159-7에 있었다.
1995년 1월 1일 경기도 남양주군과 미금시가 「도농 복합형태의 시 설치 등에 관한 법률」[법률 제4774호]에 의거하여 도시와 농촌의 복합 도시인 남양주시로 통합된 뒤,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185-10에 신청사를 신축하여 남양주시청 제1청사로 사용하고, 옛 남양주군 청사를 남양주시청 제2청사로 사용하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남양주시청은 관내 행정구역을 관리하고 조례와 규칙을 제정하며, 지방세 부과와 징수, 예산의 편성과 집행, 국가 재산의 관리, 가족관계와 주민등록 관리, 복지 사업과 위생 사업, 각종 산업 진흥, 지역 개발과 생활환경 개선, 체육과 문화예술 진흥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민선 7기 남양주시는 ‘수도권 동북부 거점도시 남양주’를 시정 목표로 정하였다. 3대 목표와 9대 전략을 제시하였는데 3대 목표는 경제[경제 중심 자족 도시 건설], 생활[3대 생활 개선], 복지[시민 통합 복지 구현]이었다. 9대 전략으로는 경제 분야에서 철도 교통의 혁신적 개선, 불합리한 규제 개선, 경제 중심 자족 도시 기반 조성을 내세웠으며, 생활 분야에서는 광역 및 시내 교통 체계 개선, 쾌적한 하천 공간 조성, 교육 중심 도시를 제시하였고, 복지 분야에서는 커뮤니티 케어, 건강한 산모, 행복한 가족, 남양주표 복지 브랜드화를 구현하겠다고 했다. 이를 통하여 수도권 동북부 거점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22년 민선8기를 맞는 남양주시는 ‘상상 더 이상 남양주’를 시정 비전으로, 슈퍼 성장 시대, 시민 성장 시대, 실용·통합 시대를 시정 목표로 삼고 있다. 민선8기 남양주시는 6대 분야 18대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6대 분야는 안전하고 편리한 교통도시, 첨단 미래 산업의 경제도시, 배움이 가득한 교육도시, 행복하고 따뜻한 복지도시, 건강한 힐링 문화도시, 시민이 중심인 행정도시이다.
6대 분야별 전략은 우선, 안전하고 편리한 교통도시를 구현하기 위하여 ① 광역교통망 확충, ② 시내 순환교통망 구축, ③교통 시스템 개선을 제시하고 있다.
첨단 미래 산업의 경제도시를 만들기 위하여서는 ① 첨단 산업단지 조성 통한 자족 도시 건설, ② 불합리한 규제 개선으로 기업 환경 강화, ③ 중소기업 지원 및 직업 교육 활성화를 전략으로 내세웠다.
배움이 가득한 교육도시 구현을 위한 전략으로는 ① 생애주기별 평생교육 활성화, ② 교육의 사회적 돌봄 강화, ③ 안전하고 행복한 교육 환경 구축을 제시하고 있다.
행복하고 따듯한 복지도시를 만들기 위하여서는 ① 종합 복지 체계 개선, ② 세대별·계층별 맞춤형 복지 강화 ③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을 전략으로 한다.
건강한 힐링의 문화도시 구현을 위한 전략으로 내세운 전략은 ① 생활체육의 메카 남양주 조성, ② 역사와 예술을 잇는 문화도시 브랜드 구축, ③ 친환경 문화관광자원 개발이다.
시민이 중심이 행정도시를 위하여 남양주시는 ① 진심을 다한 경청, 격의 없는 소통 활성화, ② 이용자 중심의 행정 서비스 제공, ③ 정책 결정 과정에 시민 참여 확대를 전략으로 내세우고 있다.
[현황]
남양주시청의 관할 행정구역은 2022년 6월 기준 458.1㎢이며, 2021년 12월 기준 관할 세대수는 29만 9156세대, 인구 수는 73만 3798명[남자 36만 5103명, 여자 36만 8695명]이다. 행정구역은 6읍[1출장소], 3면, 7동, 8개 행정복지센터로 이루어져 있다.
2020년 4월 기준 초등학교는 분교 포함 66개교이고, 중학교 34개교, 고등학교 21개교, 대학교 1개교, 대학원 1개 교로서, 총 학교는 123개교이다.
남양주시 시의원은 18명이며, 남양주시의회는 운영위원회, 자치행정위원회, 산업건설위원회 3개의 상임위원회로 구성되어 있다. 재정 규모는 2021년 본예산 기준 1조 9008억 원이다.
남양주시청의 조직은 시장, 부시장, 1실 6국[행정기획실·복지국·문화교육국·산업경제국·환경국·도시국·교통국], 27과이다. 27과는 행정기획실 소속의 총무과, 기획예산과, 자치행정과, 교류협력과, 회계과, 재산관리과, 정보통신과와, 복지국 소속의 복지정책과, 복지행정과, 일자리복지과, 노인복지과, 장애인복지과, 여성아동과, 보육정책과, 문화교육국 소속의 문화예술과, 미래인재과, 문화관광과, 정약용과, 체육과, 산업경제국 소속의 기업지원과, 소상공인과, 세정과, 도세관리과, 징수과, 위생과, 환경국 소속의 환경정책과, 기후에너지과, 자원순환과, 생태하천과, 산림녹지과, 공원조성과, 도시국 소속의 도시정책과, 도시재생과, 신도시과, 도시개발과, 주택과, 건축과, 토지정보과, 부동산관리과, 교통국 소속의 철도교통과, 대중교통과, 주차관리과, 자동차관리과, 도로건설과이다. 직속 기관으로는 남양주보건소, 남양주풍양보건소, 농업기술센터가 있으며, 사업소는 상하수도관리센터, 평생학습원, 도시관리사업소, 대외협력사무소가 있다.
행정복지센터로는 와부조안행정복지센터, 진접오남행정복지센터, 화동수동행정복지센터, 진건퇴계원행정복지센터, 호평평내행정복지센터, 다산행정복지센터, 별내행정복지센터, 금곡양정행정복지센터가 있다. 행정복지센터에는 2022년 6월 기준 3,022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남양주시청 제1청사는 지하 1층과 지상 4층으로 이루어진 본관과 지상 2층의 종합민원실/다산홀, 지상 4층으로 이루어진 신관으로 나뉘어 있으며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185-10에 자리하고 있다. 남양주시청 제2청사는 지하 1층과 지상 5층의 본관과 지상 1층의 별관으로 이루어져 있고,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동 3159-7에 있다.
남양주의 시목은 소나무, 시화는 개나리, 시조는 크낙새이다. 대표 캐릭터는 정약용이며, 말발굽과 강, 성장을 뜻하는 브랜드 심벌마크를 가지고 있다. 박현철 작사, 이요섭 작곡, 석충훈이 편곡한 「남양주 시가」도 있다.
[의의와 평가]
남양주시청은 수도권 동북부 거점도시가 되기 위하여 ‘2030 경제 중심 자족도시’의 기반을 완성하고, 2050년에는 ‘대한민국 No.1 도시’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남양주 시민에게 다양한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고 주민 복지와 지역 개발에 힘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