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남원시의 지표면의 기복 형태. 지표는 높고 낮음이 있어 기복은 복잡하고 그 형태 또한 일정하지 않다. 지형의 형성에는 암석의 구성 및 성질, 지질구조, 지각운동, 기후 등이 기본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지형은 인간 생활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남원시는 한반도 서남부의 내륙에 위치하고 있다. 백두대간의 서편으로 동부에는 1,000m 이상의 소백산맥...
-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육지의 표면이 주위의 땅보다 높이 솟은 부분. 남원의 산지는 주로 시경계를 따라 서부와 동부에 고산이 주로 분포한다. 남원시 중심부는 주로 대보화강암인 남원화강암 분지로 구릉대나 단구지형으로 나타나고 그 중심부를 기점으로 동서 양쪽에 변성암류에 의한 산지가 분포하고 있다. 남원은 분지와 함께 다양한 고도의 산지와 다양한 형태의...
-
전라북도 남원시 사매면 서도리 노봉마을 남서쪽에 있는 산. 병풍을 두른 듯한 암봉이 마치 닭벼슬을 닮았다 하여 부쳐진 이름으로 보고 있다. 다른 의미로 보면 계관봉 바로 아래 마을이 계수리인데 계동과 수동을 합친 마을이다. 그전에 계동이라 하여 계수나무가 있는 곳으로 보았으며 그 계수나무의 관, 계관(桂冠)의 의미로 붙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서도리 노봉마을의...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과 산동면 경계에 있는 백두대간의 산. 높이는 846.5m이며 가재-수정봉-고남산-여원치로 통하는 백두대간의 맥상에 놓여 있다. 특히 운봉의 북서쪽을 지키는 산으로 운봉분지를 한 눈에 내려다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요천이 흘러내리는 산동과 남원 쪽을 모두 내려다 볼 수 있는 전망이 좋은 산이다. 위치상 옛날부터 전쟁의 요충지가 되었다. 고려 말인 1...
-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과 대강면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은 섬진강을 거슬러 남원성의 오수정까지 올라오던 배를 묶어 놓았던 고리가 어딘가에 있었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다. 고리봉을 기점으로 하여 남쪽으로는 전라남도 곡성의 명산인 동악산이 북쪽으로 삿갓봉·두바리봉·문덕봉과 이어지며, 남쪽 가까이에는 섬진강이 흐르고 있다. 고리봉은 지리산을 가까이에 두고...
-
전라북도 남원시 사매면 계수리와 대산면 길곡리 그리고 순창군 동계면의 경계에 있는 산. 산의 모양이 벼 낟가리 모양으로 생겼다고 하여 이름이 붙여졌으며, 풍수적으로 큰 부자가 나온다고 한다. 사매면 노봉마을을 둘러싸고 있는 산들 중 가장 높은 봉우리가 노적봉이며, 그 옆으로 닭의 벼슬을 닮았다는 계관봉이 있다. 풍악산[604.8m]과 이어져 있으며, 임실군 삼...
-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월석리와 전라북도 장수군 번암면의 경계에 있는 산. 옛날 삼한시대에 어느 임금이 산동면 대상리 귀정사에서 삼 일간 정치를 하면서 천황봉에 비해 성인격이라 하여 대성산이라 하였다고 한다. 또 마을을 둘러싼 산이 반달형으로 생겨 마치 솟아오른 달을 맞이하는 형상이어서 대성산을 ‘큰달뫼’, 영월산을 ‘작은달뫼’라 불렀다. 산 아래의 마을은 큰달뫼와 작은...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화수리와 인월면 중군리 경계에 있는 산. 일명 흥덕산(興德山)으로 불리는 덕두봉은 전설에 따르면 산기슭에 있는 ‘용마름산’이 옛적에 자꾸 움직이자 어느 도사가 칼로 산을 갈라서 석축을 쌓고 산을 못 움직이도록 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 용의 허리에 해당하는 중요한 곳을 갈라놓아서 용이 멈추어 형성된 산을 용산(龍山)이라 이름하였고, 현재 축산연...
-
전라북도 남원시 노암동과 주천면 용담리의 경계에 있는 산. 남원시내에서 마주 보이는 봉우리로 요천 건너편에 있다. 높이는 288.6m로 남원시를 한눈에 전망할 수 있는 산이다. 덕음봉 정상에 오르면 북으로 보절면 천황봉, 동으로 고남산과 만복대, 남으로는 견두산과 천마산을 볼 수 있다. 서북의 교룡산이 남원시내를 더 조망할 수 있는 위치이나 가파르기 때문에 덕음봉의 팔각...
-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과 산내면 그리고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에 걸쳐 있는 봉우리. 만복대라는 이름은 지리산의 많은 복을 차지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노고단에서 반야봉, 천왕봉으로 이어지는 지리산의 100리 주능선이 한눈에 들어올 만큼 조망이 빼어난 봉우리이다. 만복대에서 고리봉[1,304.8m]까지의 3㎞쯤에 이르는 능선에는 지리산에서 가장 드넓은...
-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과 산동면의 경계에 있는 산. 산의 이름은 불가에서 스님들이 탐욕을 없애기 위해 걸식하며 산야를 돌아다니면서 수행을 닦는 ‘두타행’과 같은 뜻을 담고 있다. 백두대간의 주맥인 영취산에서 나누어진 금남호남정맥이 팔공산에서 지맥을 분기해 솟구친 산이다. 상사바위가 있으며, 봄에는 아름다운 철쭉꽃이 만발한다. 식생으로는 능성이에 억새와 소나무가...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평촌리에 있는 산. 말봉은 한자로 두봉(斗峰)이라 하는데, 산의 형세가 말[斗]처럼 생긴 데서 유래한 것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남원시 이백면 평촌리 서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원시 내에서 이백면 소재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왼쪽에 있다. 평촌리, 내동리, 서곡리에 걸쳐 있는 산으로 높이는 334.3m이다....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과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 걸쳐 있는 산. 일대의 울창한 수림은 빨치산의 활동무대가 되어 여순반란사건과 한국전쟁 당시 은신처였다고 한다. 삼각고지에는 군사용 벙커 흔적이 남아 있는데 남부군 총사령관 이현상이 빗점골에서 최후를 맞이하기 전까지 이 일대를 무대로 활약하며 치열한 전투를 벌였기 때문에 삼각고지~명선봉~벽소령 일원을 ‘피의 능선’이라 부르...
-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과 전라북도 장수군 번암면의 경계에 있는 산. 백제와 신라 사이에 격렬한 영토 쟁탈전이 벌어진 아막성은 둘레 633m를 돌로 쌓은 산성이다. 신라에서는 ‘모산’이라 불렀다. 아기들이 어머니를 받들어 모시는 유아봉모형국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아막성이 있으며, 성터는 대체로 사각형을 이루고 있으며 북쪽의 성벽은 네모 반듯하게...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화수리와 용산리, 인월면 중군리, 산내면 내령리의 경계에 있는 산. 바리봉을 운봉사람들은 산 모양새가 마치 ‘삿갓’처럼 보인다 하여 삿갓봉으로 부른다. 또한 스님들의 밥그릇인 바리때를 엎어 놓은 모양이라는 의미의 바리봉인데 음이 변하여 바래봉으로 불리우고 있다. 백두대간 맥에서 보면 고남산과 노치마을의 수정봉을 지나 평지분수계...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과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의 경계에 있는 산. 반야봉의 지명유래는 지리산에서 불도를 닦고 있던 반야가 지리산의 산신이면서 여신인 마고할미와 결혼하여 천왕봉에서 살았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다는 설과 어떤 영험한 스님이 뱀사골에 있는 이무기를 불도와 합장으로 쳐부수고 절의 안녕을 가져왔다는 의미에서 반야심경에서 이름을 따 반야봉이라고 지었다는...
-
전라북도 남원시 도통동에 있는 산. 덕유산 줄기가 보절면 만행산으로 이어지고, 그 줄기가 도통동 백공산에서 끝난다. 낮은 산이지만 남원의 주산이라 한다. 남원용성고등학교(구 남원농업고등학교) 뒷산으로 남원의 주산이 객산인 교룡산보다 낮아 그 기운을 보완하기 위해 비보 사찰로 도통동의 선원사를 창건했다고 한다. 지금은 남원용성고등학교와 남원고속버스터미널, 창주서...
-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과 장수군 번암면의 경계에 있는 산. 봉화산은 북쪽으로 월경산, 백운산의 연봉이 남쪽으로 매봉, 그리고 모산의 연봉이 이어진다. 봄철에는 아름답게 붉게 핀 철쭉 군락이 있으며, 가을에는 억새가 아름답다. 이 외에도 야생화와 산나물이 많이 자생하고 있다. 봉화산 철쭉제는 매년 4월 하순에서 5월 중순에 열리며 부대 행사로는 산신제, 백일장,...
-
전라북도 남원시와 전라남도 구례군 그리고 경상남도 하동군의 경계에 있는 산. 삼도봉은 지리산의 수많은 준봉 가운데서도 반야봉[1,731.8m] 바로 아래 자리하여 반야봉의 그늘에 가린데다 별다른 특징을 찾을 수는 없으나 삼도를 구분하는 기점이다. 삼도봉의 산세는 섬진강으로 뻗어내리는 불무장등 능선의 시발점이다. 삼도봉에서 시작되는 불무장등 능선은 황...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중황리와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및 마천면의 경계에 있는 산. 삼봉산은 세 개의 봉우리인 투구봉, 촛대봉, 삼봉산을 합쳐 삼봉이라고도 한다. 남원시의 동쪽에 있는 산내면의 최동부의 산이다. 1,186.77m의 고봉으로 토산을 이루지만 곳곳에 암봉이 노출되어 있다. 중생대 관입에 따른 변성암류로 주변 화강암보다 차별 풍화에 강하...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와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덕전리 사이에 있는 산. 산 아래 마을인 하정·음정·양정을 합쳐 삼정(三丁)이라고 부르는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국토지리정보원 발행지도엔 삼정산(三政山)으로 표기되어 있다. 백두대간의 주맥에 있는 삼도봉에서 오른쪽 천황봉 능선을 타지 않고 북쪽으로 곧장 나가면 별바위 등과 영원령을 지나 삼정산에 이른다....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행정리, 주천면 덕치리, 이백면 효기리의 경계에 있는 산. 수정봉은 마치 학이 날개를 피고 날 듯한 형상을 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전설에 의하면 수정봉의 노치마을에 옛날 민씨(閔氏)라는 거지가 살았는데 그는 짚신을 삼아 팔았다. 어느 추운 겨울날 민씨가 죽어 눈 덮인 산을 헤매어 시체를 매장하려는데 신기하게도 시체의 관이 알맞게 들어...
-
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 유곡리와 경상남도 함양군 백전면 오천리의 경계에 있는 산. 남원에서는 아영면 봉대리에 있는 서당의 이름인 열락재(悅樂齋)에서 나온 열락재팔경이라는 말이 전해오며, 연치조양(鳶峙朝陽)이란 오언절구가 있다. 이 말은 연비산의 아름답게 솟아오르는 아침 햇살을 일컫는 뜻이다. 산의 모습이 솔개가 날아가는 형상을 닮았다 하여 솔개 연(鳶)을 써서...
-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 옥택리에 있는 산. 옥수봉(玉首峰)이라 한 것은 구슬을 꿰어 이어놓은 것 같은 산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라 한다. 해발 300~400m의 야산 봉우리로 비홍치와 문덕봉을 연결하는 주 능선이다. 대부분 소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으며, 야생 토끼나 노루가 많이 살고 있다. 이 산줄기를 따라 비홍치 쪽으로 가다보면 ‘비홍산성’ 유적을 볼 수 있...
-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송상리와 사촌리 경계에 있는 산. 원통산 북사면 송상리 원촌마을은 본래 남원부 송내방으로 원통, 또는 원텡이라 했다. 이 마을은 터가 좋아서 생긴 것이 아니고 지리적 조건으로 인해 옛 부터 피난지로 알려지면서 사람들이 들어와 살았다고 한다. 높이는 333.3m이며 요천과 수지천 사이의 구릉선 산지이다. 남원화강암이 심층풍화되어 사질토양화...
-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운봉읍·산내면과 전라남도 구례군, 경상남도 함양군·하동군·산청군에 걸쳐 있는 산. 지리산은 전라북도 남원시, 전라남도 구례군, 경상남도 함양군·산청군·하동군 등 3개 도, 5개 시·군에 걸쳐있는 거대한 산군(山群)으로 이루어진 우리나라 남부 지방을 대표하는 산이다. 경위도상으로 이 산은 동경 127°27′~127°49′, 북위 35°13...
-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대상리와 보절면 신파리의 경계에 있는 산. 일명 보현봉, 천황봉, 만행산(萬行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원래 천황산의 옛 이름은 만행산이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귀정사(歸政寺)의 옛 이름도 만행사였으나, 고려 말 이성계가 고남산에서 운봉 황산벌에 침범하는 왜장 아지발도와 왜구를 멸하고 회군길에 이곳 만행사에서 삼 일 동안 머물다 돌아갔다가, 임금이...
-
전라북도 남원시 대산면 운교리와 순창군 동계면 내령리의 경계에 있는 산. 금강산(金剛山)처럼 경관이 아름다워 이름을 풍악산(楓岳山)이라 하였으며 단풍나무산이라고도 한다. 동쪽으로 교룡산(蛟龍山)[518.9m], 남쪽으로는 곡성군의 동악산(東嶽山)[735m]·통명산(通明山)[764m], 북쪽으로는 팔공산이 바라보인다. 응봉~풍악산~노적봉(露積峯)으로 이어지며 풍...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과 아영면, 인월면의 경계에 있는 산. 예전부터 운봉은 교통의 요충지로 전략적으로 중요했는데 특히 황산은 마주한 덕두산 자락과 함께 동부에서 서부로 넘어오는 외적이나 세력을 막았던 목이었다. 황산의 남사면 부층탑이 있는 덕두산 자락의 옥계동 화수교 사이는 폭이 겨우 75m 정도로 좁은 동시에 남천이 흐르고 있어 전략적 요충지가 되었다. 바로 이곳에서...
-
전라북도 남원시 지역에 분포하는 산등성이와 봉우리 사이가 낮은 지형 형태. 남원의 지형은 중앙을 경계로 서쪽은 침식분지 형태의 남원~오수·보절 평야와 그 서쪽의 규암산지이다. 동쪽은 고원상 분지인 운봉~아영·인월 고원과 그 남동쪽의 지리산지로 구분이 된다. 이와 같은 분지상의 지형이나 고원상 분지에는 분지벽의 안부를 통하여 외부와 연결되는 주요 고개들이 있다....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중황리와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창원리 경계에 있는 고개. 한자로는 아홉구비를 오르는 의미이며, 함양군 마천면에 고개이름과 같은 등구마을이 있으며 등구마을로 들어서는 입구라 하여 등구재라고도 한다. 높이는 650m 정도이며 북쪽의 삼봉산과 남쪽의 백운산 사이에 있는 말안장과 같은 안부형 능선이다. 두 산봉우리의 사이는 대부분 단층이 통과하는 곳으로...
-
전라북도 남원시 광치동과 사매면 대율리 사이의 고개. 박석치는 비포장 시절에 고갯마루가 지표유출에 의한 토양침식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얇고 넓적한 돌을 깔아놓은 데서 유래한다. 남쪽에서 북쪽으로 옛 시·군의 경계를 했던 춘향터널을 지나면 박석치가 있다. 여기서 좀 지나면 고대 소설 「춘향전」에 나오는 오리정이 있다. 지금은 19번 국도가 남북 방향...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공안리와 산내면 부운리 경계에 있는 고개. 부운치는 가까운 산내면의 부운리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부운은 주로 계곡을 따라 불어오는 곡풍의 찬 습기가 태양에 노출된 산 위로 올라오면서 수증기화되어 구름이 피어오르는 데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그 만큼 해발고도가 높다는 의미이다. 부운치는 덕두산-바래봉-세걸산-고리봉으로 이어지...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양가리와 운봉읍 장교리 사이에 있는 고개. 기원전 삼한시대 마한의 별궁이 있었다는 전설, 그 궁터가 남아있는 계곡, 여원치 마애여래불에 얽힌 여인의 정절에 대한 이야기, 호국혼의 전설을 간직한 아흔아홉 구비의 고개, 정상의 주지봉 산신단에 소원을 빌면 한 가지는 들어 준다는 전설 등 많은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고려 말 왜구의 침입이 극심하던 때...
-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과 산내면 사이에 있는 고개. 정령치는 서산대사의 황령암기에 의하면 마한의 왕이 진한과 변한의 침략을 막기 위해 정장군(鄭將軍)을 파견하여 지키게 하였다는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정령재 정상에 올라서면 바로 눈 앞에 유순하게 흘러내리는 만복대가 다가오고, 운봉평야가 멀리 내려다보이는가 하면 꾸불꾸불하게 포장된 정령치 도로도 보...
-
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과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사이에 있는 고개. 조선시대에는 팔량재에 팔량관(八良關)을 설치하여 왜적으로부터 호남 지방의 곡창을 지키는 으뜸 관문 역할을 하였다. 당시의 흔적이 현재까지 남아 있어 인월면 성산리 성산마을에는 산성 자리가 뚜렷하며 팔량재에서 여원치까지 이르는 도처에 산성이 분포하고 있다. 마한의 마지막 왕이 행궁을 삼아 최후의...
-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물이 흐르는 골짜기. 계곡은 비교적 편평한 평지나 구릉 또는 산의 능선 사이에서 볼 수 있으며 그 위로 보통 하천이 흐른다. 곡 또는 골이라고도 한다. 남원의 계곡은 동부의 산지 계곡과 분지의 곡으로 나눌 수 있다. 크게는 섬진강 지류와 낙동강 지류에 의한 개석곡들이 발달해있다. 동부 변성암지대의 산지의 구조선을 개석해서 흐르는 뱀사골이 대표적인...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덕동리 만수천에 있는 계곡. 기원 전 350년 마한의 별궁을 짓고 머물렀다 해서 붙여진 지명으로 보거나, 『용성지』에 의하면 진한의 내습을 막고자 정령치와 황령재에 성을 쌓아 71년간 성을 지켰다는 기록이 있다. 원래 달궁은 달의 궁전이라는 의미였으나 지금은 궁이 나온다는 의미의 달궁(達宮)으로 기록하고 있다. 만수천은 전라남도 구례군...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에 있는 지리산 반야봉에서 반선까지의 계곡. 뱀사골의 지명유래는 몇 가지가 있다. 정유재란에 불타버린 석실 부근의 배암사라는 절에서 유래되었다는 설과 지리산 북사면의 계곡으로 돌돌골이라고도 하여 물이 뱀처럼 곡류한다 하여 뱀사골이라 부른다는 설이 있다. 또 뱀사골은 뱀이 죽은 계곡이라는 전설에서 나온 것이라 전해지고 있다. 그 전설에 따르...
-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호경리와 덕치리 사이에 있는 원천천 구룡계곡의 9곡 중 제9곡. 구룡폭포는 교룡담과 함께 용호9곡 중 최상류로 만복대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구룡계곡에서 누워 있는 형태의 폭포를 만들었다. 일명 원천폭포라고도 한다. 음력 4월 초파일이면 아홉 마리의 용이 하늘에서 내려와 아홉 군데 폭포에서 한 마리씩 자리를 잡아 노닐다가 다시 승천하였다는...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장항리 원천마을과 입석리 삼화마을 사이 만수천에 있는 큰 폭포. 선캄브리아기의 지리산편마암복합체인 흑운모편마암과 반려암의 경계 지역으로 만수천이 람천에 합류되기 전에 산내면 입석리의 선상지성 충적 평야와 지리산지가 만나는 지점이다. 산내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유역 면적을 가진 만수천 하류 지점이어서 넓은 골짜기와 풍부한 유량을 지닌다....
-
전라북도 남원시 지역에 분포하는 육지 표면에서 대체로 일정한 유로를 가지는 유수의 계통. 이 지역의 하천들을 동일한 하구로 흐르는 수계별로 구분하면 크게 두 수계로 나눌 수 있다. 운봉읍·산내면·아영면·인월면은 낙동강 수계에 속하고, 남원의 나머지 지역은 섬진강 수계에 속한다. 섬진강과 낙동강 수계의 분수계는 아영면과 장수군 번암면의 경계, 운봉읍과 장수군 번...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공안리의 세걸산[1,207m]에서 발원하여 주촌천 합류점에 이르는 하천. 공안천은 공안제(저수지) 옆을 지나 수철리·용은동·삼산리를 경유한 다음, 행정교(다리)를 빠져나온다. 그 뒤 주촌천에 물을 더한다. 주촌천은 남천의 상류에 해당하며, 남천은 임천·남강·낙동강으로 이어지는 하천이다. 공안천은 운봉읍 남동부 산지와 구릉의 물...
-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 서치리 호인치에서 발원하여 덕과면 만도리 율천 합류점에 이르는 하천. 괴양천은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 남단의 호인치(379.7m)~에끼재~갈치로 이어지는 산지의 골짜기 물을 합치면서 시작된다. 상류의 옛 기재천과 복흥천 물을 모아 소류지를 이룬 다음 계속해서 북쪽으로 흘러내리면서 구로천·진기천·잡포천 등 여러 지류의 물을 모은다. 그 뒤...
-
전라북도 남원시 대산면 신계리 응봉산[579m]에서 발원하여 주생면 제천리의 요천에 합류하는 하천. 대곡천은 최상류 골짜기의 물을 모아 물길을 이룬 후 계속해서 남쪽으로 흘러내리면서 쉼뱅이천·상대천·버들골천·제천천 등 여러 지류의 물을 더한 다음 주생면 제천리에서 요천과 합류한다. 대곡천은 대산면 동부 남북 방향으로 길게 솟아있는 산지와 구릉에서 흘...
-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 도룡리의 산지에서 형성되어 율천 합류점에 이르는 하천. 도룡천은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산동면과 장수군 번암면 경계부에 솟아있는 삼배재[825m]와 천황산[909.6m] 산지에 형성되어 있는 여러 계곡의 물을 모으는 하천이다. 도룡천은 용평~도촌저수지~도촌을 지나 벌촌에서 쑥뱅이천물을 더한 다음 율천에 합류한다. 도룡천은 보절...
-
지리산 고리봉에서 발원하여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을 지나 전라북도와 경상남도 도계에서 좁은 협곡을 통과하여 임천으로 흘러드는 지방2급 하천. 남원 지역의 운봉읍·산내면·아영면·인월면은 낙동강 수계에 속한다. 섬진강과 낙동강 수계의 분수계는 아영면과 장수군 번암면의 경계, 운봉읍과 장수군 번암면, 남원시 산동면, 이백면, 주천면의 경계가 된다. 특히 남원시 주천...
-
지리산 노고단에서 발원하여 지리산지 서쪽 남원시 산내면을 남서~북동 방향으로 흐르는 낙동강 수계의 지방2급 하천. 만수천의 기점은 전라남도와의 도계인 산내면 덕동이며 종점은 람천과의 합류점이다. 낙동강의 제4지류인 만수천은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의 노고단 주변 분수계에서 발원하여 달궁계곡, 뱀사골과 여러 지리산지의 계곡이 합류한 다음 산내면 입석리에서 제3지류...
-
전라북도 남원시 사매면 대신리와 광치동의 경계에서 발원하여 용두리의 율천에 합류하는 하천. 매내천은 전라북도 남원시 사매면·도통동·보절면 경계에 있는 300~400m 산지와 구릉을 따라 흘러내린 여러 지류의 물을 모아 흐르고 있다. 이 하천은 대산·상신을 지나 풍촌천·짚앞들천의 물을 더한 다음, 용북중학교 앞을 경유한다. 이후 매내다리를 지나 율천에 합류한다....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양가리의 여원치에서 발원하여 이백면 척문리에서 요천(蓼川)으로 유입되는 지방2급 하천. 백암천은 말봉[334m] 능선을 분수계로 북쪽의 강기천 유역을 제외한 이백면 전체를 유역으로 한다. 북쪽으로는 말봉과 여원치를 오르는 국도 24호선의 왼쪽 능선을, 동쪽으로는 수정봉(水晶峰)[804.7m]을 정점으로 한 운봉분지의 외벽을, 남쪽으로는...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신암리 팔공산[1,151m]의 서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전라북도 남원시와 전라남도의 동부 지역을 남류하여 경상남도 하동군과 전라남도 광양시 경계에서 남해로 흘러드는 국가하천. 남원 지역의 하천들을 동일한 하구로 흐르는 수계별로 구분하면 크게 낙동강 수계와 섬진강 수계로 나눌 수 있다. 운봉읍·산내면·아영면·인월면은 낙동강 수계에 속하고 나...
-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과 전라남도 곡성군 입면 그리고 옥과면의 경계를 따라 이루는 섬진강의 일부 하천. 순자강은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에서 발원하여 전라북도 남동부와 전라남도 동북부를 지나 광양만으로 흘러드는 강으로 일부 구간을 지칭한다. 순자강은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 순창군 풍산면과 전라남도 곡성군 옥과면·입면·곡성읍 사이의 협착부를 휘돌아 도...
-
전라북도 남원시 대산면 옥율리의 산지에서 발원하여 주생면 정송리의 요천 합류점에 이르는 하천. 옥율천은 남원시 대산면 북부 노적봉산지[해발고도 565.1m]의 골짜기 물을 합치면서 시작된다. 상류의 골짜기 물을 모아 물길을 이룬 다음 남류하면서 동부와 서부 산지에서 흘러내리는 가골천·배나무골천·상정천·앞들천 등 여러 지류의 물을 모은 다음 주생면 정송리에서 요...
-
전라북도 남원시 동충동과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대성리 사이를 흐르는 하천. 요천의 물줄기는 전라북도 장수군과 경상남도 함양군 사이에 솟은 장안산[1,236.9m]에서 시작되어, 장수군과 남원시의 여러 지류의 물을 더하면서 흘러내린다. 요천의 유로는 하천의 유지, 관리를 담당하는 행정기관에 따라 그 명칭을 달리 한다. 남원시 관내를 흐르는 요천은 남...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용산리에서 발원하여 북천리 남천 합류점에 이르는 하천. 용산천은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동부에 솟은 바래봉[1,186m]~덕두산[1,149.9m] 사이의 산지에서 흘러내린 물을 합친다. 상류 계곡의 물을 모아 용산제(소류지)에 담은 다음 하류로 흘러내린다. 이후 당월교[다리]를 지나 남천에 더해진다. 남천의 물은 임천·남강·낙동강을 경유...
-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고기리 산지에서 발원하여 노암면 신촌리의 요천 합류점에 이르는 하천. 원천천은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남부에 우뚝 솟은 지리산국립공원 만복대산지[1,304.5m]와 주천면과 운봉읍·이백면 경계부에 솟아있는 산지를 따라 흘러내린 여러 지류의 물을 모으는 하천이다. 원천천은 덕치리·장안리을 지나 제바우천·외야골천의 물을 더한 다음...
-
전라북도 남원시 사매면 대율리 밤티재에서 발원하여 화정리를 지나 서도리에서 오수천으로 유입되는 지방2급 하천. 사매면은 남원시 내에서 춘향터널을 통과하여 12㎞ 북단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계룡산을 경계로 보절면, 서쪽으로는 노적봉을 경계로 순창군 동계면, 임실군 삼계면과 오수면을 접하고, 남쪽으로는 춘향터널을 경계로 광치동, 대산면과 접하며, 북으로는...
-
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 유곡리 산지에서 발원하여 유곡리 풍천 합류점에 이르는 하천. 유곡천은 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 북동부에 솟아 있는 연비산[842.8m]~진양치 사이의 산지에서 흘러내린 물을 합친다. 유곡천은 최상류의 계곡인 도장천과 새들천의 물을 모으고, 하류로 흘러내려 용복천의 물을 더한 다음 풍천에 합류한다. 풍천의 물은 오수천·섬진강을 경...
-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 성시리 산지에서 발원하여 오수면 둔덕리의 오수천 합류점에 이르는 하천. 율천천은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 북부에 솟은 사계봉[322.5m] 등의 산지와 주변 구릉을 따라 흘러내리는 하천이다. 율천천은 하류로 이동하면서 도룡천·다산천·진기천·괴양천·매내천·수외천 등 여러 지류의 물을 모은다. 율천천은 성시리·벌촌·신양리를 지나고,...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주촌리와 주천면의 경계인 산지에서 발원하여 운봉읍으로 흘러드는 하천. 주촌천은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남단에 솟은 고리봉[1,304.5m]~수정봉[804.7m] 사이의 산지에서 흘러내린 물을 합친다. 주촌천은 최상류의 오롱골천과 갈매기천 등의 물을 모아 덕산저수지에 담는다. 이후 주촌천은 하류로 이동하면서 덕산천·유평천·가장천 등 여러...
-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 진기리 산지에서 발원하여 괴양리 괴양천 합류점에 이르는 하천. 진기천은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 남동부의 약산[465m]~남대문치로 이어지는 산지의 골짜기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합치면서 시작된다. 진기천은 상류의 샛터천의 물을 모아 소류지를 이룬 다음 계속해서 서쪽으로 흘러내리면서 웃돌천·모종천·효원천·갑산천 등 여러 지류의 물을...
-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 청계리 산지에서 발원하여 너더리의 풍천 합류점에 이르는 하천. 청계천은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과 장수군 번암면 경계부에 솟아있는 시리봉산지[776m]에서 발원하여 동쪽으로 흘러내리는 하천이다. 청계천은 청계제연(소류지)·청계마을·고인마을을 지난다. 이후 아영중학교와 아영초등학교 사이를 경유한 다음 풍천에 물을 더한다. 풍천은...
-
전라북도 남원시 향교동에 있는 소하천. 축천에는 축천정이라는 정자가 있었고 그 주변에는 쇠붙이로 된 황소 한 마리가 세워져 있었는데 이를 철우(鐵牛)라 하였다. 그 위치는 지금의 향교동 남원고등학교 인근이다. 풍수설에 의하면 동서남북 24방위 중 정북(正北)과 정동(正東) 사이 즉, 북동쪽을 오행상으로 간방(艮方)이라 한다. 남원읍의 간방에는 만행산(萬行山)의...
-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 성리 산지에서 발원하여 인월면 인월리 남천 합류점에 이르는 하천. 풍천은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 북부에 솟은 봉화산지[910.8m]로부터 동남-서남쪽으로 뻗어 내린 산지의 골짜기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합치면서 시작된다. 풍천은 상류 소하천의 물을 일대저수지에 모은 다음 계속해서 남쪽으로 흘러내리면서 일대천·성리천·구지천·이동천·...
-
전라북도 남원시 대산면 풍촌리 감동제(소류지)에서 시작되어 금지면 창산리 요천 합류점에 이르는 하천. 풍촌천은 전라북도 남원시 대산면 서단에 솟은 응봉산[579m]에서 뻗어 내린 산지의 골짜기 물을 합치면서 시작된다. 풍촌천은 최상류 골짜기의 물을 모아 감동제(소류지)를 이룬 다음 다시 하류로 이동하여 주생면의 금풍제(저수지)에 물을 더한다. 이후...
기타(기타)
-
전라북도 남원시 지역에 분포하는 기복이 적고 비교적 평탄한 저지대. 남원에 분포하는 평야로는 요천 유역의 남원평야, 율천 유역의 보절평야, 운봉분지의 운봉평야, 아영평야, 인월평야 그리고 곡간평야가 있다. 이들 평야들은 침식 구릉과 그 위에 하천을 따라 좁게 분포하는 충적층이 결합된 형태이다. 1. 남원평야 크게는 오수~남원~곡성으로 이어지는 하나의 분지 중...
-
전라북도 남원시 지역에 있는 산지·구릉 등의 고지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으면서 저지 형태의 중앙부를 가지고 있는 지형. 남원평야는 요천을 끼고 좁고 기다랗게 분포하고 있다. 북동쪽으로는 산동면에서부터 서남쪽으로 이백면·송동면·수지면·주생면과 금지면까지 펼쳐지며, 전라남도 곡성평야와 연결되어 있다. 요천은 북동-남서 방향의 단층선을 따라서 흐르고 있다....
-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지대가 높고 서늘한 곳. 남원의 고랭지는 대표적으로 운봉읍, 아영면 등의 분지에서 나타난다. 운봉분지는 해발 500m가 넘는 고원이면서 분지로 평지와는 다른 고랭지 환경을 가지고 있다. 운봉분지는 지리산의 융기에 따라 오랜 지질적 시간을 통해 완만한 융기를 받은 지역이다. 여기에 주변부 고산지의 사면퇴적물이 덮여 있어 평탄성을...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과 주천면 지역에 있는 해발 고도 500m 내외의 높고 비교적 연속된 평탄 지형. 산록고원은 산기슭에 발달되어 있는 대지(臺地)를 말한다. 침식 분지는 침식 작용에 의해서 넓은 면적이 삭박(削剝)되어 요지(凹地)를 이루고, 그 주위가 산지로 둘러싸여 있는 지형이다. 일반적인 분수계는 산지의 능선으로 이루어지지만 단일 분지 내에서 분지저의 평야지대에도...
-
전라북도 남원시 죽항동에 있던 숲. 동림숲은 동부 죽항동, 곧 성밖 마을 요천강변에 있었던 곳으로, 남원부의 기우제가 행해지던 곳이다. 십여 리에 달하는 기다란 숲으로 숲젱이라고도 하였다. 「춘향전」에서 춘향이 서울로 떠나는 이도령과 작별인사를 나누던 곳이기도 하다. 동림숲이 있던 죽항동은 1960년대 말까지만 하여도 한산한 주택지로 조용하였으나 남...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서천리에 있는 숲. 산림 생태계에서 극상림을 구성하고 있는 나무가 서어나무인데, 서어나무들이 숲을 이루어 서림숲이라 전해 왔다. 원래는 느티나무·밤나무 등으로 숲을 이루어 마을에서는 선두숲이란 명칭으로 관리하여 왔다. 그러다 고목나무 등이 폭풍 또는 병해로 한두 그루씩 고사되어 현재는 서어나무 5주, 88서울올림픽을 맞아 남원군에서 올림픽숲 조성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