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남원시 일대에 설치되었던 고려 전기의 행정 구역. 고려 전기인 995년(성종 14) 9월에 전국을 10도로 분류, 개편하였다. 10도는 관내도, 중원도, 하남도, 강남도, 영남도, 영동도, 산남도, 해양도, 삭방도, 패서도이다. 강남도는 전주(全州), 영주(瀛州)[현 정읍 지방], 순주(舜州)[현 순창 지방], 마주(馬州)[현 익산 지방] 등을 포함하...
-
전라북도 남원의 옛 이름. 고룡군은 남원의 백제 때 이름이다. 당나라 고종이 소정방(蘇定方)을 시켜 백제를 멸망시킨 후, 유인궤를 검교대방주자사(檢校帶方州刺使)로 삼아 남원에 진을 두고 성을 쌓았다. 그후 신라의 문무왕이 이곳을 차지한 후 685년(신문왕 5) 5소경(五小京) 중의 하나인 남원소경(南原小京)을 설치하였다. 757년(경덕왕 16)에는 전주에 예속...
-
중국 위(魏)나라가 삼국시대에 남원에 두었다고 추정되는 옛 행정 구역. 『삼국유사』에 중국의 후한(後漢)이 남원에 대방군(帶方郡)을 두었고, 위나라가 이를 남대방군으로 고쳤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후 우리나라의 모든 지리지에는 한결같이 중국 후한 건안(建安) 연간에 남원에 대방군이 설치되었고, 위나라 때에 남대방군으로 바뀌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어떠한 이유로 이...
-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었던 행정구역. 전라북도의 남동부를 점유하고 동남으로 경상남도, 전라남도와 접경을 이루며 1895년부터 1994년까지 있었던 행정구역으로 1995년 남원시에 통합되었다. 삼국시대 이래 우리나라 남부 내륙지방의 군사·교통상의 요지였다. 지금의 남원시 운봉읍·주천면·수지면·송동면·주생면·금지면·대강면·대산면·사매면·덕과면·보절면·산동면·이백면·...
-
고려시대 남원에 설치된 지방행정구역 명칭. 고려는 삼국을 완전하게 통일한 5년 후인 서기 940년(태조 23), 전국의 행정 구획을 재정비하면서 신라 때 남원 지역에 설치되었던 남원소경을 없애고 대신 남원부를 설치하여 2개 군(임실, 순창)과 7개 현(장계, 적성, 거령, 구고, 장수, 운봉, 구례)을 관할하게 하였다. 남원부는 이후 조선 전기인 1413년(태종 13)...
-
전라북도 남원 지역에 설치된 통일신라시대 지방행정구역인 5소경(小京)의 하나. 신라는 삼국을 통일한 후 685년(신문왕 5) 전국의 행정구역을 9주 5소경으로 재편성하였다. 9주 5소경제는 지방지배체제를 일원적으로 정비한 결과로 성립되었다. 9주는 신라·고구려·백제의 옛 땅에 각각 3주씩 배정되었으며, 5소경은 고구려·백제·가야의 옛 땅에 설치되었다. 5소경은...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일대의 신라 때 행정구역. 『삼국사기』 「지리지」에서 비롯된 남원에 신라의 모산현이 설치되어 있었다는 기록은 『고려사』 「지리지」, 그리고 조선 후기인 1864년 김정호가 쓴 『대동지지』까지도 동일하게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사실과는 다른 기록이다. 삼국시대 초기부터 남원시와 남원군의 일부 지역이 신라의 땅이었다는 기록은 사실이 아...
-
조선 초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효자. 본관은 밀양(密陽). 초명은 박안선(朴安瑄)이다. 박말선은 국상(國喪)을 당하자 마을 뒷산에 초막을 지어 3년간을 그곳에서 살면서 국상을 슬퍼하여 마치 부모상을 당한 것과 같이 예절을 갖추었다. 또한 동료나 친구의 죽음에도 3일간을 소식하며 진심으로 애도의 뜻을 표했다. 1566년(명종 21) 명나라 황제 세종(世宗)이 승하하자 여...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무신.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여원(汝源), 호는 청류재(聽流齋)이다. 문성공 안향(安珦)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안대중(安大重)이다. 안사제는 효성이 지극하고 강직하며 굳센 지조를 지니고 있었다. 1582년(선조 15)에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판관에 이르렀다. 1592년(선조 25)에 일어난 임진왜란으로 아버지와 형이 어차산(於差山)에...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중온(仲溫), 호는 고봉(羔峰)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사제당 안처순(安處順)이며 아버지는 매담 안창국(安昌國)이다. 안선은 학문을 즐기고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뜻이 크고 기개가 있었다.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같은 고을의 뜻있는 사람과 함께 군사와 군량을 모았다. 이괄의 난이 평정되었다는...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후원(厚源), 호는 풍와(楓窩). 문성공 안향(安珦)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충순위(忠順衛) 안벽(安璧)이다. 안신손은 뜻이 크고 기개가 있었으며 주부(注簿)를 역임했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 때 남원부에서 군사와 군량을 모으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병사(兵使: 병마절도사의 이칭) 이복남에게 달려갔...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자주(子州), 호는 미한정(迷閑亭). 문성공 안향(安珦)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안휘도이다. 안야는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호남과 영남의 요충지인 남원을 빼앗긴다면 장차 그 화를 예측할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동헌으로 들어가 남원부사를 만나 여러 가지 계책을 논의하였다. 동...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원서(元瑞), 호는 청계(淸溪). 증조할아버지는 기묘명현 사재당(思齋堂) 안처순(安處順)이며 아버지는 사과(司果) 안선국(安善國)이다. 남원의 금릉리에서 태어났다. 안영은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남원의 본가에 있었는데 당시 모친은 서울의 집에 있었다. 난을 만나서 서로 찾지를 못하...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순흥(順興). 문성공 안향(安珦)의 후손이며 홍문관교리 안구의 7세손이다. 안용은 행실이 돈독하고 부모에게 효도하며 형제에게는 우애하였다. 무과에 급제하여 도총부경력(都摠府經歷)을 지냈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옥과현감 이흥발 및 여러 고을의 선비들과 함께 창의하여 의병과 군량을 모아 청주로 달려갔으나...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군보(君寶), 호는 모암(慕庵). 문성공 안향(安珦)의 14대손으로 할아버지는 진사 안황(安璜)이고 아버지는 처사 안경덕(安敬德)이다. 안진은 어려서부터 할아버지 안황(安璜)에게 유학을 수업하여 아우 안건(安楗)과 함께 『가례(家禮)』·『소학(小學)』·『심경(心經)』·『성리(性理)』 등의 책을 공부하였다....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성로(星老), 호는 귀은(歸隱). 사간공 안성의 7세손이며 청백리로 칭송받던 대사간 안팽명의 5세손이고 을사명현 안경우의 현손이며 현감 안극충의 손자이다. 1636년(인조 14)에 병자호란이 일어나 서울이 함락되고 인조가 피난해 있던 남한산성마저 포위당하자 충의로운 선비들이 각처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안철수도 비분함...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계함(季涵). 문성공 안향(安珦)의 13대손이다. 고조부는 장수현감을 지낸 안처경(安處經)이며 증조부는 장사랑 안창(安瑒)이며 조부는 안광업(安光業)이다. 생부는 진사 안황(安璜), 양부는 진사 안혼(安琿)이다. 생외조는 진사 조대성(趙大成), 양외조는 직장 문창후(文昌後)이며 처부는 사과 유언(柳堰)이다. 아들 안...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동한 열녀. 고조부는 홍문관교리 이적(李迪)이며 아버지는 이영진(李榮震), 어머니는 남원양씨(南原梁氏)이다. 남편은 순흥안씨 안국로의 아들인 안희도(安希道)이다. 이씨 부인은 규방의 규수로서 예의범절과 몸가짐이 정숙하였으며 19세에 결혼하여 부모 섬기기를 게을리하지 않았고 남편에게는 공경으로서 아내의 도리를 다하였다. 남편이 세상을 떠나자...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이자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자점(子漸), 호는 제호(霽湖)·점역재(點易齋)·요정(寥汀)·태암(泰巖). 아버지는 충장공 양대박(梁大樸)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아버지 양대박이 창의하자, 아우 양형우(梁亨遇)와 함께 아버지를 보필하였다. 양경우는 아버지의 명에 따라 고경명(高敬命)에게 갔는데, 고경명은 양경우...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사진(士眞), 호는 청계(靑溪)·송암(松巖)·죽암(竹巖)·하곡(荷谷). 아버지는 목사 양의(梁艤)이다. 양대박은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문하에서 배웠다. 1572년(선조 5)에는 학관(學官)에서 제술관(製述官)으로 기용되고 이어 종부시주부(宗簿寺主簿)에 올랐다. 1592년(선조 25) 4월 임진왜란이...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경언(景彦). 아버지는 참봉 양희보(梁希寶)이다. 양대수는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족인(族人) 양경우와 함께 고경명(高敬命)의 막하로 달려갔다. 그러나 고경명은 늙은 어머니가 있다는 것을 알고 어머니를 봉양하라고 집으로 보내니, 양대수는 눈물을 흘리며 그 뜻을 시로 짓고 물러나와 노모를...
-
고려 말기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동한 열녀. 아버지는 고려시대 문과급제자 이이시(李以時)이고, 남편은 직제학 양수생(楊首生)이다. 이씨가 임신한 뒤에 곧바로 남편이 죽자 친정 부모는 개가를 권유하였다. 그러나 이씨는 “나라의 풍속이 모두 그러한데 어찌 저 혼자만 어길 수 있겠습니까? 다만 양씨(楊氏)의 핏덩이가 배 속에 있으니 아이를 낳을 때까지만 기다려 주십시오.”라고...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자는 백형(伯亨). 영의정 양운(梁運)의 후손이며 참봉 양대충(梁大冲)의 아들이다. 행의로 천거되어 찰방에 제수되었고, 이어서 문과에 급제하여 양덕현감을 지냈다.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경명을 따라서 금산으로 나아가 병사들의 앞에 서서 힘껏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임진왜란이 끝난 이후 금산전투의 공을...
-
고려시대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동한 열녀. 남편은 생원 양중수(梁仲粹)이다. 이씨 부인은 왜적의 침입을 당하자 몸이 더럽혀질까 염려하여 끝까지 반항하다가 죽었다. 이 사실이 조정에 알려지자 정려(旌閭)가 내려졌다....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간숙(幹叔), 호는 농암(聾庵). 병부낭중 양능양(梁能讓)의 후손이다. 양진번은 남원 괴정에서 출생하여 김화(金樺)의 문하에서 배우고 정온(鄭蘊)의 문하에 출입하였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운암 이흥발 등 여러 선비들과 함께 창의하여 과천에 이르러서 적병을 많이 죽였다. 얼마 후 화의...
-
조선 말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문찬(文贊), 호는 칙헌(則軒).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오위장을 지낸 양맹석(梁孟錫)이며 어머니는 파평윤씨로 윤종길(尹宗吉)의 딸이다. 1882년(고종 19) 임오군란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즉시 장정 300여 명을 모아 이끌고 서울로 가려 하였다. 그러나 당시 남원부사 심의두(沈宜斗)가 저지하여 수행하지 못하였다...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자발(子發), 호는 동애(東崖). 용성군 양주운(梁朱雲)의 후손이며, 할아버지는 집의 양의(梁艤)이고, 아버지는 청계 양대박(梁大撲)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 아버지 양대박이 의병을 일으켜 출전하자, 19세의 나이에 불과하였으나 종군하여 운암전투에서 큰 공을 세웠다. 1603년(선조 36)에 진...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동한 의병.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길부(吉夫), 호는 모정(慕亭). 대제학 양이시(楊以時)의 후손이며 둔재 양사(楊泗)의 아들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유팽로·양대박 등과 함께 고경명을 찾아가서 창의하였다. 그들은 여러 고을에 격문을 돌리고 담양에서 만날 것을 약속하고 고경명을 의병대장으로 추대하였다. 양희적은...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여일(汝一)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부역으로 노역을 나갔다가 한산섬의 싸움에서 크게 공훈을 세우므로 조정에서 특명으로 부역을 면제해 주었다. 한산섬의 싸움에서 쌓은 공을 인정받아 선무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성재, 호는 송종. 판서에 증직된 오응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오탄이다.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반란이 일어나자 집안의 장정 수십 명을 거느리고 최여삼·태윤주 등과 함께 남원성을 지킬 것을 약속하였다. 그리고 아들에게 유서를 남기기를 “나는 죽을 각오를 하고 반란군을 진압할 것이니 뒷일을 부탁한다.”라고 하였다....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종지, 호는 의헌. 이조참판 오극제의 5세손이며 봉사 오수명의 손자이자 첨정 오정무의 아들이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가산을 털어서 재종숙인 오정식을 따라 곧바로 의병소로 달려갔다. 그곳에서 사종제인 오상지·오상우와 사종손인 오찬도 등과 동맹하여 의병을 일으켜 청주에 이르렀으나, 강화가 이루어졌...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보국(補國), 호는 청세정(淸洗亭). 문충공 오효순의 5세손이며 아버지는 찬성 오협종이다. 경기도 광주시에서 태어났다. 오연경은 성품이 우아하고 행실이 단정하였으며 어려서부터 부모에게 아침저녁으로 문안을 드렸다. 자라서는 학문에 힘써 경서와 사기를 두루 익히어 큰 뜻을 통달했다. 1600년(선조...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중현(仲顯), 호는 설강(雪岡). 고조부는 이조참판 오극제(吳克悌)이며, 할아버지는 참봉 오몽인(吳夢仁)이며, 아버지는 참봉 오기복(吳麒福)이다. 1597년(선조 30)에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형 오흥업과 함께 참여하였다. 왜적에 의해 남원성이 겹겹이 포위되어 위급해지자, 아버지 오기복의 허락을 받아 수십 명의 가동(...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무신.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자술(子述). 금남재 오응(吳凝)의 5세손이며, 영의정 오찬조(吳纘祖)의 아우이다. 무술에 뛰어나 일찍이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첨정에 이르렀다. 1597년(선조 30)에 일어난 정유재란 때 왜적이 남원성을 포위하자 형인 오찬조를 따라서 숙성령으로 나아가 적병의 동정을 살피고 적병 수십 명을 베었다. 승세를 몰아 적...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지역에서 활약한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문중(文仲), 호는 완원당(翫元堂). 현감 오하몽(吳下蒙)의 아들이다. 1574년(선조 7) 무과에 급제한 후 비변랑, 사헌부감찰, 형조정랑을 거쳐 1579년 군기시첨정으로 승진하였다. 1583년 이이(李珥)를 탄핵하는 상소를 올려 동인들의 미움을 사 흥덕현감으로 좌천되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이첨(爾瞻), 호는 나진(懶眞). 이조참판 오극제의 현손이며 참봉 오구정의 증손이자 복재 오수성의 아들이고 오정길의 아우이다. 오정식은 광해군 때 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재종질 오망주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여산의 모의소로 달려갔다. 이...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무신. 본관은 함양. 자는 중술(仲述), 호는 영회정. 금남재 오응의 5세손이다. 무술이 뛰어나 일찍이 무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에는 동관을 굳게 지켰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이 일어나 적군이 남원성을 포위했을 때, 그는 남원중군으로 숙성령의 싸움에서 많은 적병을 참획하였다....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백현(伯顯). 할아버지는 참봉 오몽인(吳夢仁)이고 아버지는 참봉 오기복(吳麒福)이다. 어머니는 금산김씨(錦山金氏)로 김성원(金聲遠)의 딸이다. 1597년(선조 30)의 정유재란 때 남원성이 적에게 포위되자 성 안에서 군량 보급을 맡으며 접반사 정기원 등과 힘을 합하여 성을 지켰다. 틈을 내어 집으로 돌아가서 늙은 아...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 문희공 우탁(禹倬)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우안민(禹安敏)이다. 말달리기와 활쏘기를 잘하고 담력이 있어서 1577년(선조 10)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수문장으로 있던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선조가 있는 곳으로 가던 중 도중에서 적을 만나 싸워 많은 적을 죽였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에 선무...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일대의 고려시대 행정구역. 고려 전기인 995년(성종 14)에 전국을 10도로 개편하였는데, 남원부는 10도 가운데 하나인 강남도에 편입되었다. 이후 1018년(고려 현종 9)에 강남도와 해양도를 합하여 전라도라는 명칭을 붙이고 2목 18군 32현을 두었다. 2목 2부 가운데에 남원부가 포함되었고, 남원부는 전라도의 4대 도시 가운데 하나로 부상하...
-
조선 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무신. 본관은 영광(靈光). 자는 경정(景正), 시호는 정숙(貞肅). 대언 유두명(柳斗明)의 아들이다. 음직으로 계성전직에 보직된 후 1426년(세종 8)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호조참의를 거쳐 경주부윤으로 있을 때 소송을 제기한 자가 뇌물을 바치자 태형으로 죽게 하여 파면되었다. 이후 남원에 돌아가서 오랫동안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다. 후에 아들 유자...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무신.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공직(公直). 곤산군 유익정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호조참판 유사온(柳思溫)이다. 문무의 재주를 겸비하여 무과에 급제한 뒤, 1636년(인조 14)에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선전관으로서 인조를 호위하여 남한산성으로 갔다. 인조에게 적을 막아낼 여러 가지 계책을 올리어, 난이 끝난 뒤에 벼슬이 포도대장에 이르렀다. 그가 죽...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덕우(德雨). 충경공(忠景公) 유양(柳亮)의 후손이다. 1728년(영조 4)에 이인좌가 난을 일으키자 군사를 이끌고 나가서 많은 반란군을 토벌하였다. 이인좌의 난을 토벌한 공으로 양무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유(子有), 호는 사호(沙湖). 청백리로 칭송받던 낙봉(駱峯) 유헌(柳軒)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기묘명현의 한 사람인 유감이고, 아버지는 이조참판을 지낸 유영립(柳永立)이다. 1595년(선조 28)에 문과에 급제하여 한림에 뽑혔다가 호당이 되었다. 광해조 때 삼강오륜의 질서가 무너지자 벼슬을 버리고 남원의 추사로...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경문(景文). 남원백 윤위(尹威)의 후손으로, 문효공(文孝公) 윤효손(尹孝孫)의 4대손이다.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당시 봉사로 있던 종질 윤정기(尹廷璣)와 역시 종질인 윤정반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제봉 고경명의 격문을 보고, 그때까지 모았던 장사 3백여 명을 거느리고 고경명 부대로 들어가...
-
고려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호는 벽송(碧松). 고려 숙종 때의 윤관(尹瓘)의 손자로, 남원부사를 지낸 윤언순(尹彦純)의 아들이다. 1176년(명종 6)에 겨우 18세의 나이로 문과에 급제한 뒤 국자감박사가 되어 국사를 편찬하는 임무를 맡았다. 신종대에 전국 도처에서 민란이 잦아 남원부도 경내가 소란스러웠다. 이때 신종이 윤위로 하여금 남원의 반란을...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무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명서(明瑞). 남원백(南原伯) 윤위(尹威)의 후손으로, 문경공(文景公) 윤신갑(尹莘甲)의 7세손이다. 힘이 세고 병서에 통달하여 일찍이 무과에 급제하여 사복을 지냈다.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서 선조가 용만으로 몽진을 하게 되자, 형인 윤응인과 함께 임금을 호위하기 위해 올라가는 도중 웅치 부근에서...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헌보(獻寶). 남원백(南原伯) 윤위(尹威)의 후손이며, 문효공(文孝公) 윤효손(尹孝孫)의 5대손으로, 아버지는 군수 윤대이(尹大頤)이다. 1592년(선조 25)에 일어난 임진왜란 때 남원부에 머물던 명나라 군사들이 군량이 모자라 곤란을 당한다는 말을 듣고, 당숙인 윤대표와 종형 윤정반과 함께 집안 살림을 털어서 군량...
-
통일신라시대 전라북도 남원 지역에서 활약한 국악 전수 공헌가. 진나라 사람이 고구려에 보낸 칠현금을 왕산악(王山岳)이 개량하여 만든 것이 거문고이다. 그후 거문고는 지리산의 운봉 부근에 있던 운상원을 중심으로 옥보고(玉寶高)에게서 속명득(續命得)을 거쳐 귀금선생(貴金先生)에게 전해졌다. 그런데 귀금선생이 운상원에서 은둔하다시피 하자 거문고의 맥이 끊길 것을 염려한 왕이...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약한 의병.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덕장(德章), 호는 내성재(內省齋).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의 후손이다. 할아버지는 금헌(琴軒) 이대윤(李大胤)이고, 아버지는 판서에 증직된 이엽이며, 형은 춘파(春坡) 이유형(李惟馨)이다. 지금의 임실군 둔남면 둔덕에서 태어났다. 광해조 때인 1618년(광해군 10) 인목대비가 서궁에 유폐되...
-
고려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문신. 충선왕이 충숙왕에게 선위하고 원나라에 있을 때 반전별감(盤纏別監)으로 왕을 모셨다. 그때 함께 일을 맡은 자들은 모두 치부하였으나 홀로 청고한 생활을 하였다. 충선왕이 토번(吐蕃)에 귀양을 가게 되자 역졸을 시켜 금을 바치게 하여 왕과 호종신(扈從臣)의 옹색을 면하게 하였다. 1325년(충숙왕 12) 밀직부사로 충선왕의 재궁(梓宮,...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약한 의병.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경술(景述), 호는 금헌(禁軒), 또는 만휴당(晩休堂). 효령대군 이보(李補)의 후예이며, 아버지는 승지 이혼(李渾)이다. 지금의 임실군 둔남면 둔덕에서 태어났다. 1558년(명종 13)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1585년(선조 18)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정랑으로 있었으나 명리를 탐탁하게 여기지 않아 관직에서 물러나...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약한 무신. 본관은 용인(龍仁). 충청남도 천원군 직산면 삼동리에서 태어났다. 무과에 급제하여 1597년(선조 30)에 남원부판관이 되었다. 부임하자마자 정유재란으로 왜군의 재침이 더욱 성하자, 관청에 비축해 둔 재물을 처분하여 소와 술을 사서 모든 장졸들을 배부르게 먹인 다음 남원성을 사수할 계책을 세웠다. 그해 8월 12일경 남원성이 11만여 명의...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문원(聞遠), 호는 파곡(坡谷). 도평군(桃平君) 이말생(李末生)의 후손이다. 1636년(인조 14)에 일어난 병자호란 때 임금이 남한산성으로 피난하자 전라도의 제현들과 창의하여 군대를 모집하고 군량을 거두었다. 여산(礪山)에서 집합하여 청주를 지나 서울로 올라가던 중 강화가 성립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돌아와 비분함을...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약한 무신. 본관은 우계(羽溪). 자는 수부. 조선의 개국공신 이의의 후손이다. 어려서부터 큰 뜻을 품고 병서를 익힌 뒤에 일평생 몸을 조국에 바쳐 순국하기를 스스로 기약하고 매일 장순(張巡)과 악비(岳飛), 문천상(文天祥)의 전기를 읽었다. 일찍이 무과에 급제한 뒤 1592년(선조 25)에 나주판관이 되고, 이듬해 전라방어사·충청조방장(忠淸助防將),...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약한 의병.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경견(景見), 호는 만은(灣隱). 할아버지는 영상 이준경(李浚慶)이고, 아버지는 도승지 이덕열(李德悅)이다. 1633년(인조 11)에 진사시에 합격하였지만 벼슬길에는 나아가지 않았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창의하였으나 화의가 이루어지자 집으로 돌아와서 학문에 정진했다. 형인 이사성(李士星)과 함께 남원시 주포(周浦...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광주(廣州). 호는 괴정(槐亭). 할아버지는 영의정 이준경(李浚慶)이고, 아버지는 직제학 이덕열(李德悅)이다. 인조조에 생원과 진사시에 모두 합격하였으나 벼슬길에는 나아가지 않았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중형인 이사영과 이흥발, 유즙, 최온 등 당시의 호남 지도자들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과천까지 진군하였다. 그러나 화의의 소식...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사우(士祐), 호는 동천(東川). 이유번(李有蕃)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석명(李碩明)이고, 아버지는 동몽교관(童蒙敎官) 이희선(李喜善)이다. 1583년(선조 16)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1585년(선조 18)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에 좌랑으로 선조를 호종하여 평양에 이르...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덕선(德先), 호는 천묵재(天黙齋). 효령대군의 7대손이며, 춘성군 이담손(李聃孫)의 현손이다. 아버지는 이욱(李昱)이며, 어머니는 임대영(任大英)의 딸이다.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1612년(광해군 4) 사마시를 거쳐 1625년(인조 3)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성균관에 들어가 1628년 학...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상산(商山). 자는 자응(子膺), 호는 오산(烏山). 병조판서를 증직받은 이성임(李聖任)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극진하고 글공부를 열심히 하여 학식 높은 선비로 알려졌다. 35세 때 부친의 초상을 당하여 3년 동안 죽을 마시면서 상을 마쳤다. 병자호란 때 창의하였으며, 74세 때 모친상을 당하여 예절대로 3년간 시묘하였다....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광양군(廣陽君) 이세좌(李世佐)의 5대손이다. 숙종 때 부사를 지냈으며, 1728년(영조 4)에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자 운량도감이 되어 두 아들 이자간(李自侃)과 이여간(李汝侃)을 시켜서 군량을 모아 군부에 보냈다. 여러 의사(義士)들과 함께 운봉의 팔량치를 지키다가 운봉의 천총(千摠)·정준교(鄭俊僑)...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약한 명나라 장수. 어려서부터 군에 종사하던 역전의 용사로서 곤봉의 명수였다. 정유재란 때 명나라 중군으로 남원성 동문을 지키다 죽었다....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홍주(洪州). 자는 자허(子虛), 호는 죽암(竹庵). 문간공(文簡公) 이서(李舒)의 8세손으로, 아버지는 생원 송탄(松灘) 이점이다. 일찍이 사마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갔는데, 성균관의 여러 벗이 재장으로 추대할 만큼 학식과 인품이 돋보였다. 만년에는 초야에 집을 지어 ‘죽암’이라고 편액을 걸고 성리학을 공부하는 데 힘썼다. 163...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무신. 본관은 무성(茂城). 자는 청보(淸甫). 부사 이서(李瑞)의 손자이며 군수 이희방(李希芳)의 아들이다. 1588년(선조 21) 무과에 급제하여 수문장이 되었다. 임진왜란 때 고경명을 쫓아 금산 전투에서 순절하였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에 금산 전투의 공을 인정받아 선무원종훈에 녹훈되었다....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전의(全義). 호는 농은(農隱). 문정공 이신의(李愼儀)의 후손이다. 영조조의 학자로 경학에 정통하고 문장이 굉박하여 이름이 높았다. 목산 이기경(李基敬), 석교 홍낙명(洪樂命) 등과 『이기체용(理氣體用)』 등을 공동 저술하였다....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약한 의병.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덕보(德甫), 호는 춘파(春坡).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후손이다. 할아버지는 금헌(琴軒) 이대윤(李大胤)이고, 아버지는 판서에 증직된 이엽으로, 지금의 임실군 둔남면 둔덕에서 태어났다. 활계 이대유의 문하에서 공부하고, 1606년(선조 39)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참봉에 제수되었다가 의금...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존중(存中), 호는 퇴사암(退思菴). 감사를 지낸 이감(李堪)의 손자이다. 중봉(重峰) 조헌(趙憲)의 문하에서 수학한 뒤 음직으로 관계에 들어가 참봉을 역임하였다. 만년에는 고향으로 돌아가서 스스로 퇴사암(退思菴)이라고 호를 짓고 학문을 연마하며 세월을 보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청주에서 조헌...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합천(陜川). 자는 방로(邦老). 홍문관교리 이척의 증손이며, 한성우윤 이광업(李光業)의 아들이다. 1636년(인조 14)에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같은 고을의 정치·이유형·김원중 등과 함께 창의하여 과천에 이르렀으나, 강화가 이루어졌다는 소식을 듣고 통곡을 하며 돌아왔다. 그후 영달에의 뜻을 끊은 채 산중에서 남은 생애를 마쳤다....
-
조선시대 전라북도 남원 지역에 있던 오수찰방이 관할하는 11역 중의 하나. 남원도호부에 본거를 둔 찰방은 오수역에 주둔하고 있었다. 과거 오수는 둔덕방이라 하여 남원도호부 48방 중의 하나로서 본 부의 직할 구역이었다. 오수찰방이 관할하는 기관에 11역 15원이 있었는데, 잔수역은 그중 잔수진에 설치되어 있는 11역 중의 하나로, 현재의 위치는 구례군 섬진강 유역이다....
-
전라남도 일대에 설치되었던 고려 전기의 행정구역. 고려 전기인 995년(성종 14) 9월에 전국을 10도로 분류, 개편하였다. 10도는 관내도, 중원도, 하남도, 강남도, 영남도, 영동도, 산남도, 해양도, 삭방도, 패서도였다. 해양도는 14주 62현을 관할했다. 해양도가 관할하던 주현은 나주(羅州), 광주(光州), 정주(靜州)[현 영광], 낭주(朗州)[현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