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701126
한자 密陽 明禮聖堂
영어공식명칭 Miryang Myeongrye Cathedral
이칭/별칭 성모승천성당,천주교 명례성지
분야 종교/기독교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경상남도 밀양시 하남읍 명례안길 44-3[명례리 1122-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상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897년 9월연표보기 - 밀양 명례성당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8년 - 신석복 마르코 기념성당 완공
문화재 지정 일시 2011년 2월 24일연표보기 - 밀양 명례성당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26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6월 29일 - 밀양 명례성당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지정 번호 삭제
현 소재지 밀양 명례성당 - 경상남도 밀양시 하남읍 명례안길 44-3[명례리 1122-1]지도보기
성격 성당
설립자 천주교 마산교구
전화 055-391-1205
홈페이지 밀양 명례성당(https://cafe.daum.net/myungrye)

[정의]

경상남도 밀양시 하남읍 명례리에 있는 천주교 마산교구 소속 성당.

[개설]

밀양 명례성당(密陽 明禮聖堂)은 1897년 순교자 신석복 마르코[1828~1866]의 생가터 바로 옆에 건립되었다. 경상남도에서 가장 먼저 설립된 성당이며 천주교 마산교구의 첫 본당이다.

[변천]

1887년 명례공소가 설립되었고 1897년 9월 본당으로 승격되었다. 초대 주임 신부는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와 최양업 토마스 신부에 이어 한국에서 세 번째로 사제 서품을 받은 강성삼 라우렌시오 신부이다. 밀양 명례성당은 1897년 신석복 마르코 생가 인근의 부지에 건립되었다가 1928년 권영조 마르코 신부에 의하여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

1936년 태풍으로 전파되어 주춧돌만 남아 있던 밀양 명례성당을 1938년 신자들이 성당이 무너진 자리에 원형을 축소 복원하여 성모승천성당으로 봉헌한 것이 지금의 밀양 명례성당이다. 이후 밀양 명례성당은 마산, 삼랑진, 진영 본당의 공소가 되었다가 본당 소재지가 이전함에 따라 한동안 아무도 사용하지 않는 빈 성당으로 방치되어 있었다.

2006년 밀양 명례성당 바로 옆에 있는 축사가 신석복 마르코의 생가터임이 밝혀지면서 명례 성지 조성화 사업이 시작되었다. 2008년 천주교 마산교구는 신석복 마르코의 생가터와 밀양 명례성당 주변을 성역화하기로 결정하고 명례성지조성추진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이후 2011년 신석복 마르코 생가터를 매입하고 사제관을 복원하였다.

명례성지조성추진위원회는 밀양 명례성당을 경상남도 문화재로 신청하여 밀양 명례성당은 2011년 2월 24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26호[2021년 6월 29일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지정 번호 삭제]로 지정되었다. 밀양 명례성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홑처마 우진각 지붕으로 지어졌으며 평면 구성은 좌측부터 제의실 1칸, 경당 4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출입구도 남녀 따로 두었으며 남녀석이 구분되어 있는 성당 내부의 목조 구조는 전국에 몇 남지 않은 오래된 형태이며 초기 천주교회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 준다.

밀양 명례성당 옆 신석복 마르코의 생가터에는 2018년 신석복 마르코를 기리는 신석복 마르코 기념 성당이 완공되었다. 신석복 마르코 기념 성당은 밀양 명례성당을 위축시키지 않고 오히려 돋보이게 지어졌으며 200석 규모의 성전과 전시관, 세미나실 등이 갖춰져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밀양 명례성당명례 지역을 신앙 선조들의 삶과 신앙을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하는 사업을 펼치고 있으며 담당 신부가 상주하면서 미사를 드리고 있다. 미사 시간은 하절기[4월~10월]에는 매주 토요일 오후 4시이고, 동절기[11월~3월]에는 매주 토요일 오후 3시이다.

[현황]

밀양 명례성당은 성모동산, 야외 제단 및 신석복 순교자를 모신 순교자 탑과 신석복 마르코 기념 성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경상남도 지역에서 가장 일찍 설립된 천주교 성당인 밀양 명례성당은 천주교 마산교구의 영적 고향이자 초기 신앙 선조들의 삶과 신앙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