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0201
한자 果樹
영어음역 gwasu
영어의미역 fruit tree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고성보

[정의]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생산·판매를 목적으로 기르는 과실.

[개설]

산야에 자생하고 있는 나무에 맺는 과실은 많지만 식용이 불가능한 과실을 맺는 나무는 과수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산야에서 원예 기술적으로 생산하지 않고 식용이나 공업용 원료로 쓰이는 과실을 맺는 나무들을 유실수(有實樹)라고 한다. 유실수 중에 식용이 가능하고 집약적으로 재배되는 나무는 과수에 포함시킬 수 있다.

야생 밤나무라도 가지치기를 하고 비료를 주며 병충해 방제를 집단적으로 관리할 때 과수라 할 수 있다. 은행나무의 경우 집 안에서 기르면 열매를 맺어 식용이 가능하지만, 은행나무는 조경수(造景樹)로서의 역할이 크기 때문에 과수가 아니다.

또한 딸기의 경우, 미국의 학자들은 양과수에 포함시키지만, 한국이나 일본의 학자들은 채소로 취급한다.

[과수 생산]

제주도에서 일반 과수인 낙엽 과수는 재배 면적 및 생산량이 미미하여 통계상 제외되어 왔으나 1970년대에 들어 열대 과수인 파인애플이 재배되면서 1973년 1.7㏊에서 11톤이 생산된 것을 시발로 시설 재배를 하기 시작하였다.

파인애플은 1989~1990년도에는 272㏊의 재배 면적에 8,691톤이 생산되면서 제주도 농가 수익이 104억 원에 이르러 수익 구성비 1.9%를 점유하는 등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1990년 이후 재배 면적이 감소하면서 2002년에는 19㏊에서 357톤의 수확을 하는 등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04년 현재 10.7㏊의 면적에서 194톤을 생산하고 있다.

바나나는 1984년에 재배 면적 13.3㏊에서 319톤이 생산되었음이 『제주통계연보』에 집계된 것을 시초로 1989년에서 1990년도에 재배 면적 440㏊에서 2만 1,770톤을 생산하여 최대 생산량의 정점을 이루었다. 바나나는 우리나라 농업사에 단기간에 걸쳐 최대의 생산량을 나타낸 작물로 기록될 것이다.

1990년 바나나의 수익은 544억 원으로 제주 지역 전체 농업 수익 구성비 9.7%를 점유하였다. 그리하여 감귤 산업에 이은 제2의 소득 작물로 부상하였으나 1993년도 이후 통계에서 사라지는 등 10년 사이에 가장 큰 기복을 보였다.

참다래는 1984년부터 『제주통계연보』에 따르면 72㏊에서 62톤을 생산한 것을 기점으로 1996년 재배 면적 234㏊에서 1997년 3,313톤을 생산하였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2002년 149㏊에서 2,138톤을 생산하면서 수익 52억 원으로 제주도 농업 수익 구성비에서 0.8%를 점유했다.

제주도에서 감은 식용을 위해서라기보다 옷감, 또는 어구 등에 사용할 목적으로 농가에서 재배하였다. 최근 들어서는 단감의 품종이 새롭게 개발되고 재배법이 발전하면서 제주도는 1988년 『제주통계연보』를 보면 36㏊에서 75톤을 생산하였다.

2001년에는 재배 면적 239㏊에서 2,296톤을 생산하여 농가 수익 149억 원을 달성하여 수익 구성비 1.8%를 점유하였다. 2004년에는 173.8㏊에서 1,578톤이 생산되어 다소 줄어들기는 하였으나 일반 낙엽 과수로서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제주도의 감귤은 개량 감귤이 재배되기 이전, 제주 지역의 특산물로 조정에 진상하거나 한약재로 활용하였다. 개량 감귤은 1900년대에 서귀포 일부 지역에서 감귤원을 개원하면서부터 재배가 시작되었는데, 일반 농가에 보급된 것은 1930년대에 들어서부터이다.

제주도 감귤 산업은 1960년대부터 증식되기 시작하면서 2002년에는 79만 톤의 생산량을 보였으나 이후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가격 파동을 비롯한 감귤 산업 전반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더욱이 1993년 우르과이 라운드 협상이 타결되어 1995년부터 오렌지 수입이 허용되고 1997년에 오렌지 농축액이 전면 수입, 개방되면서 제주도의 감귤 산업은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