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금성리에 있는 용천수. 갯물은 바닥에서 솟아나고 유량이 적다 하여 ‘생이물’이라고도 전해진다. 갯물은 제주시 애월읍 금성리 남당물에서 서쪽으로 약 100m 떨어진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다. 남당물이 남탕의 역할을 한다면 갯물은 여탕의 역할을 한다. 지금은 새로 정비되어 두 칸으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아낙네들의 빨래터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곽지리에 있는 용천수. 모래밭에서 솟아나는 용천수로 그 물량이 많고 수질도 매우 좋은 편이며, 남탕과 여탕으로 구분한 이용 시설이 만들어져 있다. 과물은 한라산에서 흘러내리기 시작한 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어 100리를 내려와 곽오름을 배경으로 바닷가에서 솟는 달콤한 감수라는 뜻으로 제주어로 돈물이다. 곽지 해변에 위치해 있...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귀리에 있는 용천수. 관전동물은 관청(官廳) 소유의 땅에 세워진 마을에 있는 용천수라는 데서 유래하였으며 이 용천수 인근에 귀일 소주 공장이 있다 하여 ‘공장물’이라 부르기도 한다. 관전동물은 제주시 외도동과 제주시 애월읍 하귀리 경계 지점인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다. 관전동물은 다른 용천수와 달리 모두 네 칸으로 나누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귀덕2리에 있는 용천수. 굼들애기란 물오리처럼 자맥질하는 것을 말하는데 전설에 의하면, 황혼이 짙을 무렵 몸에 상처를 입은 인어가 굼들애기물에서 목욕을 한 후 상처가 치료되자 마을을 향해 고맙다는 듯 꾸벅꾸벅 인사를 하고 자맥질을 하며 바다로 돌아갔다고 한다. 굼들애기물은 인어의 자맥질하는 모습을 묘사한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금성리에 있는 용천수. 지금은 흔적을 찾을 수 없지만 옛날 이 용천수로 인해 남당이라는 당집이 세워졌고 주민들이 당집을 찾아 가족의 건강과 집안 번성을 위한 치성을 드리던 장소였다고 한다. 남당물은 제주시 애월읍 금성리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다. 남당물은 인위적인 손길이 닿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옛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여름철 무더...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귀덕1리에 있는 용천수. 되물은 기저용천수로 용암류 경계형(용암류가 서로 접촉하는 경계면 또는 가장자리나 용암류의 말단부를 따라 용출하는 형태)이다. 용출 지점 주변이 됫박형태를 하고 있어 이 모양을 보고 되물이라고 이름 붙여졌다. 용출량은 1일 평균 3,580㎥이지만 용천수 주변 여러 군데에서 분산되어 많은 양이 용출되고 있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동명리에 있는 용천수. 문씨가 판 용천수라는 데서 유래되었다 하나 확실하지는 않다. 인근 묘비에 문도수(文道水)[문도물]로 표기된 것으로 보아 원래 ‘문도물’이라 부르다가 ‘문두물’이 된 것으로 보인다. 문두물은 예전 모습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바위틈에서 솟아나는 용천수로 상수도가 보급되기 전 주민들의 중요한 식수원이었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에 있는 용천수. 사원이물의 정확한 유래는 확인되지 않으며 ‘사원잇물’이라고도 한다. 사원이물 용출 지점 위쪽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두 개의 원형 식수통이 설치되어 있다. 원형 식수통의 크기가 다른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식수로만 사용했던 용천수라기보다 신성하게 생각했던 용천수로 여겨진다. 용출량은 1일 평균 780㎥...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신엄리에 있는 용천수. 새로 만들어진 물이라고 해서 새물이라고 전해진다. 용출지점은 거대한 용암류 하부에서 용출하고 있으며, 해안도로보다 약 10m 저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새물은 예전에 안방물과 함께 마을 주민들의 식수원으로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생활용수와 빨래터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여름철에는 피서객과 어린이들의 물놀이 장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한수리에 있는 용천수. 물이 솟아오른다 하여 ‘솔패기물’이라 전해지고 있다. 솔패기물은 제주시 한림읍 한수리 해안도로와 인접한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다. 용출 지점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돌담을 둘러쌓은 것이 특징이며 최근 솔패기물 출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주변을 정비하였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고내리에 있는 용천수. 신이물은 옛날 신의 계시에 의해서 이 용천수가 발견되었다는데서 유래되었다. 바다 가까이에서 용출하는 까닭에 밀물 때는 물맛에 소금기가 있으나 썰물 때는 수량도 많고 시원하다. 촘촘히 쌓아있는 환해장성이 물통 주변을 보호하고 있어 용천수와 더욱 조화를 이루고 있다. 신이물 주변은 자연석으로 둘러쳐 있...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에 있는 용천수. 어떤 사람은 과거 애월진을 수비했던 장군이 이용했다고 하여 장군물이라고 하고, 김신현(金信鉉)의 재정 지원으로 장익준(張翼駿)이 치수를 했기 때문에 장공물이라고 부른다고도 전한다. 현재 이 샘에는 치수비가 보존되어 있다. 하물에서 동남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한 5~6평 정도의 용천이다. 하물이 과거 여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신촌리에 있는 용천수. 큰물은 물줄기가 크게 세 가닥으로 솟아나고 있으며, 각각 서편물, 동편물, 몰물로 구분하여 불려지고 있다. 용천수 중에서도 용출량이 많아 큰물이라고 불리고 있다. 이들 용천수는 보호시설 및 관리가 잘되고 있으며, 1일 용출량도 6,000~17,000㎥이다. 최근에는 빨래터와 주민들의 생활용수로 활용되고 있으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에 있는 용천수. 20~30년 전 돌을 파내다가 물이 솟아나자 우물로 만들었으며 탕탕물은 물이 탕탕하게 솟아난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탕탕물의 동쪽에는 농경지와 지미봉이 자리 잡고 있으며 남쪽에는 드넓은 갈대밭이 펼쳐져 있다. 탕탕물 인근은 원래 용천의 수량이 풍부하여 제주도에서 논농사가 가능했던 지역 중 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귀1리에 있는 용천수. 샘 구멍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온 물은 1차로 음용수가 되고 풍부한 물줄기는 다시 40평 크기의 또 다른 샘물통으로 모아지는 모양을 하고 있다. 병풍내라는 하천에 있는 물이라는 뜻이다. 병풍내는 하귀1리와 하귀2리의 경계선이 된다. 펭풍은 병풍의 제주 방언이다. 샘가 주위를 커다란 바위들이 마치 병풍을 두른...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에 있는 용천수. 하물은 바위틈에서 용출하는 용천수로 그 양이 풍부하고 수질이 좋아 상수도가 보급되기 전 애월 주민들의 식수로 이용되었다. 하물은 큰물이란 뜻이다. 하물은 마을 중심에 있으며 주민들의 생활용수와 부녀자들의 빨래터와 노천 목욕탕으로 사용했었다. 이곳은 마을의 정보를 서로 교환하는 장소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