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식구들의 밥이나 고구마 등을 담는 그릇으로 사용하던 나무 그릇. 나무로 만든 바가지라는 의미로 ‘낭박세기’, ‘낭박’, ‘남박새기’라고도 부르는 남박은 보통 식사 때 식구들이 모두 먹을 밥을 담는 그릇으로, 일인용 밥그릇보다 큰 밥사발을 말한다. 귀가 붙은 귀남박은 간식인 범벅이나 찐 고구마를 담는 용기로 ‘남박새기’라고도 한다. 남박은 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곡물을 도정하거나 분쇄할 때 썼던 농기구. 남방애는 제주 여러 지역에서 불렸던 명칭으로, 지역에 따라 ‘남방아’ 또는 ‘남방에’로도 불렸다. 남방애는 커다란 통나무를 이용해서 만들었는데, 남방애와 구분하기 위하여 돌로 만든 것을 ‘돌방애’라고 불렀다. 껍질이 많은 조를 주곡(主穀)으로 재배했던 제주 지역에서 가장 필요했던 도구가 곡물의 껍질을 벗...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주로 조밭을 밟을 때 썼던 농기구. 남테는 주로 여름 농사인 조 농사를 지을 때, 조의 씨를 뿌린 후 씨앗이 잘 묻히도록 흙을 단단하게 밟는 데 썼던 농기구였다. 남테는 바람이 많고 화산 회토로 이루어진 화산섬 제주에서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였던 고유한 농기구로, 이 땅의 선인들이 만들어 낸 문화적 산물인 셈이다. 말들이 무리지어 ‘밭 밟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떡이나 과일, 채소 등을 담기 위해 만든 나무 접시. 낭쟁반은 나무로 만든 쟁반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나무를 둥글게, 혹은 사각형으로 넓고 낮게 깎아서 물건을 담았던 나무 그릇으로, 지금의 접시에 해당한다. 손님상에 놓이는 낭쟁반은 바닥을 편편하게 만들어 사용했고, 제상에 놓이는 낭쟁반은 바닥에 굽을 붙여 이용하였는데, 후대로 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멍석 위의 곡식을 모으거나 펴는 데 사용하는 농기구. 당그네는 가늘고 기다란 나무 막대에 직사각형의 널판을 직각으로 붙여 만든 목재 민속품이다. 주로 멍석 위에 널어 말리는 보리 등의 곡식을 긁어모으거나 펴는 데 사용했다. 멍석을 이용하는 지역에서는 보편적으로 이용하는 농구기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널판이 위로 가도록 거꾸로 세워 두거나 높은 곳...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떡가루를 반죽하거나 많은 양의 물건을 담아 두고 쓰던 용구. 지역에 따라 도고리라고도 부르는 도구리는 넓고 낮은 불완전 원형으로 만든 생활 용구로서, 제주 지역에서 흔하게 쓰이던 나무 그릇이다. 도구리는 크기에 따라 쓰임이 조금씩 달랐다. 가장 큰 도구리는 육지의 것과 견준다면 배함지격인 고렛도구리이고, 그 다음 크기가 주로 떡가루를 반죽할...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곡물의 낟알을 떠는 데 쓰는 농기구. ‘도께’, ‘도리깨’로도 불리는 도깨는 보리·조·콩·참깨·유채 따위의 곡물을 두드려서 탈곡하는 농기구이다. 두 손으로 잡고 서서 작업을 하게 되는데, 어깨 뒤로 넘겼다가 앞으로 돌리면서 때렸다. 기다란 나무를 이용하여 손잡이를 만들고, 가장자리에 구멍을 뚫은 뒤 가늘고 질긴 나무를 끼워 돌아가게 하였다. 두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떡을 모양 있게 만들기 위해 찍어내는 틀. 제주 지역에서는 보름달 모양의 떡을 ‘절변’, 반달 모양의 떡을 ‘솔변’이라고 부르며, 절변과 솔변을 만들 때 쓰는 떡본 역시 ‘절변본’, ‘솔변본’이라고 구분하여 부른다. 솔변과 절변은 모두 제상이나 명절상에 기본으로 오르는 떡인데, 솔변은 차오르는 달의 정기를 의미하며, 절변은 둥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떡을 담아 두거나 운반할 때 사용하던 대나무 그릇. 지역에 따라 ‘떡차롱’이나 ‘차롱착’이라고도 불렸던 떡차반지는 장방형의 도시락처럼 만들어진 대나무 그릇이었다. 떡이 쉽게 마르지 않고 먼지가 들어가지 못하게 뚜껑을 덮어서 사용하였다. 떡차반지는 제주 지역의 대표적인 죽공예품인 구덕과 만드는 방법이나 모양이 비슷한 용구이다. 구덕이 단순히...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주로 남박에 밥을 풀 때 사용하던 부엌 용구. 지역에 따라 ‘밥주걱’이나 ‘우금’이라고도 불렸던 밥자는 한꺼번에 많은 밥을 큰 그릇에 담을 때 주로 사용하던 주걱이다. 예부터 제주 지역에서는 식사 때 밥을 식구수대로 그릇에 담지 않고 남박에 한꺼번에 담아서 같이 먹었는데, 그 때 많은 밥을 한 번에 풀 수 있는 주걱이 바로 밥자였다. 보통...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음식물이 솥에 눌어붙거나 타지 않도록 저을 때 쓰는 부엌 용구. 배수기는 죽을 쑬 때 사용하는 막대기인 ‘죽젓개’의 제주방언이다. 지역에 따라서 ‘죽젓광이’, ‘남죽’, ‘남술’, ‘베술기’, ‘베술지’, ‘저수게’라고도 불리는 배수기는 너무 두껍지 않은 장방형의 긴 막대를 이용하였다. 특히 콩죽을 쑬 때는 배수기로 오래도록 잘 저어 주어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곡식의 껍질을 벗기거나 분쇄할 때 쓰던 간이 도정기. 통방애는 원통형의 목재를 세운 뒤 속을 파내어 만든 도정기로, 우리나라 전 지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절구와 비슷한 형태의 농기구이다. 지역에 따라 ‘통방아’, ‘통절구’라고 불리는 통방애는 디딜방아에 비해 가볍고 작아서 이동이 자유로웠다. 통방애는 주로 부녀자들이 소량의 곡식 껍질을 벗기거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물을 길어 나르거나 죽, 술, 씨앗 등을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항아리 허벅은 험한 길을 오갈 때 편리하게 등에 지고 다닐 수 있도록 만든 운반용 항아리이다. 장방형의 구덕에 담아 짊어지고 다닐 수 있도록 만든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제주 지역에서만 만들어서 쓰고 있다. 우리 민속 어디에도 허벅이나 이와 비슷한 기능을 지닌 다른 용품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