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건입동에 있는, 제주 지역의 문화재를 수집·보존하고 연구·전시하는 국립 박물관. 제주 지역 출토 문화재의 수집·보존을 통하여 제주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전시하며, 다양한 교육 문화 프로그램을 통해 제주 문화의 특색을 조명하는 한편, 지역 문화 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국립 제주 박물관은 1992년 착공하...
-
조선 후기 제주에 유배된 문신. 본관은 안동. 자는 형숙(亨叔), 호는 산수헌(山水軒). 증조부는 권상하(權尙夏)이며 아버지는 제주목사를 역임한 권정성(權定性)이다. 어릴 때부터 학문과 덕행이 높은 한원진(韓元震)의 문하에서 배웠다. 독서에 전념하여 과거 시험을 보지 않았으나 초선(抄選)에 뽑혀 자의(諮議)가 되었다. 1771년(영조 47) 영조의 탕평책을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
조선 말기 제주에 유배된 무신. 고종의 아관파천으로 친러 정권이 성립하자, 이에 불만을 품은 세력이 1897년(고종 34) 11월 11일 회합을 갖고 독립협회가 독립문의 기초를 세우는 축하식을 거행하는 날에 군사 정변을 일으킬 것을 모의하였다. 그러나 이용태(李容泰)가 밀고하여 김낙영을 비롯한 정변 모의자 이근택(李根澤)·김사찬(金思燦)·장윤선(張允善)·이용호(李容鎬)·...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있었던 조선 후기에 세워진 교육 기관. 조선시대에 설립된 사설 교육 기관으로 재생과 늠료를 두었다. 서당은 종래의 여러 교육 기관과 성격이 다르지만 교육 기관이라는 이유로 특권적인 보호를 받을 권리가 있다는 의식이 강하였다. 이러한 특권적인 보호는 특히 군역 면제라는 형태로 나타났다. 남서학당은 제주목 상가에 있었는데, 지금의 제주특별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등동에 있었던 조선 말기에 세워진 사설 교육 기관. 조선 말기에 접어들면서 사설 교육 기관 설립이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1833년(순조 33)에 한응호(韓應浩) 제주목사가 남학당을 세웠다. 1846년(헌종 12) 이의식(李宜植) 제주목사는 군역의 폐해를 이유로 남학당과 우학당 등 삼학당(三學堂)을 폐지하고 학당의 학생들을 고강(考講: 강경(...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있었던 조선 후기에 세워진 교육 기관. 조선시대에 설립된 사설 교육 기관으로 재생과 늠료를 두었다. 서당은 종래의 여러 교육 기관과 성격이 다르지만 교육 기관이라는 이유로 특권적인 보호를 받을 권리가 있다는 의식이 강하였다. 이러한 특권적인 보호는 특히 군역 면제라는 형태로 나타났다. 남학당은 제주목 오등에 있었는데, 지금의 제주특별자치...
-
조선 후기 제주에 유배된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자는 중초(仲初), 호는 휴곡(休谷). 아버지는 오정규(吳挺奎), 어머니는 이여황(李如璜)의 딸이다. 1662년(현종 3년)에 증광시 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다. 1680년(숙종 6) 남인 일파가 서인에 의해 대거 축출된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 때 허적(許積)에게 아첨하였다 하여 파직되었다. 1689년(숙종 15) 소의 장...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있었던 조선 후기에 세워진 교육 기관. 조선 후기에 설립된 사설 교육 기관으로 재생과 늠료를 두었다. 서당은 종래의 여러 교육 기관과 성격이 다르지만 교육 기관이라는 이유로 특권적인 보호를 받을 권리가 있다는 의식이 강하였다. 이러한 특권적인 보호는 특히 군역 면제라는 형태로 나타났다. 우학당은 제주목 명월에 위치하고 있었다. 지금의 제...
-
조선 중기 제주에 유배된 왕족. 본관은 전주. 자는 자강(子强), 호는 규창(葵窓). 할아버지는 선조, 아버지는 선조의 일곱째 아들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이며, 어머니는 윤휘(尹暉)의 딸이다. 부인은 풍산심씨이다. 아버지 인성군은 광해군 때 인목대비 폐위를 적극 지지한 바 있었다. 이것이 빌미가 되어 반정공신 이귀(李貴)가 인성군이 광해군 복위를 모의하고 있다고 무고하였다....
-
조선 중기 제주도에 유배된 문신.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김굉필(金宏弼)의 문하에서 공부하였으며, 조광조가 개혁 정치의 일환으로 실시한 현량과에 천거되었다. 기묘사화로 조광조가 투옥되자, 성균관 유생들과 함께 무죄를 호소하다 1520년(중종 15) 제주도에 유배되어 대정현에서 유배 생활을 하였다. 유배 생활 중 제주 유생들을 가르치는 일로 나날을 보냈는데, 7년 동안 길...
-
조선 후기 제주에 유배된 문신. 본관은 풍천. 자는 숙빈(叔賓)이다. 아버지는 임섬(任暹)이며 어머니는 송필훈(宋必勳)의 딸이다. 1756년(영조 32) 정시 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다. 1767년(영조 43) 정언 재임 중 언론의 중요성, 『어제유곤록(御製裕昆錄)』의 불합리한 서술, 재상의 잦은 교체, 제술(製述) 시험 때 성균관 유생을 모독한 도승지 송영중(宋瑩中)의 파직...
-
조선 후기 제주에 유배된 문신. 본관은 풍천. 자는 성능(聖能), 호는 서재(西齋). 아버지는 집의 임형(任泂)이며, 어머니는 이의저(李義著)의 딸이다. 부인은 호조판서 김진구(金鎭龜)의 딸이다. 1713년(숙종 39) 진사가 되고 이듬해 증광시 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다. 1721년(경종 1) 세자 책봉을 둘러싸고 일어난 신임사화로 삭직되었다가 1725년(영조 1) 노론이...
-
조선 후기 제주도에 유배된 무신. 본관은 인동(仁同). 아버지는 사역원부공사 장경이며, 역관 장현(張炫)의 종질이다. 숙종의 비이고 경종의 어머니인 희빈 장씨의 오빠이다. 희빈 장씨가 숙종의 총애를 독차지하자 포도대장격인 금군별장이 되었다가 1692년(숙종 18) 총융사로 승진하였다.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甲戌換局)으로 인현왕후가 복위하자 희빈 장씨와 함께 인...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도남동에 있는 교육민주화를 위해 조직된 교원 단체.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산하 제주지부로서 교육현안의 근본적인 해결을 모색하고 제주 지역의 교직원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각종 문화·교육 행사를 시행한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제주지부는 교육민주화 운동의 구체적 실천으로 참교육 실현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0년대 들어 교사들이 교육 현...
-
조선 중기 제주도에 유배된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휘원(輝遠), 호는 동계(桐溪)·고고자(鼓鼓子).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아버지는 정유명(鄭惟明)이며, 어머니는 장사랑 강근우(姜謹友)의 딸이다. 1601년(선조 39) 진사가 되고, 학행으로 천거되어 참봉에 임명되었다. 1610년(광해군 2) 별시 문과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였다. 광해군 때 영창대군이 강화부사 정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라2동에 있는, 제주 지역의 교육 관련 연구를 위해 설립된 연구원. 교육 연구를 활성화하여 교원의 전문성을 신장시키며, 수준 높은 교육 현장 지원을 통하여 제주 지역의 교육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52년 내한한 제1차 미국 교육 사절단의 권고를 받아들여 문교부와 대한 교육 연합회가 공동 운영하는 형식으로 1953년 중앙...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 대학로에 있는, 제주 지역의 문화재를 수집·보존하고 연구·전시하는 제주 대학교의 부속 박물관. 제주 지역을 중심으로 국내외의 고고·미술·역사·민속·인류학 분야의 자료를 수집·전시·보존하여 관계 연구원, 교직원, 학생들의 연구에 공헌하며 유물, 유적, 풍속 등을 조사 연구하여 지역 사회의 문화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2동에 있는, 제주 지역의 교육에 관한 자료를 전시해 놓은 교육 전문 박물관. 제주교육박물관은 제주 지역 교육의 변천 과정을 정리하고 제주 교육의 미래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4년 5월 15일 박물관 설치 승인을 받은 데 이어 6월 23일 제주교육박물관 설치 조례(제1906호)를 제정하였다. 1995년 4월 29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도1동에 있는, 제주 지역 학생들의 인터넷 원격 교육을 위해 설립된 방송센터.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주문형 교육(EOD: Education On Demand)의 실시로 교육 공동체 구성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교육 행정을 구현하고, 교육 환경과 수업 방법의 획기적인 변화를 수용함으로써 현재 구축되어 있는 인터넷 네트워크 기반 시설 활용을 극대화하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1동에 있는 제주 지역 교원의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과 교권의 옹호·확대를 위해 조직된 교원 단체. 제주도 교원단체총연합회는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의 지역 조직으로 「교육기본법」 제15조에 근거하여 조직되었으며 단결권과 단체 결성권이 보장된 합법적 교원 단체이다. 교원 지위 향상을 위한 특별법에 의거 대 정부와의 교섭·협의권을 갖고 있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1동에 있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도서관. 나날이 쏟아지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시각 장애인들은 경험의 제한과 정보 접근의 단절로 인해 사회생활 및 문화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정보 습득의 한계로 장애의 골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시각 장애인들의 생활 능력 향상과 교육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점자 도서관의 필요성이 제기되었...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동에 있는, 제주 지역의 교육 운동을 추진하기 위해 설립된 사회단체. 1968년 8월 동아일보사와 주한미국공보원은 ‘Community Action in A Changing World’를 주제로 국제회의를 공동 개최했다. 이 자리에 미국의 지역 사회 학교 실천 경험을 영화화한 「To Touch A Child」가 참고 자료로 소개되었다. 「...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동에 있는, 제주 지역 여성의 능력개발과 여성문화 전승 및 창조를 위하여 설립된 복합문화공간. 여성의 지위 향상, 사회 참여 기회 확대는 물론 사회적 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와 연구를 통한 정책을 개발하는 등 여성의 권익 신장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69년 여성 교육 기관인 여성회관으로 개관하였다. 1997년 3월 여성회관이 추진하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2동에 있는, 제주 지역 학생들의 교양 증진과 정서 함양을 위해 설립된 비영리 문화 단체. 제주학생문화원은 제주도 학생회관 설치 조례에 의거하여 제주 지역 학생 문화진흥을 위한 문화 사업을 수행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2년 4월 20일 제주도 학생회관을 개관하였으며 초대 관장으로 김잉희가 취임하였다. 1988년 하부 조직으로 서무...
-
조선 후기 제주도에 유배된 문신. 본관은 양주. 자는 국보(國甫), 호는 회헌(悔軒).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아버지는 조태채(趙泰采)이며 어머니는 청송 심씨 부사(府使) 심익선(沈益善)의 딸이다. 1714년(숙종 40) 증광시 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하고 1715년(숙종 41) 검열이 되었다. 1716년(숙종 42) 도당록(都堂錄)에 선입되고 수찬·정언·부교리·교리·헌납 등을...
-
조선 후기 제주목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양주. 자는 성경(成卿)·태성(台城), 호는 정헌(靜軒)·대릉(大陵). 우의정 조태채(趙泰采)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조겸빈(趙謙彬), 아버지는 이조참판 조영순(趙榮順)이며, 어머니는 김시눌(金時訥)의 딸이다. 부인은 홍지해(洪趾海)의 딸이다. 1775년(영조 51) 별시 문과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여 별검(別檢)이 되었다. 1777년(정...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에 있는 조선시대에 세워진 사설 교육 기관. 조선시대에 설립된 사설 교육 기관으로 재생(齋生)과 늠료(廩料)를 두었다. 서당은 종래의 여러 교육 기관과 성격이 다르지만 교육 기관이라는 이유로 특권적인 보호를 받을 권리가 있다는 의식이 강하였다. 이러한 특권적인 보호는 특히 군역 면제라는 형태로 나타났다. 좌학당의 위치는 제주목 세화인...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라2동에 있는, 제주 지역 학생들의 인성 교육과 교원, 교육 행정 직원 등의 연수를 실시하는 교육 기관. 학생들의 심신 수련과 인성 교육을 통하여 건전하고 도덕적 품성을 갖춘 조화로운 인격 형성을 도와주며, 각종 연수 운영으로 교원과 교육 행정 직원 등의 자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0년대 들어 정부는 각 시·도교육위원회 산하에 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