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출토된 신석기시대의 수렵 도구 또는 무기.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출토된 창끝 석기는 고산리 유적에서 확인된 타제 창끝 석기가 대표적이다. 이 창끝 석기는 고산리 출토 타제 석촉과는 달리, 그 크기가 5㎝ 이상 된다. 형식은 무경식·유경식·유엽형으로 나뉘며, 날 부분은 모두 눌러 떼기 기법으로 2차 가공되었다. 창끝 석기는 동북아시아 지역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유적에서 출토된 신석기시대의 융기문이 시문된 토기. 융기문 토기는 표면에 삼각형 또는 원형의 점토띠를 덧붙인 것과 표면을 꼬집어 내어 융기문 효과를 나타낸 토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점토띠에 각목이나 자돌의 시문 여부에 따라 융기대문(隆起帶文)과 융기선문(隆起線文)으로 구분된다. 제주도에서 출토된 융기문 토기는 고산리 유적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유적에서 출토된 신석기시대의 사냥 도구. 첨두기는 비교적 대형 동물을 찌르기 위해 선단부과 측연부에 날을 만든 근거리용 사냥 도구이다. 우리나라 후기 구석기시대의 첨두기는 소재(type), 제작 과정(debitage), 잔손질 수법(technique de retouche)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대체적으로는 박편 첨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고산리 동굴 입구 집자리에서 출토된 신석기시대의 토기. 압인은 신석기시대 전 시기에 걸쳐 복합적으로 사용된 시문 방식이다. 대체로 자돌·압날 방식과 함께 신석기시대 전기에 주로 사용된 대표적인 시문 방식이다. 고산리 출토 압인문 토기는 목 부분에 압인문이 시문된 호형 토기를 복원한 것이다. 압인문은 끝이 뾰족한 시문구를 이용하여 규칙적인...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에서 출토된 신석기시대의 토기. 고산리에서 확인되는 토기는 식물성 섬유질 토기(ⅠA형식)·무문양 토기(ⅠB형식)·융기평행선문 토기(ⅡA형식)·융기태선문 토기(ⅡB형식)·압형방격문 토기(Ⅲ형식)·압날자돌문 토기(Ⅳ형식)·압날지종문 토기(Ⅴ형식)로 세분된다. 이 중 고산리식 토기는 식물성 섬유질 토기(ⅠA형식)를 말한다....
-
제주특별자치도 지역에서 뗀석기를 도구로 만들어 사용한 시대. 구석기 시대는 유인원과(hominid)의 공통 조상으로부터 분리·진화하여 정착 생활을 통한 농경과 어로를 특징으로 하는 신석기 시대까지의 시기이다. 제주도에서 구석기 시대 유적은 북제주군 애월읍 어음리 빌레못 동굴 유적과 서귀포시 천지연 유적이 있다. 전자는 동굴 입구 집자리, 후자는 바위 그늘 집자리로 분류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동김녕리에 있는 신석기시대의 생활 유적. 유적은 제주시 구좌읍 동김녕리 입산봉 북편 자락에 위치한다. 유적은 해안과 약 500m 떨어져 있으며, 해발 고도 10~15m 정도의 완만한 평탄 대지 위에 자리한다. 주변에는 만장굴, 궤내기 동굴 등의 자연 동굴과 유적이 분포하고 있다. 김녕리 유적은 1997년에 일주 도로를 대체하는 우회...
-
석기 시대의 석기 잔손질 기법의 일종.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에서 출토된 고산리 석기는 잔손질 기법으로 2차 가공된 석기들로서 후기 구석기 최말기에 등장하는 발달된 기술을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돌핵 석기를 제외하고 석기를 만들 때는 1차적으로 박편이나 돌날을 원석이나 돌핵으로부터 박리시킨 후, 이를 다시 다듬거나 잔손질(2차 가공, Retouche, Re...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출토된 신석기시대 후기 토기. 경상남도 합천군 봉계리 유적에서 시기의 연속성을 가지고 출토되어 명명된 토기이다.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 동굴 유적의 최하층과 서귀포시 성읍리 유적에서 토기편이 다수 출토되었다. 봉계리식 토기의 형태는 바리 모양이다. 구연부는 약간 직립하거나 외반되어 있으며, 구연부와 동체부 상단에 최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 고두기 언덕에 있는 신석기시대의 바위 그늘 유적. 북촌리 선사 주거 유적은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의 동쪽에 위치해 있다. 해안으로부터 남쪽으로 600m 정도 떨어져 있다. 해발 20m 들판 가운데에 용암 동굴의 천정부가 무너져 직경 60m의 함몰지가 형성되어 있다. 주변에는 소나무 숲과 경작지가 조성되어 있다. 북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어음리에 있는 구석기시대 중기의 동굴 유적. 빌레못 동굴 구석기 유적은 제주시 애월읍 어음2리 70번지 일대 중산간 지역인 ‘빌레못’ 연못 주변에 위치한다. 화산 폭발로 생긴 용암 동굴 내에 형성되어 있다. 주변에는 대부분 임야로 초지가 형성되어 있다. 1971년에 제주도 산악회원에 의해 처음 발견된 후, 1973년 3월에 조사를...
-
제주특별자치도 지역에서 구석기 시대와 중석기 시대를 이어 나타나는 간석기를 도구로 만들어 사용한 시대. 지구 상의 기후가 빙하기에서 현재와 같은 홀로세(Holocene)의 간빙기로 접어드는 시기는 대략 12,000~10,000년 전이다. 이 시기는 과거 구석기 시대의 사람들이 잡아 먹던 대형 동물들이 변화된 자연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절멸되면서 지구 상에 남아 있던 사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출토된 신석기시대 만기의 토기. 구연부에 점토로 된 띠를 덧대어 만든 토기로, 형태는 깊은 바리 모양이 대부분이며, 항아리 모양과 얕은 바리 모양도 일부 있다. 제주 지역에서 확인된 이중구연토기는 해안가의 패총을 중심으로 출토되었으며, 신석기시대 만기에 사용되었다. 육지에서 확인된 이중구연토기와 비교할 때, 이중 구연에 거치문(鋸齒文)...
-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출토된 신석기시대 후기의 대표적인 토기. 점렬무늬 토기는 남해안을 비롯한 제주 지역 일원에서 신석기시대 후기에 주로 확인되는 토기이다. 점렬무늬 토기는 시문 방법에 따라 눌러 그은 압인문과 눌러 찍은 압날문으로 구분된다. 제주 지역에서는 주로 삼각 점렬무늬와 원형 점렬무늬가 확인되고 있으나, 자돌문, 압인지자문 등 기하학적 점렬무늬도 일부 확...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에 있는 신석기시대 초기의 생활 유적. 1991년에서 1998년까지 4차례의 발굴 조사가 실시되었다. 조사 결과, 후기 구석기 전통의 세석핵(細石核)·세석인(細石刃)·첨두기(尖頭器)·석추(石錐)·원형 소기(搔器)·소형 소디(搔器)·긁개·삭기(削器)·홈날 석기·양면 석기·가공흔 석기·시병 연마기(矢柄硏磨器)·망치돌·역석(礫石) 등의 석기와...
-
제주도 사람들의 조상으로 추정되는 원주족. 제주도에 언제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고, 그 선사인은 어디에서 왔으며, 어떤 종족인가에 관하여는 많은 주장이 있다. 제주도의 원주족과 관련한 논란은 많으나 아직까지 명확한 결론은 나오지 않은 상태이다. 제주도에서 가장 오래된 선사 유적은 애월읍 어음리에 있는 어음동굴 유적이다. 1973년에 처음 발견된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