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500964 |
---|---|
한자 | 文殊寺 |
영어공식명칭 | Moonsoosa |
분야 | 종교/불교 |
유형 | 기관 단체/사찰 |
지역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천호산길 140[호산리 69] |
시대 | 고대-근대 |
집필자 | 김귀성 |
건립 시기/일시 | 815년 - 문수사 창건 |
---|---|
중수|중창 시기/일시 | 1399년 - 문수사 중창 |
중수|중창 시기/일시 | 1889년 - 문수사 중수 |
중수|중창 시기/일시 | 1965년 - 문수사 중창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4년 4월 1일 - 문수사대웅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89호 지정 |
중수|중창 시기/일시 | 1994년 - 문수사 중수 |
중수|중창 시기/일시 | 1997년 - 문수사 극락전 건립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2년 12월 14일 - 문수사 목조여래좌상 익산시 향토유적 제9호 지정 |
현 소재지 | 문수사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천호산길 140[호산리 69] |
성격 | 사찰 |
창건자 | 승려 혜감 |
전화 | 063-836-9643 |
[정의]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호산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 금산사 소속 사찰.
[건립 경위 및 변천]
전통 사찰 제46호로 등록된 문수사는 815년(신라 헌덕왕 7)에 승려 혜감이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여러 차례의 흥망성쇠를 거듭하다가 1399년(조선 정종 1)에 승려 함허가 중창하였다. 이후 1889년(고종 26)에 승려 허주가 중수하였다. 1907년(고종 44)에 화재로 본전이 소실되어 일제 강점기에 승려 금엽이 전각을 다시 중수하였다. 1965년 주지 종대가 당시 군수 조영호 등의 도움으로 대웅전과 명부전, 삼성각, 요사 등을 중창하였다. 한때는 인근의 관음 도량인 백련암(白蓮庵)을 소속 암자로 둘 만큼 큰 규모를 자랑하였지만 이후 거의 폐사 직전에 이르다가 1994년 주지 원공이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및 신도의 시주로 명부전을 다시 짓고, 대웅전을 보수하였다. 이어 1996년 도량을 확장하여 참선을 하는 선방과 요사채 등을 지었다. 1997년에는 낡은 인법당을 헐고 그 자리에 극락전을 새로 지어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 부속 암자로 백운암(白雲庵)과 백련암이 있다.
[현황(조직,시설 현황 포함)]
문수사가 자리한 천호산은 예로부터 문수보살과 보현보살, 관세음보살의 3대 보살이 나투신 성지로 유명한 곳이다. 문수사는 부처님의 지혜를 인격화한 보살로 지식과 지혜와 깨달음을 관장하는 문수보살을, 백운암은 이치와 명상과 실천을 관장하는 보현보살을, 백련암은 중생을 위험으로부터 구제하는 보살인 관세음보살을 주불로 모셔 왔다고 한다. 문수보살의 성지로 알려진 문수사 경내에는 대웅전과 극락전, 명부전, 삼성각, 선원, 요사채 등이 있다. 이외에 건립 연대 미상인 일영당(日影堂) 충운(忠雲)과 막무당(莫武堂) 월영(月影)의 부도가 있으며, 부속 암자인 백운암 안에는 1858년(철종 9)에 조성한 탱화 1점이 봉안되어 있다.
1994년까지 대웅전으로 쓰이던 삼성각은 1984년 4월 1일 ‘문수사 대웅전(文殊寺大雄殿)’이라는 명칭으로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89호로 지정되었다. 문수사의 중심 법당인 극락전에는 삼존불이 봉안되어 있는데, 원래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던 것을 1997년 인법당을 헐고 새로 지은 극락전으로 옮겨 봉안하였다. 심존불 중 본존불인 목조여래좌상은 조선 시대에 조성된 불상으로 2002년 12월 14일 ‘문수사 목조여래좌상(文殊寺木造如來坐像)’이라는 명칭으로 익산시 향토유적 제9호로 지정되었다.
[관련 문화재]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89호로 지정된 문수사 대웅전은 현재는 삼신을 모시는 삼성각으로 사용되고 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지어졌으며 후면 벽면이 널빤지로 만든 벽인 판벽으로 되어 있는 특이한 건물이다. 천정 역시 판자로 마감하였는데 화려한 그림들로 장식되어 있다.
익산시 향토유적 제9호로 지정된 문수사 목조여래좌상은 극락전에 봉안되어 있는데 안정감 있고 균형 잡힌 불신(佛身)에 사각형의 넓적한 얼굴과 오똑한 콧날, 굳게 다문 입 등은 조선 후기 불상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나무로 된 불상에 칠을 한 것으로 세월이 흐르면서 일부 탈락되었으나 보전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