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500473
한자 文殊寺大雄殿
영어공식명칭 Munsusa Daewoongjeon
분야 종교/불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천호산길 140[호산리 69]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안선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훼철|철거 시기/일시 1907년 - 문수사대웅전 화재로 소실
개축|증축 시기/일시 1965년 - 문수사대웅전 중건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4월 1일연표보기 - 문수사대웅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89호 지정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4년 - 문수사대웅전 보수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문수사대웅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재지정
현 소재지 문수사대웅전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천호산길 140[호산리 69]지도보기
성격 사찰
양식 무익공 양식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1칸
관리자 문수사
문화재 지정 번호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정의]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호산리 문수사에 있는 불전.

[개설]

문수사는 해발 500m의 천호산 정상의 서쪽 경사면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다. 본래 문수사는 사찰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문수보살을 모신 도량이었다. 가까이에 있는 백련암[옛 문수사의 암자]에서는 관세음보살을 모시고, 백운사[옛 백운암]에서는 보현보살을 모시고 있어 천호산은 3대 보살의 성지처럼 여겨져 왔다.

문수사대웅전(文殊寺大雄殿)은 1984년 4월 1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89호로 지정[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될 당시에 대웅전과 산신각의 기능을 함께 담당하는 건물이었다. 1997년 극락전을 신축한 뒤 문수사대웅전에 봉안하던 문수사 목조여래좌상[익산시 향토유적 제9호]을 극락전으로 옮겨 모시면서, 현재는 삼성각으로 사용하고 있다. 삼성각 내부에는 탱화 5점과 목조사자상 1구가 있다.

[위치]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에서 국도1호선을 따라 여산 방향으로 가다 보면 원수저수지가 나온다. 여기에서 오른쪽 길로 진입하여 신막마을을 지나 천호주유소에서 호산리 방향으로 3㎞ 정도 들어가면 천호산의 서쪽에 문수사가 있다.

[변천]

문수사는 신라 881년 혜감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하나 근거가 없다. 1961년 세운 문수사 중건비에는 1399년(정종 원년) 함허대사(涵虛大師)가 중창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 전라도 여산군 조에도 문수사호산(壺山)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후 1889년(고종 26) 허주대사(虛舟大師)가 중수하였으나 1907년 화재로 소실되었다. 일제 강점기에 승려 금엽(金葉)이 전각을 다시 세우고 1965년 승려 김종대가 본전을 재건하였다.

1984년 4월 1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 당시 대웅전과 산신각을 같이 쓰고 있었으며 내부에는 목조여래좌상과 탱화 5점, 목조사자상 1구를 봉안하고 있었다. 1994년 문수사대웅전을 보수하였다. 1997년 인법당을 헐고 극락전을 신축하면서 목조여래좌상을 옮겨 모시고 문수사대웅전은 삼성각으로 사용하고 있다.

[형태]

문수사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의 작은 건물로 내부에 마루를 깔았다. 기단과 주춧돌은 자연석을 사용하였으며 기둥은 원기둥을 사용하였다. 기둥 상부 공포는 무익공 형식으로 간단하게 처리하였으며 창방과 장여 사이에는 소로를 끼워 수장하였다. 문은 정면으로 냈는데 가운데 칸에는 2짝 띠살문을 달고 양옆 칸에는 외짝 띠살문을 달았다. 나머지 삼면은 판벽으로 구성하였다.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사람인(人) 자 모양의 맞배지붕이며 처마는 서까래와 부연을 사용한 겹처마이다.

[현황]

문수사는 극락전, 명부전, 요사 등을 새로 지었다. 앞마당에는 중건비가 있으며, 경내에는 일영당(日影堂) 충운(忠雲)과 막무당(莫武堂) 월영(月影)의 부도가 있다.

[의의와 평가]

문수사대웅전은 전통 한옥의 구조를 따른 작은 건물로 벽체를 판벽으로 구성한 특징이 있다. 문화재 가치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