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익산을 배경으로 하여 2004년 김은숙이 쓴 성장 동화. 김은숙은 1972년 『아동문학사상』에 동화 「하얀 조개의 꿈」이 추천되어 등단하였다. 2004년 펴낸 김은숙의 『1959년 솜리 아이들』은 총 2권으로 구성된 어린이 동화이다. 주인공 난지와 미란의 눈을 통하여 1950년대 말에서 1960년대 초반의 익산의 풍경이 다양한 에피소드로 소개된다....
-
전라북도 익산 출신의 시조 시인 이병기가 써서 1939년 출간된 시조집. 『가람 시조집』은 전라북도 익산 출신의 시조 시인 가람(嘉藍) 이병기(李秉岐)[1891~1968] 의 시조집이다. 『가람 시조집』은 104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책 크기는 A5판 한지철이다. 소표제는 없으며, 같은 편제는 5부이고, 모두 71편 193수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가람...
-
전라북도 익산 출신의 국문학자이자 시조 시인인 가람 이병기가 1966년에 펴낸 시문집. 『가람문선』은 1966년 신구문화사에서 간행한 가람(嘉藍) 이병기(李秉岐)[1891~1968]의 시문집이다. 시가와 산문이 함께 엮어 있으며, 책 크기는 A5판이다. 총 514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당시 『가람문선』의 편집 위원은 신동문, 최승범, 박재삼, 고은이다. 수집...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의 익산미륵사지를 배경으로 하여 정양이 창작한 현대시. 정양은 1942년 전라북도 김제군 김제읍 신풍리에서 태어났다. 이후 1953년 이리 남성중학교[지금의 익산 남성중학교]에 입학하였고, 1959년에는 이리 남성고등학교[지금의 익산 남성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1977년 원광대학교 대학원 국문과를 졸업하였으며, 1968년 『대한일...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에 있는 익산 고도리 석조여래입상을 배경으로 창작한 작가 김광원의 현대시. 「고도리 입상」은 1956년 전라북도 전주에서 출생한 김광원의 현대시이다. 김광원은 원광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였으며 원광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94년 『시문학』을 통해 등단하였다. 김광원의 시는 현대인의 고뇌를 생명의...
-
조선 후기의 문신 장유가 전라북도 익산의 한 여관에 머물며 지은 한시. 한시 「구월 그믐날에 금마군의 여관에서 짓다」는 조선 후기의 문신 장유(張維)[1587~1638]가 음력 9월 그믐날에 전라북도 익산의 한 여관에서 하룻밤을 보내며 지은 시이다. 제목의 ‘금마군(金馬郡)’은 오늘날의 익산시 금마면, 춘포면, 왕궁면 서부 지역에 해당된다. 시를 쓴 장유의 자는 지국(持國), 호는...
-
전라북도 익산시에 있는 구이리역을 배경으로 이광웅이 쓴 현대시. 이광웅(李光雄)[1940~1992]은 1940년 전라북도 이리에서 태어났다. 1992년 10월 위암 선고를 받고 투병 생활을 하다 작고하였다. 이광웅은 이리남성고등학교[현 익산남성중학교]를 다녔으며, 1971년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이리원광여자고등학교[현 익산원광여자고등학교]...
-
전라북도 익산 지역 만경강 하류의 한 시골 마을을 배경으로 하여 윤흥길이 쓴 단편소설. 소설가 윤흥길(尹興吉)[1942~ ]은 1942년 전라북도 정읍에서 태어났다. 1973년 원광대학교 문리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으며, 1968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소설 「회색 면류관의 계절」이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윤흥길의 「기억 속의 들꽃」은 6.25전쟁을 배경으로 쓰인 단편...
-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1977년 발생한 이리역폭발사고를 배경으로 쓴 김남중의 동화. 김남중은 1972년 전라북도 익산에서 태어났다. 1998년 『전북도민일보』에 동화가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김남중은 동화 『기찻길 옆 동네』, 『자존심』, 『불량한 자전거 여행』, 『바람처럼 달렸다』, 『동화 없는 동화책』, 『공포의 맛』, 『싸움의 달인』, 『수평선 학교』, 『나...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에 있는 미륵사지를 배경으로 창작한 작가 이동희의 현대시. 「꿈꾸는 돌, 미륵사지」는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에 있는 미륵사지(彌勒寺址)를 배경으로 창작한 시인 이동희의 작품이다. 1946년 전라북도 전주에서 태어난 이동희는 1985년 『심상(心象)』에서 신인상을 받으며 등단하였다. 이동희의 시는 이야기와 회화, 실험, 성찰,...
-
채만식이 1948년에 해방 후의 혼란한 시대상을 풍자하기 위하여 발표한 단편소설. 채만식(蔡萬植)[1902~1950]은 1902년 전라북도 옥구[지금의 군산시 임피면 읍내리]에서 태어났으며, 1950년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폐결핵으로 사망하였다. 1924년에 단편소설 「새길로」를 발표함으로써 문단에 나왔다. 이후 290여 편에 이르는 장편소설과 단편소설, 희곡...
-
전라북도 익산시 창인동 익산역 광장에 있는 ‘1950년 미군 이리 폭격 희생자 위령비’에 새겨진 채규판의 현대시. 채규판(蔡奎判)[1940~ ]은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에서 태어났으며, 원광대학교 국문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원광대학교 인문대 교수이며 한국시문학회 사무국장이다. 채규판은 1966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바람 속에 서서」가 당선되어 등단...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에 위치한 익산 미륵사지 석탑을 소재로 하여 강연호가 쓴 현대시. 강연호(姜鍊鎬)[1962~ ]는 1962년에 대전에서 태어났으며, 1991년 『문예중앙』 신인문학상에 「세한도(歲寒圖)」 외 아홉 편의 작품으로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시집으로 『비단길』, 『잘못 든 길이 지도를 만든다』, 『세상의 모든 뿌리는 젖어 있다』, 『기억의...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에 있는 미륵산을 배경으로 창작한 작가 박미숙의 현대시. 「산수유꽃」은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에 있는 미륵산을 배경으로 창작한 현대시이다. ‘미륵산에서’라는 부제가 있다. 「산수유꽃」을 쓴 박미숙은 1990년 『한길문학』 신인상을 통하여 등단하였으며, 전통적인 선경후정(先經後政)의 서정적 시풍을 지닌 여성 시인이다....
-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익이 삼한 지역의 지리적 위치와 전라북도 익산에 도읍한 마한의 역사적 정통성을 주장한 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실학자인 이익(李瀷)[1681~1763]이 마한(馬韓)·변한(弁韓)·진한(辰韓) 등 삼한(三韓)의 지리적 위치와 마한이 전라북도 금마(金馬)[지금의 익산시]에 도읍하게 된 역사적 연유를 밝힌 글이다. 이익의 자는 자신(子新), 호는 성호(星湖)이며,...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에 있는 익산 미륵사지를 배경으로 창작한 채규판의 현대시. 「성지에서」는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沃溝) 출신의 채규판이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에 있는 익산 미륵사지(益山彌勒寺址)를 배경으로 창작한 시이다. 채규판은 1966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를 통하여 등단하였고,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성지...
-
전라북도 익산시에 있던 이리역을 배경으로 하여 소설가 채만식이 썼고 1972년 『월간문학』에 실린 중편소설. 소설가 채만식(蔡萬植)[1902~1950]의 「소년은 자란다」는 작가 사후에 발표된 작품이다. 유족이 20년 넘게 보관하고 있다가 1972년 『월간문학』에 실리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1987년 『채만식 전집』이 발간될 때 복원되었지만, 전집이 절판되면서 다...
-
전라북도 익산시 남중동 소라단을 배경으로 2003년에 쓰인 윤흥길의 연작소설. 소설가 윤흥길(尹興吉)[1942~ ]은 1942년 전라북도 정읍에서 태어났다. 윤흥길은 1973년 원광대학교 문리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으며, 1968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소설 「회색 면류관의 계절」이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소라단 가는 길』은 2003년 창작과비평사에서 발표한 연작소설...
-
전라북도 익산시 창인동에 있는 익산역을 배경으로 하여 심호택이 지은 현대시. 심호택(沈浩澤)[1947~2010]은 1947년 전라북도 군산에서 태어났다. 1991년 『창작과 비평』 겨울호에 「빈자의 개」 등 여덟 편을 발표하면서 등단하였으며, 원광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2010년 1월 교통사고로 사망하였다. 「솜리정거장」은 심호택의 1주기에 맞추...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에 있는 석탑을 배경으로 창작한 작가 문신의 현대시. 「아침 왕궁으로부터 저물녘 석탑에 내리는 늦은 빗줄기처럼」은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에 있는 석탑을 배경으로 창작한 시이다. 작가인 문신은 1973년 전라남도 여수에서 태어났다. 문신은 2004년 『세계일보』 신춘문예로 문단에 나왔으며, 이후 동시와 평론을 통하여 문단 활동...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에 있는 미륵산을 배경으로 하여 윤흥길이 쓴 장편소설. 소설가 윤흥길(尹興吉)[1942~ ] 은 1942년 전라북도 정읍에서 태어났다. 윤흥길은 1973년 원광대학교 문리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으며, 1968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소설 「회색 면류관의 계절」이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에미』는 1982년 윤흥길이 총 360쪽 분량으로 집필...
-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금강(錦江)의 석양을 배경으로 창작한 김대곤의 현대시. 「웅포 석양」은 전라북도 남원 출신인 김대곤의 시 작품이다. 김대곤은 1994년 『청년의사』 신춘문예와 1995년 『전북도민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하였다. 전북대학병원의 교수로 재직하면서 총 네 권의 시집을 펴냈다. 도시에 내재한 사물들의 의미와 존재 가치를 시인만의 투명한 슬픔의 정...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원수리의 지명을 주 배경으로 창작한 시인 심호택의 유고 시집. 『원수리 시편』은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원수리를 주 배경으로 창작한 고(故) 심호택(沈浩澤)[1947~2010]의 유고 시집이다. 심호택은 1947년 전라북도 군산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부터 서당의 훈장이었던 할아버지 청파(靑坡) 심능진(沈能進)의 손에 컸다. 1991년 『...
-
전라북도 익산시 창인동에 있는 이리역을 배경으로 하여 이용범이 쓴 현대시. 이용범은 1961년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에서 태어났다. 1987년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고, 1986년 『소설문학』 신인상을 수상하여 등단하였다. 이용범의 「이리역」은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발생한 이리역폭발사고를 배경으로 돌아오지 않는 사람들에 대한 그리움을 반어적이며 역설적으...
-
전라북도 익산시에 있는 이리역의 굴다리와 관련하여 안도현이 지은 현대시. 「이리역 굴다리」는 안도현의 시집 『모닥불』에 실린 시 작품이다. 안도현의 「이리역 굴다리」는 전통 서정의 정서를 통하여 가난한 서민의 감정을 그대로 옮겨 낸 작품이다. 안도현의 「이리역 굴다리」는 무연으로 된 현대 시 작품이다. 총 27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도현...
-
전라북도 익산시 평화동에 있는 이리중학교를 배경으로 하여 안도현이 쓴 현대시. 안도현(安度眩)[1961~ ]은 1961년 경상북도 예천에서 태어났으며, 원광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다. 대학 재학 당시인 1981년에 『대구매일신문』 신춘문예에 「낙동강」이 당선되고, 1984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서울로 가는 전봉준」이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안...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원수리에 있는 이병기 생가를 배경으로 창작한 박라연의 현대시. 「이병기 생가의 탱자나무」는 전라남도 보성 출신의 시인 박라연이 익산시 여산면에 위치한 이병기 생가를 배경으로 창작한 현대시이다. 박라연은 1990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하였으며, 『헤어진 이름이 태양을 낳았다』, 『서울에 사는 평강공주』 등의 시집을 펴냈다. 원광대학...
-
조선 후기의 문신 윤두수가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에 있는 미륵사에서 김득지와 송상현의 시에 차운한 한시. 「익산 미륵사에서 김 상사 득지, 송 어사 상현의 시에 차운하다」는 윤두수(尹斗壽)[1533~1601]가 익산 미륵사(彌勒寺)에서 김득지(金得地)[1531~?], 송상현(宋象賢)[1551~1592]과 시를 나누며 느낀 소회를 읊은 시이다. 윤두수는 본관은 해평...
-
전라북도 익산시 석왕동에 있는 쌍릉을 배경으로 창작한 작가 문효치의 현대시. 「익산 쌍릉」은 전라북도 익산시 석왕동에 있는 쌍릉(雙陵)을 배경으로 창작한 문효치의 현대시이다. 문효치는 전라북도 군산 출신이며, 1966년 『서울신문』과 『한국일보』 신춘문예를 통하여 등단하였다. 문효치는 자연의 사물들을 인간사에 대한 비유로 확장함으로써 서정시의 전통성을 유지하고...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에 있는 익산 고도리 석불입상을 소재로 하여 안도현이 쓴 현대시. 안도현(安度眩)[1961~ ]은 1961년 경상북도 예천에서 태어났으며,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다. 대학 재학 당시인 1981년에 『대구매일신문』 신춘문예에 「낙동강」이 당선되고, 1984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서울로 가는 전봉준」이 당선되어 등단하...
-
조선 후기의 문신 정인홍이 1586년 익산군수직에 대한 사직을 청하며 임금에게 올린 글. 「익산군수 사직 봉사(益山郡守辭職封事)」는 정인홍(鄭仁弘)[1536~1623]이 1586년(선조 19) 10월 12일에 익산군수(益山郡守)에 제수되자, 임금에게 군수직의 사직을 청하며 올린 글이다. 정인홍의 자는 덕원(德遠), 호는 내암(來庵)이며, 문집으로 『내암집(來庵...
-
조선 전기의 문신 구봉령이 전라북도 익산의 동헌에서 유숙하며 느낀 소회를 읊은 한시. 「익산동헌(益山東軒)에서」는 조선 전기의 문신 구봉령(具鳳齡)[1526~1586]이 전라북도 익산의 동헌에 하룻밤 머물면서 느낀 감상을 표현한 한시이다. 구봉령의 자는 경서(景瑞), 호는 백담(柏潭), 시호는 문단(文端)이다. 문집으로 『백담집(栢潭集)』이 전하고 있다. 『백담집』은 1...
-
조선 전기의 문신 김종직이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의 미륵사 석탑을 보고 지은 한시. 「익산미륵사석부도」는 조선 전기의 문신인 김종직(金宗直)[1431~1492]이 익산 미륵사(彌勒寺) 경내에 세워진 웅장한 규모의 석탑을 보고 느낀 감상을 읊은 한시이다. 김종직은 1487년(성종 18)에 전라도관찰사 겸 순찰사·전주부윤으로 부임하였는데, 재임 중에 전라북도 익산의...
-
1908년에 황현이 전라북도 익산의 반율마을에 살고 있는 노천수를 찾아갔다가 만나지 못한 소회를 읊은 한시. 「익산반율촌방노처인불우(益山半栗村訪盧處仁不遇)」는 ‘익산 반율마을의 노처인을 방문하였으나 만나지 못하다’라는 의미이다. 황현(黃玹)[1855~1910]이 1908년에 지은 시이다. 시 제목에 나오는 ‘처인’은 석정(石亭) 이정직(李定稷)의 문하로 알려진 노천수(盧...
-
고려 후기의 문신 이색이 익산부원군 이공수를 위하여 지은 묘지명.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이 공민왕(恭愍王)[1330~1374] 때의 이름난 문신인 익산부원군(益山府院君) 이공수(李公遂)[1308~1366]를 위하여 지은 묘지명이다. 묘지명의 원제는 「유원 자선대부 태상 예의원사 고려국 추충수의 동덕찬화공신 벽상삼한삼중대광 익산부원군 시문충 이공 묘지...
-
고려 후기에 이숭인이 익산부원군 이공수를 위하여 지은 만시. 「익산부원군이문충공만사(益山府院君李文忠公挽詞)」는 고려 후기의 학자인 이숭인(李崇仁)[1347~1392]이 이공수(李公遂)[1308~1366]를 추모하며 지은 만시(輓詩)이다. 이공수의 본관은 전라북도 익산이며, ‘문충(文忠)’은 이공수의 시호이다. 이공수는 고려 왕실에 끼친 공이 커서 1365년(공민왕 14)...
-
전라북도 익산시 창인동에 위치한 익산역의 이리역폭발사고를 배경으로 하여 홍석영이 쓴 단편소설. 「인철네 집」은 소설가 홍석영(洪石影)[1930~ ]이 1977년 11월 11일 일어난 이리역폭발사고를 배경으로 하여 집필한 단편 소설이다. 홍석영은 1960년 『자유문학』에 단편 「황혼」, 「막다른 유예」가 추천되어 문단에 등단하였다. 「인철네 집」은 현...
-
전라북도 익산 지역 이리농림학교 출신의 한하운이 지어 1949년에 발표한 현대시. 함경남도 함주에서 태어난 한하운(韓何雲)[1919~1975]은 1949년 서울신문에서 발행하는 『신천지』 4월호에 「전라도길」, 「목숨」 등 열두 편의 시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1949년 5월 첫 시집인 『한하운 시초』를 정음사에서 편찬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 「...
-
조선 후기에 익산군수를 역임한 곽세건을 기리기 위하여 개항기 유학자 조긍섭이 쓴 묘갈명. 「통훈대부 행 익산군수 곽공 묘갈명」은 영남 지역의 대표적 근대 유학자인 조긍섭(曺兢燮)[1873~1933]이 쓴 곽세건(郭世楗)[1618~1686]의 묘갈명이다. 곽세건의 자는 공가(公可), 호는 무위자(无爲子)이며, 허목(許穆)의 문인으로 알려져 있다. 곽세건은 형조좌랑·공조정랑...
-
전라북도 익산시 황등면 황등리를 배경으로 창작한 문화순의 현대시. 「황등 가는 길」은 전라북도 익산시 황등면 황등리를 배경으로 창작한 시인 문화순의 시 작품이다. 문화순 시인은 전라북도에서 활동하는 여성 시인이다. 「황등 가는 길」은 총 7연 23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황등 가는 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 황톳길 솜리역 지나 황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