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가동리 개천사에 있는 수령 약 210년의 단풍나무. 가동리 단풍나무는 춘양면 가동리 천태산 중턱에 있는 사찰인 개천사의 대웅전 왼편에 위치하고 있다. 수령은 약 210년 정도로 추정되며, 단풍나무가 있는 개천사의 대웅전 주변에는 거북 바위와 사시사철 푸르른 비자나무가 있어서 단풍나무와 함께 운치 있는 풍광을 만들어 주고 있...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계소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화순읍 계소리 고인돌은 평촌 마을과 소곡 마을에 분포하고 있다. 평촌 마을의 북동쪽 철도 사이에 2개군 6기, 소곡 마을 진입로에서 남쪽으로 약 300m 떨어진 민묘 주변에 3기[평촌 나군], 도덕산 남쪽 계곡 입구 쪽 논 가운데 즉 지방도 817호선에서 소곡 마을로 진입하는 입구 우측 논 가운데...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 분포하는 삼국 시대 이전 시기의 무덤. 고분은 일반적으로 옛 무덤이란 뜻이지만 고고학에서는 봉분을 조영하기 시작한 삼국 시대의 무덤을 칭한다. 그 이전은 분묘라 통칭하고 있다. 화순 지역 서쪽에는 영산강 지류인 지석천이 흐르고 있고, 동쪽에는 보성강 지류인 동복천이 흐르고 있다. 이 하천들은 영산강 상류 지역과 보성강의 상류 지역에 해당하...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 고인돌은 선돌과 함께 대표적인 거석 문화이다. 고인돌은 고여 있는 돌이란 뜻으로 한자로는 지석묘(支石墓)라고 하며, 거대한 덮개돌이 땅위에 드러나 있고 그 밑에 무덤방이 있는 형태이다. 무덤방 위치와 받침돌 유무에 따라 탁자식, 기반식, 개석식으로 분류한다. 우리나라 전 지역에서 고인돌이 발견되지만 탁자식은...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광덕리 남산 공원에 있는 고성. 성은 흙이나 돌을 쌓아 올려 만든 방어 시설이다. 광덕리 고성 터는 화순군 화순읍 광덕리 남산 공원의 낮은 자연 구릉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석축한 성지이다. 광덕리 고성 터는 화순읍 내에 위치한 낮은 구릉지로서 현재는 남산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화순 읍내에서 화순 읍사무소를 지나 화순 군민 회관 방향으로...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광덕리에 있는 수령 약 100~120년의 느릅나무. 느릅나무는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일반적으로 높이 20m, 나무 지름 60㎝ 정도이다. 화순읍 광덕리에 위치하고 있는 느릅나무 두 그루가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다. 느릅나무는 한국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식물로 꽃은 4월에 연한 노란색으로 핀다. 열매는 4~5월에 녹색에서 갈백...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구암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무덤. 구암리 고인돌은 동복면 구암리 구암 저수지와 구암 2제 사이에 형성된 저수지 아래 계곡에 있는 동복 오씨 선산 부근에 있다. 초기의 고인돌은 14기로 알려져 있으나 지표면에서 확인된 고인돌은 1기이다. 고인돌은 화강 석재로 상석의 형태는 마름모꼴로 형성되어 있다. 상석의 규모는 254×175×70㎝ 정...
-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과 춘양면 경계의 용암산 정상부와 중턱에 있는 산성. 산성은 산세를 따라서 산에 쌓은 성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특히 잘 발달되어 현재 중부 이남에만 1,200여 개의 산성터가 남아 있다. 산성은 평상시에 군창(軍倉)을 두고 여기에 곡식과 무기를 준비하여 두며, 적이 침입하여 오면 평지의 주민들은 모두 들어오게 하여 농성하는 곳이다. 성이 위치한 지...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의병.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화백(華伯), 호는 송은(松隱). 아버지는 임진왜란 때 의병 활동을 했던 김인갑(金仁甲)이고, 어머니는 전주 이씨이며 부인은 광산 노씨(光山 盧氏) 진사(進士) 노백붕(盧百朋)의 딸이다. 김시엽(金時燁)[1589~1637]은 1621년(광해군 13)에 무과(武科)에 급제하고,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 16...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의병.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춘경(春卿) 또는 춘유(春逾)이고, 호는 오재(梧齋)이다. 아버지는 현감(縣監) 김조언(金朝彦)이고, 어머니는 절강 편씨(浙江片氏)이며, 부인은 전주 이씨(全州李氏)이다. 김인갑(金仁甲)[1564~1593]은 1579년(선조 12)에 무과에 급제하여 주부(主簿), 도사(都事)를 거쳐 1591년 훈련원(訓練院) 판관...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천변리에 있는 다리 건립 기념비. 동복면 소재지와 천변리에서 연월리를 건너가는 하천[동복천]에 다리가 없는 것을 애석히 여겨 오병남[1878~1949]의 부인 김해운 여사가 임종 때 남편에게 다리 건립을 부탁하여 1934년 다리를 건립하고 해운교라 명명하는데, 이를 기려 1935년 기념비를 세웠다. 1934년에 김해운 여사의 임종 유언에...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남정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남정리 고인돌은 능주 향교 주변 네 곳에서 확인된다. 능주 향교는 북동쪽에서 남동쪽으로 들어오는 계곡의 끝 부분에 자리하고 있다. 가군과 다군은 남정리 1구에 있으며, 나군은 능주 향교 아래 전명석씨 밭에 있다. 라군은 남정리에서 정남리로 가는 길에 종방 마을 주걱등이라 불리는 논에 있다. 가군은...
-
전라남도 화순군 일대에서 서식하고 있는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 느티나무는 생장 속도가 빠르고 내한성이 강하여 우리나라 수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낙엽 활엽 교목이다. 현재 산림청에서 보호수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는 느티나무는 약 7,100그루이다. 느티나무는 사람들에게 쓰임새가 좋은 나무이다. 썩거나 벌레 먹는 일이 적고 목재로 사용하기 위해 건조를 하면 단...
-
전라남도 화순군의 능주 향교 앞에 있는 조선 시대부터 개항기까지의 역대 지방관 및 지역 유공자의 공적비. 조선 시대 지방 교육 기관인 능주 향교 입구에 역대 능성 현령·능주 목사·능주 군수·전라도 관찰사의 선정비·청덕비·휼민비 등의 공적비가 모여 있다. 또한 향교와 연관된 하마비나 향교 중수비도 있으며, 지역 구제를 한 인물들과 관련된 비도 있다. 향교 입구에 33기,...
-
1632년부터 1895년까지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 있던 옛 행정 구역. 능주목은 원래 능성현이었으나 1632년(인조 10)에 인헌 왕후 구씨의 성향(姓鄕)이라 하여 목으로 승격되고, 목사가 부임하는 곳이 되었다. 1895년 5월 1일 전국을 23부제(府制)로 개편하면서 부·목·군·현의 고을 등급 구분을 군으로 통일했는데 이때 나주부 능주군이 되면서 능주목의 명칭은 능주군...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남정리에 있는 조선 시대 지방 교육 기관. 능주 향교는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교촌길 36에 위치하고 있다. 능주 면사무소 뒤쪽으로 약 2㎞ 떨어져 있으며, 화순군청에서 부터는 약 12.5㎞ 정도 거리이다. 능주 향교는 조선 시대 능주 고을에서 공자를 비롯한 선현들의 위패를 봉안하고 고을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설립...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다지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다지리 지실 고인돌 떼는 마을 뒤쪽 산기슭의 제각 옆에 2기가 있는데 현 도로에서 50m 정도 떨어져 있다. 화순읍 다지리 산21-5번지이다. 월정 고인돌 가군은 황새봉과 월정 마을 사이의 논 가운데 있는데 8기가 동서 방향으로 2열을 이루며 분포되어 있다. 화순읍 다지리 449-1번지이...
-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 내대곡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대곡리 내대곡 고인돌 떼는 네 개의 지역에서 확인된다. 대곡리 산1번지 일원의 고인돌 군은 11기로서 능주면과 도곡면의 경계 부분 지역의 공동묘지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 대곡리 주걱등으로 불리는 지역 일원의 고인돌은 산기슭의 공동묘지 주변에 지석이 확인되는 고인돌을 포함하여 괴석형 석재...
-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 외대곡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대곡리 외대곡 고인돌 떼는 외대곡 마을 다섯 곳에 군집해 있다. 고인돌 떼가 있는 지역은 대곡리 817번지, 862번지 일원, 대곡리 370-3번지 일원, 대곡리 383-1번지 일원, 대곡리 392-1번지 일원, 대곡리 722-3번지 일원이다. 대곡리 외대곡 고인돌 떼의 고인...
-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 중대곡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대곡리 중대곡 고인돌 떼는 대곡리 320번지 일원의 6기이다. 중대곡 마을의 입구 과수원에 3기, 탱자나무 속에 1기, 손형천의 대밭에 2기가 분포하고 있다. 대곡리 중대곡 고인돌 떼는 상석이 모두 판석 형태로 다양한 평면 형태를 볼 수 있다. 고인돌 상석의 장축 방향은 남북...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대리 둔벌이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대리 고인돌은 산의 완만한 경사면에 마을과 함께 입지하고 있다. 둔벌이 마을은 북쪽에 있는 산이 남쪽으로 내려오면서 완만해지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데, 고인돌은 마을 회관 및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다. 둔벌이 마을 고인돌은 현재 하부가 대부분 매몰되어 있어 정...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대리 주암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대리 주암 고인돌은 산의 완만한 경사면에 마을과 함께 입지하고 있다. 주암 고인돌은 2개 지역에서 발견되었는데, 가군은 마을 내의 민가 텃밭과 대밭에 3개 군을 이루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하나의 군집을 이루고 있다. 행정 구역상 위치는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대리 274, 277, 295번지...
-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대신 1리 내신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떼. 대신리 내신 마을에서 대신리 한재 마을로 가는 길을 따라 올라가면 대신 저수지가 위치한다. 이 저수지 위쪽으로 개울을 따라 조성된 소로의 우측 산기슭에 4기의 고인돌이 위치하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대신리 내신 고인돌 떼이다. 대신리 내신 고인돌은 총 4기로서 산기슭에 4...
-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 대초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대초리 대초 고인돌 떼는 대초 마을과 조치 마을에 분포하고 있는데, 1975년 영산강 4개댐 공사로 사전 지표 조사에서 처음 알려지게 되었다. 대초댐 조성 지역인 대초리 대초 마을에서 12기 고인돌이 발견되었다. 대초리 대초 고인돌은 1975년 마을 남쪽 밭에 12기가 분포하고 있으며,...
-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 조치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대초리 조치 고인돌 떼는 조치 마을과 대초 마을에 분포하고 있는데, 1975년 영산강 4개댐 공사로 사전 지표 조사에서 처음 알려지게 되었다. 대초댐 조성 지역인 대초리 조치 마을에서 10기의 고인돌이 발견되었다. 1985년에는 대초 마을에 12기와 조치 마을에 7기가 보고되었지만 199...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도웅리 도산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화순읍에서 남평읍으로 연결되는 지방도 817호선이 있고, 이 도로와 경전선 철도 사이에는 계곡을 따라 길고 좁게 농경지가 형성되어 있다. 도웅리 도산 마을이 이 계곡 끝에 자리하고 있다. 도산 마을에서 서쪽으로 200m정도 떨어진 밭 가운데 조영된 묘역 주변의 밭에 고인돌 2기가 있다....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연월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도원 서원은 동복 고을과 연고를 맺고 유학 진흥에 크게 기여했던 최산두, 임억령, 정구, 안방준 등 네 분을 모신 조선 후기의 서원이다. 도원 서원은 화순군 동복면 연곡길 137에 위치하고 있다. 동복면 월송 마을 가운데를 지나 뒤편 길을 따라 가면 서원이 있다. 도원 서원은 동복 고...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동상리 재궁동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무덤 떼. 독상 마을에서 독상 저수지 쪽으로 800m 정도 올라가면 동복 오씨 문헌 공파 제각인 효사재가 있는데 독상리 재궁동 고인돌 떼는 이 재각에서 북쪽으로 20m 정도 떨어진 곳으로 29-1번지 일원과 29-3번지 일원에 분포한다. 독상리 재궁동 고인돌 떼에서 지표상에 확인된 고인...
-
전라남도 화순군의 동복 향교 인근에 있는 공적비군. 조선 시대에 동복 현감을 지낸 김부윤·유달준과 개항기 동복 군수를 지낸 김기중이 재임 때에 동복 향교 중수와 흥학에 힘쓴 것을 기려 세운 흥학 공적비이다. 그 외에도 동복 향교와 관련된 공덕비가 동복 향교 입구에 있다. 1. 김부윤 향교 중수비 김부윤(金富倫)[1531~1598]의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연월리에 있는 조선 시대 지방 교육 기관. 동복 향교는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월송길 62-30에 위치한다. 월송 마을 뒤편 높은 언덕[속칭 향교산] 위에 정남향으로 자리하고 있으며, 화순읍에서 약 24㎞ 거리이다. 동복 향교는 조선 시대 동복현에서 공자 등의 선현 위패를 봉안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설립한...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마산리 마산 마을 일원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마산리 마산 고인돌 떼는 마산 마을 일원에 분포하고 있다. 고인돌은 세 곳에서 확인되는데 마을 앞 도로의 서쪽 들 일원, 마산리 555-1번지 일원과 174-1번지 일원이다. 마산리 마산 고인돌 떼의 고인돌은 상석이 장타원형과 부채꼴 형태이다. 상석은 상면에 성혈 20여개가...
-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위해 마을 주민들이 주관하여 마을의 신을 섬기는 신앙. 마을 제사는 당제 또는 당산제라고 한다. 호남 일부에서 당제라는 말을 쓰기도 하지만 화순군에서는 당산제라는 말을 주로 사용한다. 당산제를 지내는 시기는 매년 반복되는 세시이거나 특별히 날을 받는 때이다. 대부분의 마을 제사가 대보름을 전후로 정월에 이루어진다. 화순...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동구리 만연사에 있는 조선 후기 청동 범종. 불교에서 종교적 분위기를 높이기 위해 소리 내는 일체의 용구를 범음구(梵音具)라고 한다. 그중 종은 당외(堂外)의 종루에 걸어 놓고 두드려서 소리를 내는 타악기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는 청정한 불사(佛寺)나 범찰(梵刹)에서 사용하는 종을 범종이라고 한다. 만연사 범종은...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매정리 상매정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떼. 매정리 상매정 고인돌 떼는 이양면 매정리 282에 위치한 밭 가운데 있는 2기의 민묘 주변에 6기의 고인돌이 북서·남동 2열로 분포되어 있다. 매정리 상매정 마을 고인돌 군은 보존 상태가 불량하여 하부가 매몰되어 있거나 상석이 기우려져 확인된다. 지표상에 확인된 고인돌은 장...
-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모산리 고인돌 떼는 모산 마을과 금전 마을에 있다. 모산 마을 고인돌은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서 능주 2교를 지나 죽수 서원으로 들어가는 길 좌측의 논 가운데와 모산 마을에서 하천 건너편으로 금전 마을 앞 경지 정리에서 제외된 정지등이라 부르는 곳에 있다. 금전 고인돌은 금전 교회 뒤쪽...
-
전라남도 화순이 배출한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문관과 무관 문무 관인이란, 문관이나 무관을 역임한 관인을 말한다. 고려나 조선 시대의 관직 운영은 크게 문관과 무관의 두개의 반열을 두었고, 이를 합쳐 양반이라 불렀다. 조회 시에 국왕을 중심으로 동쪽에는 문반, 서쪽에는 무반이 정렬하였기 때문에 이를 동반 혹은 서반이라 부르기도 했으며, 이런 제도는 고려에서부터 비...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 있는 국가 및 지방 지정 문화유산. 문화재는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형성된 국가적·민족적 또는 세계적 유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학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것을 일컫는다. 문화재는 유형 문화재, 무형 문화재, 기념물, 민속 문화재로 구분되며, 지정 여부에 따라 지정 문화재와 비지정 문화재로 나누어진다. 지정 문화재는 인류 문화의 관점에서 볼 때 그...
-
전라남도 화순군의 민간에서 전승되고 있는 민속 신앙. 민간 신앙은 개념적으로 다양할 수 있다. 협의로 보자면 무속 신앙, 가정 신앙, 마을 신앙 등으로 제한할 수 있지만 광의로 보자면 여기에 세시 의례와 통과 의례, 성 신앙 등을 포함해서 입석·장승·솟대 등 유형 민속까지 확대할 수 있다. 화순군의 민간 신앙을 대상으로 몇 차례의 조사 연구가 실시된 바 있다....
-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과거부터 현재까지 민간에 전승되어온 생활 습속. 민속은 민간에 전승되고 있는 생활 습속을 지칭하는 말이지만 그와 관련된 일련의 물적, 정신적, 기술적 전승까지를 망라한다. 따라서 민속 문화는 대단히 포괄적이며 범위가 넓기 때문에 학술적 분류 체계도 나라마다 또 학자마다 다를 수밖에 없다. 화순군의 민속은 지역을 지탱해온 현실적인 삶의 방편이...
-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반곡리 신촌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떼.. 반곡리 고인돌 떼는 한천면 반곡리 신촌 마을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 두 곳에서 확인되는데, 마을 회관 뒤쪽과 전주 이씨의 묘역에 분포하고 있다. 기존에는 고인돌이 10여기가 마을 입구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경지 정리 시 매몰 또는 파괴되었고 지표면에서 확인되는 것은 두 개소에서...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백암리 백암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떼. 백암리 백암 고인돌 떼는 마을의 북동쪽 구릉의 남사면에 고인돌 3기, 과수원에 2기, 민묘에 1기가 위치하고 있다. 백암리 백암 고인돌은 지표상에 확인된 고인돌은 3기로서 상석의 평면 형태는 타원형이며, 장축 방향은 북동·남서이다. 상석의 길이는 270~240㎝, 너비는 21...
-
전라남도 화순군 일대의 풍치 보존과 학술의 참고 및 번식을 위하여 보호하는 나무. 보호수는 산림법 제67조 제1항에 따라 시·도지사 또는 지방 산림 관리청장의 승인에 의해 수령이 오래되어 보호가 필요하거나 보존할 가치가 있는 나무를 대상으로 지정된다. 보호수 지정은 「산림 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47조 및 동법(同法) 시행 규칙 제56조·제57조에 따라 지정...
-
1407년에서 1416년까지 있었던 전라남도 화순 지역의 옛 행정 구역. 1407년(태종 7년)에 동복현과 화순현을 합치며 한 글자씩 따서 복순현으로 부르다가 10년 후인 1416년(태종 16)에 복순현을 다시 화순현으로 고쳐 불렀다. 동복현의 관할은 지금의 화순군 동복면·이서면·사평면·백아면 지역이고, 화순현의 관할 지역은 지금의 화순군 화순읍과 동면 지역이다. 조선 시대 고을의...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복암 1리 복림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복암리 복림 고인돌 떼는 두 곳에 위치하고 있다. 복암리 복림 마을 810-1번지 민가 마당에 1기의 고인돌이 있다. 그리고 복암 1리 복림 마을 개인 소유 밭 가운데 1기가 위치하고 있다. 복암리 복림 고인돌 떼에 속한 고인돌은 모두 역암 계통의 괴석형으로 풍화가 심하게 진행...
-
전라남도 화순 지역의 산과 구릉에 남아 있는 흙이나 돌로 구축된 방어 시설. 우리나라의 성곽은 국가 통치 상 행정적 기능을 갖기도 하였지만, 전략상 중요한 곳에 설치하여 외적 침입을 방어하는 데 이용되었다. 화순 지역은 지형적으로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나주시·영암군·장흥군·보성군·순천시·곡성군·담양군 등과 연접해 있고, 전체적으로 평야가 적고 산지가 많다. 높이 1,00...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삼천리 하삼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무덤 떼. 삼천리 하삼 고인돌 떼는 삼천리 491-1번지 조인기의 집[1기]과 광덕리 265-1번지 조용준의 집[2기]에 총 3기가 분포한다. 삼천리 하삼 고인돌 떼는 총 3기로서 조인기 집 고인돌 1기의 상석 평면 형태는 장방형이며 장축 방향은 동서이다. 규모는 길이 250㎝, 너비 2...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삼천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의 남쪽에 위치한 삼천리 상삼 마을은 화순천 북쪽에 있고, 화순천을 사이에 두고 그 남쪽에 삼천리 3구인 황새봉 마을이 있다. 삼천리 황새봉 고인돌 떼는 황새봉 마을 입구의 동쪽으로 화순천 변의 충적 평지와 황새봉에서 뻗어 내린 산기슭이 만나는 지점에 두 개 군이 있다. 가군[1기...
-
전라남도 화순군 일대에서 서식하고 있는 자작나무과의 낙엽 교목. 서어나무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주로 산지나 온대림, 해안 지역에서 자생한다. 원산지는 한국이고 국내에는 황해도와 강원도 이남에 분포하고 있다. 대부분의 큰 나무 줄기는 둥근 원통형이나 서어나무의 오래된 줄기는 회색이면서 울퉁불퉁하여 매우 특징적이다. 서어나무는 참나무 종류와 함께 우리나라 중부 지방을 대표하...
-
전라남도 화순군 백아면 서유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서유리 고인돌 떼는 백아면 서유리와 옥리 사이에 있는 논 가운데 3기가 있다. 서유리 고인돌 떼는 총 3기로서 각각의 형태와 규모를 살펴보면 첫 번째 상석의 평면 형태는 장타원형이며 장축 방향은 동서이고 크기는 길이 500㎝, 너비 285㎝, 두께 90㎝이다. 두 번째 지석묘 상석의 평면...
-
전라남도 화순군 백아면 서유리 동유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무덤 떼. 서유리 동유 고인돌 떼는 서유 2리 동유 마을 앞 당산 나무로부터 약 80m 거리의 밭 가운데 있다. 서유리 동유 고인돌 떼는 2기로서 밭 가운데 1기의 고인돌이 있고, 밭둑에 걸쳐 있는 1기는 북쪽으로 넘어져 일부가 매몰되어 있어 정확한 구조는 확인할 수 없다. 지표상에 확인...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석고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석고리 고인돌 떼는 능주면 석고리 253-3번지 일원의 골목길에 위치하고 있다. 석고리 고인돌은 하부가 매몰되었다. 지표상에 확인되고 있는 고인돌의 상석은 장축 방향이 동서 방향이며, 평면 형태는 장방형으로 지석은 확인되지 않아 개석식의 구조로 판단된다. 상석 길이는 120㎝, 너비는 1...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석기를 사용하던 시대. 고고학에서는 인류의 발달을 생활 도구의 주된 재료를 기준으로 석기 시대·청동기 시대·철기 시대로 구분한다. 또한 문자 기록의 유무에 따라 문자 기록이 없는 시대를 선사 시대라 하고 문자의 발명과 사용 이후부터는 역사 시대로 구분한다. 석기 시대는 다시 뗀석기[타제석기(打製石器)]를 사용한 구석기 시대와 간석기[磨製石器]를 사...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영평리 석불암에 있는 마애 여래 좌상. 마애불은 자연의 암벽에 부조(浮彫)나 선각(線刻) 등으로 불상을 나타낸 것으로 삼국 시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백제의 서산 마애 삼존불, 신라의 경주 남산 마애불군 등이 있다. 석불암 마애 여래 좌상은 우측 명문에 1933년 전라남도 담양군 사람인 국영현(鞠榮鉉) 일가의 발원으...
-
전라남도 화순 지역 마을 입구에 액막이를 위해 세워 놓은 자연석. 선돌은은 거석 문화의 한 유형으로 간주된다. 돌을 세워 놓기 때문에 마을에서는 주로 선독이라고 부른다. 선돌을 세우는 곳은 대개 마을로 통하는 길 입구이다. 즉 길거리에 세워 마을에 들어오는 액을 방지하고, 또 마을 밖으로 흘러가는 복을 차단하는 역할을 맡는다. 따라서 이것은 일종의 지역 수호신적 기능을...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문자로 기록되기 이전의 시대. 일반적으로 문자 기록의 유무에 따라 선사 시대와 역사 시대를 구분한다. 선사 시대는 문자 기록이 없기 때문에 고고학 발굴을 통해 발견된 유적과 유물을 바탕으로 연구가 진행된다. 고고학에서는 인류의 발달을 생활 도구의 주된 재료로 구분한다. 이에 따라 석기 시대·청동기 시대·철기 시대의 구분을 활용하고 있다. 석기 시대...
-
전라남도 화순군 일대에서 서식하고 있는 겉씨식물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교목. 소나무는 원산지가 한국인 상록 침엽 교목으로 척박한 땅에서도 성장하며 아고산 지대를 제외한 곳에서 자란다. 한반도 전역을 비롯하여 일본과 중국에 분포되어 있다. 소나무는 매우 유용한 식물로서 예로부터 건축재·가구재·농기구재·난방재 등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또한 식품적 가치도 있어 우리 선조들은...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일심리에 있는 사우. 1978년 고려 충신 임선미(林先味)[?~?]를 향사하기 위해 사우를 건립하여 송월사(松月祠)라고 하였다. 임선미의 본관은 평택(平澤), 자는 양대(養大), 호는 휴암(休庵)이다. 성석린(成石璘)·박상충(朴尙衷) 등과 교유하며 학문을 닦았고 고례(古禮)를 참작, 삼년상(三年喪)을 권장하는 등 퇴폐한 세속을 바로잡았다. 1392...
-
전라남도 화순군 백아면 수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무덤 떼. 수리 고인돌 떼는 총 3기로서 수리 마을 입구의 진입로에서 마을 방향으로 약 120m 거리의 산기슭에 1기의 고인돌이 있고, 그 위쪽 경작지에 2기의 고인돌이 있다. 수리 고인돌 떼 지표상에 확인된 고인돌이 3기로서 고인돌 1기는 보존 상태가 불량하여 북동쪽이 매몰된 상태로 기울어 있어 정...
-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신덕리에 있는 수령 약 260년의 버드나무. 도곡면 신덕리에 자생하고 있는 버드나무로 마을의 북서쪽 하천변에 자리 잡고 있다. 흔히 ‘율치 버드나무’로 불린다. 신덕리 버드나무의 높이는 15m, 가슴 높이 둘레는 1.5m이며 수령은 약 260년으로 추정된다. 마을 앞을 흐르는 하천가에 자리 잡은 버드나무는 175...
-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쌍옥리 석교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떼. 쌍옥리 석교 고인돌 떼는 마을 앞의 농경지에서 확인된다. 고인돌은 두 곳에서 확인되는데, 쌍옥리 458-3번지 일원과 쌍옥리 458-2번지 일원에 분포한다. 기존 고인돌은 5기 이상으로 알려져 있으나, 지표면에서 확인되고 있는 고인돌은 모두 5기이다. 고인돌의 상석은 삼각형으로 하부에는...
-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쌍옥리에 있는 삼국 시대 무덤 유적.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쌍옥리 옥계 마을 앞에 위치하고 있다. 마을 남쪽 높이 137.6m 터굴산에서 북쪽으로 이어지는 능선 끝자락에서 지석천 변의 충적 평야를 바라보고 있다. 2002년 전남 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이루어진 화순군 문화 유적 분포 조사에서 확인된 고분이다. 출토 유물은 없었다. 낮은...
-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쌍옥리 옥계 마을에 위치하고 있는 청동기 시대의 무덤 떼. 쌍옥리 옥계 고인돌 떼는 옥계 마을 남동쪽 해망산 줄기인 새우등 기슭에 위치하고 있으며, 쌍옥 1리 산 36-1번지 일원으로 여흥 민씨의 선산 묘역에 3기의 고인돌이 남북 1열을 이루며 위치하고 있다. 쌍옥리 옥계 고인돌 떼는 묘역에 3기의 고인돌이 남북 1열을 이루며...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앵남리 밀암골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앵남리 앵무촌에서 경전선 철도 굴다리를 지나 철로와 도로를 따라 밀암골이라 부르는 곳으로 올라가면 도로 왼편 기슭에 ‘전주 이씨 순양군세천(全州 李氏 順陽君世阡)’ 비가 있고, 도로 오른쪽에 고인돌 2기가 있다. 여기서 좀 더 올라가면 전주 이씨 제각인 양이재가 있다. 앵...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앵남리에 있는 3·1 운동 민족 대표 33인 가운데 한 사람인 지강 양한묵의 무덤. 양한묵(梁漢默) [1862~1919]은 1919년 3·1 운동을 일으킨 민족 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독립 선언서」에 서명하고 3월 1일 태화관에서 개최된 독립 선언식에 참여한 뒤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1919년 5월 26일 서대문 형무소에서 고문으로...
-
전라남도 화순군 청풍면 어리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어리 고인돌 떼는 마을 입구 신안 주씨의 선산 묘역이 조성되어 있는 곳을 중심으로 전라남도 화순군 청풍면 어리 전272번지와 임273-1번지 일원에 위치하고 있다. 어리 고인돌 군은 신안 주씨 묘역을 중심으로 12기가 원형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다. 고인돌 상석의 장축 방향은 대부분 동...
-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과 청풍면 경계에 있는 산성. 산성은 산세를 따라서 산에 쌓은 성으로 특히, 우리나라에서 잘 발달되어 현재 중부 이남에만 1,200여 개의 산성터가 남아 있다. 산성은 평상시에 군창(軍倉)을 두고 여기에 곡식과 무기를 준비하여 두며, 적이 침입하여 오면 평지의 주민들을 모두 들어오게 하여 농성하는 곳이다. 지형에 따라 테뫼식·포곡식으로 구분한다. 예...
-
전라남도 화순군 백아면 옥리 구수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무덤 떼. 옥리 구수 고인돌 떼는 총 4기로 옥리 구수 마을 버스 정류장 일원의 밭에 두 곳으로 나누어져 분포하고 있다. 옥리 구수 고인돌 떼 중 일부 고인돌은 파괴되어 땅에 매몰되어 있다. 고인돌의 장축 방향은 북남 방향이며, 상석의 평면 형태는 원형, 타원형, 장방형이다. 고인돌 가운데...
-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용강리에 있는 수령 약 120년의 참나무. 상수리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으로 학명은 Quercus acutissima Carruth.이다. 생물학적 분류로는 현화식물 문〉목련 강〉참나무 목〉참나무 과〉참나무 속이다. 상수리나무는 25m까지 곧게 자라고, 나무껍질은 검은 회색이며 세로로 갈라진다. 잎은 밤나무 잎과 비슷하게 생긴 긴 타원형...
-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운월리 복구 마을에 위치하고 있는 청동기 시대의 무덤 떼. 운월리 복구 고인돌 떼는 고당산 아래 서쪽 기슭 부분으로 지방도 817호선이 지나고 있는 도암면 운월리 복구 마을에 있다. 고인돌은 운월리 복구 마을 264번지, 266번지, 267번지, 268번지 일원에 위치하고 있다. 운월리 복구 고인돌 떼는 마을 논에 남북 일렬로...
-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원리 석복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무덤 떼. 원리 석복 고인돌 떼는 4개소로 9기가 나누어져 분포하고 있는데 하나는 원리 95-5번지 일원이며, 또 다른 하나는 원리 115-1번지 일원이며, 나머지는 각각 원리 126번지 일원이며, 원리 121번지 일원이다. 원리 석복 고인돌 떼는 주택가에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건물 관련...
-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원리 월산 마을에 위치하고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원리 월산 고인돌 떼는 사평면 원리 1리 월산 마을에 분포하고 있다. 고인돌은 두 곳에서 확인되는데, 원리 1리 월산 마을 423-3번지 정상옥 집 일원과 마을 앞 논 가운데 민묘 일원에 분포하는 고인돌이다. 원리 월산 고인돌 떼는 묘역 주변에 모두 16기의 고인돌이 원형...
-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행해지는 공자의 사상과 관련한 학문과 의례 및 활동. 유교는 공자가 체계화한 사상을 바탕으로 삼는 학문이다. 더 나아가 종교적 관점에서 일컫는 말이기도 하다. 공자의 가르침, 곧 유교는 인(仁)을 최고의 이념으로 삼는다. 인간의 도리를 의미하는 인은 부모에게 효도하고 임금에게 충성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삼강오륜의 사회 윤리가 바로 그것이라 할 수...
-
세계 유산이란 유네스코가 1972년 11월 제17차 정기 총회에서 채택한 「세계 문화 및 자연 유산 보호 협약」에 따라 등재한 유산이다. 인류 문명과 자연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자산인 세계 유산은 전 인류가 공동으로 보존하고 이를 후손에게 전수해야 할 세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진 유산이다. 우리나라는 1988년 「세계 문화 및 자연 유산 보호 협약」에 가입하였으며 1995년...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의병.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자정(子淨), 호는 백천(百泉). 아버지는 유덕용(柳德容)이다. 유함(柳涵)[1576~1661]은 허봉(許篈), 이수광(李睟光), 정경세(鄭經世) 등과 교유하였다. 1636년(인조 14)에 병자호란이 발발했을 때 격문(檄文)을 보고 조수성(曺守誠)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청주(淸州)까지 북상하였으나 강화가 성...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이십곡리 압곡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압곡 마을은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에서 광주로 가는 너릿재의 고개 길이 시작되는 곳에 위치하며, 화순천의 지류인 벌고천의 최상류에 해당하는 곡간 평지에 자리하고 있다. 이십곡리 압곡 고인돌은 마을로 진입하는 도로 변에 있으며, 발굴 조사된 이십곡리 고인돌과는 300m 정도 떨어져 있다....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이양리 귀미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떼. 이양리 귀미 고인돌 떼는 5기이다. 귀미 마을의 남서쪽 산기슭에 제주 양씨의 분묘가 조성되어 있는데 분묘 위쪽 평평한 구릉 상에 5기의 지석묘가 분포하고 있다. 이양리 귀미 마을 고인돌 군은 5기 모두 판석형 상석이며, 석재는 역암 계통으로 풍화가 심한 편이다. 고인돌 상석의...
-
전라남도 화순군 일대에서 서식하고 있는 물푸레나무과의 낙엽 교목. 원산지가 한국인 이팝나무는 골짜기나 해변가 등에서 양지바르고 토심이 깊은 비옥적인 토양에서 생장한다. 이팝나무는 중국·대만·일본 등에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전라도·경기도·제주도에서 분포되어 있다. 지금과 같이 항상 밥상에 쌀밥이 오르지 않던 배고픈 시절에는 사람들이 이팝나무에 핀 꽃을 보면...
-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절산리 방축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절산리 방축 고인돌 떼는 사평면 절산리 방축 마을에 분포하고 있다. 고인돌은 절산리 방축 마을 함양 박씨의 묘역 주변인 사평면 절산리 38-1번지 일원에 위치하고 있다. 절산리 방축 고인돌 떼는 묘역 주변에 모두 3기의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다. 고인돌은 경지 정리 과정에서 일부가...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야사리에 있는 효행 기념비. 정자근노미는 어머니가 병석에 눕게 되자 간절히 기도하여 겨울에 강에서 잉어를 구하고, 복숭아를 구하는 등 온갖 정성을 쏟았는데, 그 효행이 알려져 정려를 명하였다고 하며, 효행비를 세우게 된 것이다. 기록상으로는 조선 후기 관찬 지리지인 『여지도서(輿地圖書)』[1759]에서 처음 확인 되는데, 잉어와 복숭아가...
-
쌍봉사(雙峰寺)는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증리에 소재하며, 대한 불교 조계종 제21교구인 순천 송광사의 말사이다. 당에서 귀국한 철감 선사 도윤의 주석(駐錫)으로 9산 선문의 하나인 사자산문(獅子山門)의 기초를 닦았다. 쌍봉사는 고려 시대 최씨 무인 정권의 비호를 받는 무진주[광주] 일대의 선종 대가람이었다. 조선 시대에 들어서도 왕실의 지원을 받는 등 창건 이래 꾸준히...
-
전라남도 화순 지역 마을 입구에 수구막이를 위해 돌을 쌓아올려 만든 일종의 입석. 조탑이란 돌을 쌓아올려 만든 탑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형태는 물론 기능도 사찰의 탑과는 거리가 멀다. 형태는 돌을 원형으로 쌓아올려서 맨 꼭대기에 상대적으로 큰 돌을 세워 표식을 한다. 기능은 일반적인 입석[선돌]과 같이 마을 입구에 세워서 수구 막이 역할을 한다. 수구(水口)란 도교에서...
-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에 있는 조선 시대 서원. 죽수 서원(竹樹書院)은 기묘사화 때 능주로 유배되었다 사사(賜死)된 조광조[1482~1519], 그리고 조광조와 인연이 깊은 양팽손[1488~1545]을 모신 서원이다. 1568년(선조 1) 조광조가 영의정에 추증되고, 문정이라는 시호를 받자 1570년에 유배지였던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 천일대에 서원을 짓...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다지리에 있는 창령 조씨 문중 서원. 지곡 서원은 화순군 화순읍 다지리에 위치한다. 화순군청에서 약 5㎞ 거리이다. 지곡 서원은 조선 태종 대 좌명공신이자 세종 대 우군 도총제를 지낸 조흡(曺恰)[?~1429]을 주향으로 하고 정여립의 일파로 몰려 장살당한 조대중(曺大中)[1549~1590], 홍문관 정자를 지낸 조수홍(曺守弘...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향청리에 있는 화순 출신 진각 국사를 기념하는 유적비. 화순 남산 공원에 있는 고려 시대 수선사(修禪社) 2세 사주인 진각 국사(眞覺國師) 혜심(慧諶)[1178~1234]의 유적비이다. 비문은 고려 시대 이규보(李奎報)[1186~1241]가 왕명으로 지은 것이며 진각 국사의 태생지인 화순 향청리에 1992년 건립하였다. 진각...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가수리 상가 마을에 있는 액막이용 솟대. 호남 지역에서는 솟대를 대개 짐대라고 부른다. 짐대는 장승, 입석과 아울러 마을의 액막이를 위해 세우는 장치의 하나다. 그 연원은 멀리 마한의 소도(蘇塗)까지 소급된다고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몽고의 오보에서 기원을 찾기도 하지만, 아직 정확한 연원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 없다. 짐대는 매년 정월...
-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천암리 일대에 집단적으로 숲을 이루는 느티나무 서식지. 원산지가 한국인 느티나무는 우리나라 거의 모든 지역에서 자란다. 특히 화순군 도곡면 천암리 백암 마을 앞 도로변과 하천 사이에는 느티나무 25그루가 집단 서식하고 있다. 집단 서식지에서 자라고 있는 느티나무의 높이는 3~14m까지 다양하며 가슴 높이의 둘레는 0.25~2.5m이다. 느티나무는...
-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천암리 일대의 산림 보호 구역. 산림 유전자원 보호 구역이란 생물의 유전자와 종(種) 또는 자원 생태계 등의 보전·관리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구역을 각 시도 지사 또는 지방 산림청장이 지정한 것을 의미한다. 산림 유전자원 보호 구역은 1983년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가리산리 일원 2.8㎢를 처음 지정한 것을 시작으로 하여 현재 596.14㎢...
-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천태리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무덤 떼. 천태리 덕고개 고인돌 떼는 천태리 산 75-1번지 일원 도암면과 춘양면의 경계를 이루는 덕고개의 정상부에 17기의 지석묘가 분포하고 있다. 천태리 덕고개 고인돌 떼는 17기로서 상석 형태는 다양하며, 장축 방향은 대부분 북동·남서이다. 고인돌 상석의 장축 방향은 남북이며, 상석의 평...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철기를 도구로 만들어 사용하던 시대. 우리나라 북부 지역에서는 기원전 3~4세기경 중국 지역으로부터 철기와 철기 제조 기술이 유입되면서 철기 문화가 형성되었고, 남부 지역도 기원전 2세기경에는 철기 시대가 시작되었다. 철기 시대는 철기가 처음 사용되던 시기부터 삼국 시대에 고분이 형성된 3세기 말까지인데, 한국 고고학에서는 통상 초기 철기 시대와...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청동기로 도구를 만들어 쓰던 시대. 청동기 시대는 톰젠(Thomsen)[1788~1865]의 3시대 구분법에 따라 청동기를 사용한 시대이다. 주변 나라에서는 이미 국가가 형성된 역사 시대에 해당된다. 이 시기는 권력이 형성되고 중심 마을이 만들어지는 시기여서 도시 혁명이 발생한 시기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의 청동기 시대는 일반적으로 기원전 15세기에...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문신이자 의병.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선우(善遇), 호는 삼계(三溪)·일휴당(日休堂). 고려 문헌공(文憲公) 최충(崔沖)의 16세손이고, 최혼(崔渾)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증 승지(承旨)인 최윤범(崔尹範)이고 아버지는 증 영의정 최천부(崔天符)이며 부인은 나주 김씨 김원(金遠)의 딸이다. 최경회(崔慶會)[1532~1593]는 1548년(명종...
-
전라남도 화순군 일대에서 서식하고 있는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 팽나무의 원산지는 한국이며, 수세가 강건하고 입지에 대해 까다롭지 않아 우리나라 정자목 중에서 느티나무 다음으로 많이 심어져 있다. 우리나라의 보호수로 지정된 팽나무는 약 1,200그루 정도로 현재 산림청의 관리를 받고 있다. 보호수 중 대부분은 전라도와 경상도, 제주도에서 자라고 있다....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야사리에 있는 정려. 조선 시대 정유재란 때의 성균 진사 하대붕(河大鵬)[1533~1605]의 처 동복 오씨는 정유재란 때 남편이 포로가 되었다고 잘못 듣고 자결하였다. 종 목산(木山)도 ‘내 어찌 홀로 살리오?’ 하고 자결하였다. 충의위 이득춘(李得春)의 처 진주 하씨는 정랑 하대란(河大鸞)의 딸로 정유재란 때 남편이 포로로 붙잡혔다는 소식을 듣...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한천리 한천 마을에 위치하고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한천리 한천 고인돌 떼는 동복면 한천리 한천 마을에 분포하고 있다. 고인돌은 네 곳에서 확인되는데, 동복면 한천리 32번지 일원, 동복면 한천리 한천 마을 창고 앞 논 일원, 동복면 한천리 139번지 일원, 동복면 한천리 188번지 일원에 분포하는 고인돌이 있다. 한천리...
-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대신리에 있는 근대식 서원. 해망 서원은 화순군 춘양면 섶메길 33-4에 있다. 화순군청에서 약 17㎞ 거리이다. 해망 서원은 1508년(중종 3)에 능주 출신인 정여해(鄭汝諧)[1450~1530]가 무오사화와 갑자사화로 참형을 당한 스승인 김종직과 친우 김굉필, 그리고 8촌 형인 정여창 등을 기리기 위해 화순군 춘양의 해망산...
-
조선 시대 승정원 좌부승지를 지낸 이달선의 묘갈명. 조선 시대 문장가이자 문관이었던 이달선(李達善)[1457~1506]의 묘갈명으로 둘째 아들 이공충이 1576년(선조 9)에 세웠다. 비문은 윤구(尹衢)[1495~?]가 1537년에 지었고, 글씨는 이산해(李山海)[1539~1609]가 썼다. 뒤쪽의 음기는 1574년(선조 7)에 이이(李珥)[1536~1584]가 지었다....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동구리 만연사에 있는 선정암 대웅전에 봉안된 목조 관음보살 좌상. 화순 만연사 선정암 목조 관음보살 좌상은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으며 머리에는 꽃과 화염문 등이 장식된 화려한 보관을 썼다. 2008년 12월 30일 화순군 향토 문화 유산 제41호로 지정되었다가 2011년 12월 20일 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277호로 승격되었다....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증리 쌍봉사 명부전에 소재한 조선 후기 지장보살 및 시왕상. 화순 쌍봉사 목조 지장보살 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에서 발견된 조성 발원문과 『능주지 사자산 쌍봉사 제전 기문 집록(綾州地獅子山雙峰寺諸殿記文輯錄)』과 『쌍봉사 사적기(雙峰寺事蹟記)』 등을 통해 이 상은 1667년경 운혜(雲惠)를 비롯한 그의 일파 조각 승들이 참여하...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증리 쌍봉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탑비. 화순 쌍봉사 철감 선사 탑비는 통일 신라 시대 능성[현 화순] 쌍봉사에 세운 철감 선사(澈鑒禪師) 도윤(道允)[798~868]의 탑비이다. 철감 선사가 입적하자 경문왕은 시호를 ‘철감’이라 내리고 승탑과 탑비를 세웠다. 비는 비몸돌이 없어진 채 거북받침돌[龜趺]과 머릿돌[이수]만 남아 있다....
-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운월리와 도장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화순 운월리 및 도장리 지석묘군은 1975년 최몽룡에 의해 운월리와 복구래에 고인돌이 있다고 한 목록만 처음 알려졌다. 1985년 이영문의 조사에서 운포 마을 주변에 6기, 복구래 앞 논에 6기, 도로변에 9기와 그외 마을 진입로 주변에 2기와 1기 등 24기가 조사되어 비교적 자세하게 고인돌...
-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용강리 일원에 위치한 운주사의 절터. 운주사는 천불산에 자리하며 송광사의 말사이다. 운주사는 운주사(運舟寺)·운주사(運柱寺)·운주사(雲柱寺)·운주사(雲住寺) 등으로 불린다. 운주사(運舟寺)로 불리게 된 것은 조선 후기 풍수지리 사상에 근거해 우리 한반도는 배의 형국이기 때문에 그 운세가 일본으로 떠내려가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풍수...
-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사평리에 있는 임대정 주변에 조성된 숲. 화순군 사평면 사평리에 위치하고 있는 화순 임대정 원림(和順臨對亭園林)은 고반(考槃) 남언기(南彦紀)[1534~?]가 1500년대 말에 초려를 짓고 조성한 곳이다. 이후 1871년(고종 8) 사애(沙厓) 민주현(閔胄顯)[1808~1882]이 3칸의 팔작지붕 정자를 짓고 임대정으로 편액하였다. 임대...
-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천태리 천태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유물 산포지. 천태리 유물 산포지는 천태리 천태 마을과 지월리 지장리 마을 사이의 비고 30m 내외인 나즈막한 구릉상[86.8m]에 위치하고 있다. 맹일산[322.5m]에서 북쪽으로 뻗어내린 구릉의 말봉에 해당한다. 이 일대는 남북으로 길게 뻗은 산줄기 사이에 계곡 평지가 있고, 천태산[490m] 기...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교리에 있는 조선 시대 지방 교육 기관. 화순 향교는 화순군청에서 서쪽으로 1㎞ 정도 떨어진 곳에 자리하고 있다. 외삼문 안으로 담장이 둘러쳐 있어 예전의 위용을 어느 정도는 보여주고 있으며, 화순 향교 바로 옆에 호남 유일의 항교 누각인 만화루(萬化樓)가 있어 의미를 더해주고 있다. 화순 향교는 1433년(세종 15)에 공자...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교리에 있는 조선 후기 화순 현감 공적비. 조선 시대 지방 교육 기관인 화순 향교 경내에 있는 조선 시대 역대 화순 현감과 군수의 숭유 중도 공적비 8기이다. 정유재란 뒤 화순 향교 중건에 큰 힘을 보탠 현감 홍명하[1647년 1월~1648년 7월 재임] 숭유 중도비는 신축년에 개건한다. 현감 김준흠 비는 1852년(철종 2) 1월, 현감 김윤현...
-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효산리와 춘양면 대신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고인돌은 도곡면 효산리와 춘양면 대신리를 잇는 보검재 계곡 일대에 걸쳐 있다. 효산리 고인돌군은 보검재[188.5m] 산기슭에서 모산 마을 앞까지 높이 45~90m 사이에 모두 7개 군으로 나누어 분포되어 있다. 대신리 고인돌군은 보검재에서 지동 마을로 뻗어있는 산기슭[70m~120m]으로 1...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관영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 화순 관영리 고분은 영산강 지류인 지석천 변의 충적 평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위는 국사봉·연주산·비봉산 등 높이 300m 내외의 산지로 둘러싸여 있다. 고분 주변은 경리 정리된 논으로 경작되고 있다. 행정 구역상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관영리 43번지이다. 현재는 화순 보성 간 국도 28호선에서 능주 나...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대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석불 입상. 석재를 이용하여 불상을 만든 것의 통칭을 석불이라고 하는데, 바위에 음각한 마애불, 암굴을 파서 조각한 석굴불 등의 종류가 있다. 석불은 예로부터 신앙의 대상으로 불교가 유입된 삼국 시대 이후 통일 신라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하였으며, 고려 시대에는 어수선한 시대 상황을 반영하여 지방마다 특색 있는 석불이 조성되었...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독상리에 있는 조선 후기 남덕원과 관련된 비석. 남덕원(南德院)은 고려·조선 시대에 출장 중인 관리들의 숙박 장소로 이용하고, 공문 송달이나 물류 수송을 지원하기 위하여 국가에서 설치한 기관이다. 동복 현감 심지헌(沈之瀗)이 주도하여 1668년(현종 9)에 건립하였다. 글씨는 김진도(金辰道)가 썼다. 남덕원은 독상리의 금계산 기슭에 있었...
-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벽송리 벽송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군. 화순 지역에서 동면을 지나 사평면과 경계를 이룬 서밧재를 막 넘으면 벽송 마을이 나오는데, 마을 앞 당산 나무 주위에 화순 벽송리 지석묘군이 있다. 이곳은 보성강 상류 사평천 변의 비교적 넓은 분지형 평지가 형성되어 있다. 고인돌은 마을 앞 국도 15호선과 개천 사이의 경작지에 열을 이루...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과 도곡면의 경계 지점에 위치한 비봉산 일대에 위치한 산성. 산성은 산세를 따라서 산에 쌓은 성으로, 특히 우리나라에서 잘 발달되어 현재 중부 이남에만 1,200여개의 산성 터가 남아 있다. 산성은 평상시에 군창(軍倉)을 두고 여기에 곡식과 무기를 준비하여 두며 적이 침입하여 오면 평지의 주민들을 모두 들어오게 하여 농성하는 곳이다. 성이 위치한 지...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증리 쌍봉사 극락전에 있는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 화순 쌍봉사 극락전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은 원래 양옆에 협시불인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과 함께 삼존의 형식을 갖추고 있었으나, 1989년 8월경 양 협시불이 도난당하여 이후 새로 조성하였다. 아미타여래 불상은 1694년(숙종 20)에 만들어진 것으로 대웅전에 모셔져 있는 전라남도 유형 문...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증리 쌍봉사 대웅전에 있는 목조 삼존 불상. 화순 쌍봉사 대웅전 목조 삼존 불상은 앉은 모습의 석가여래상을 중심으로 가섭존자상과 아난존자상이 양 옆에 서 있는 특이한 형식을 가진 삼존 불상이다. 쌍봉사 대웅전은 우리나라 유일의 삼층 목탑식 전각이어서 보물로 지정되어 보호하여 왔으나 1984년 불에 타 재건되었다. 불이 난 당시 다행히도...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연월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화순 연월리 지석묘군은 월송 마을에서 서쪽으로 동복 향교 앞을 지나는 길을 따라 가면 밭과 광산 김씨 선산 주변에 36기가 분포하고 있다. 이곳은 높이 135.6m로 속칭 바우배기라 부르는 곳이며, 마을에서 부르는 시암골 입구의 선상지형 평지 지형이다. 고인돌 동쪽의 구릉에는 동복 향교가 자리 잡고...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과 화순읍의 경계의 오성산 일대에 위치한 산성. 산성은 산세를 따라서 산에 쌓은 성으로 특히 우리나라에서 잘 발달되어 현재 중부 이남에만 1,200여 개의 산성터가 남아 있다. 산성은 평상시에 군창(軍倉)을 두고 여기에 곡식과 무기를 준비하여 두며 적이 침입하면 평지의 주민들을 모두 들어오게 하여 농성하는 곳이다. 성이 위치한 지형에 따라 테뫼식, 포...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남정리에 있는 조광조의 유허비. 조선 시대 중종 때 학자로 개혁 정치를 추구했던 정암(靜菴) 조광조(趙光祖)[1482~1519]는 기묘사화로 능주에 유배되어 사약을 받았는데 1667년(현종 8) 8월 유배지에 유허비를 세웠다. 비문은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1607~1689]이 짓고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1606~1672]이 글씨를...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천덕리 회덕 마을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화순 천덕리 회덕 고분군은 마을 입구 구릉 상에 3기와 여기서 약 400m 떨어진 주자묘 옆 야산 정상부에 1기 등 4기가 분포하고 있다. 천덕리 고분·관영리 고분·원지리 원지 고분이 1km 범위 내에 분포하고 있다. 화순군 능주면에서 지방도 839호선을 타고 천덕리로 가는 진입로를...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안성리 신성 마을 뒷산 옹성산 일대에 있는 산성. 산성은 산세를 따라서 산에 쌓은 성으로 특히 우리나라에서 잘 발달되어 현재 중부 이남에만 1,200여 개의 산성 터가 남아 있다. 산성은 평상시에 군창(軍倉)을 두고 여기에 곡식과 무기를 준비하여 두며, 적이 침입하면 평지의 주민들을 모두 들어오게 하여 농성하는 곳이다. 위치한 지형에 따라 테뫼식이...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교리에 있는 화순 향교의 대성전. 조선 시대 지방 교육 기관인 전라도 화순현의 향교 대성전으로 정면 5칸 측면 3칸의 맞배 지붕집이다. 조선 시대 향교 대성전의 봉안 위패의 수는 군현의 규모에 따라 대설위(大設位)·중설위·소설위로 차이가 있었는데, 화순현은 소설위로 공자·사성(四聖)·송 사현·동국 십팔현을 배향한다. 춘추로 석전제를 봉향한다....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교리에 있는 화순 향교의 만화루. 조선 시대 지방 교육 기관인 전라도 화순현의 향교 만화루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 지붕집이며 중층 누각형이다. 교생의 강학처와 향시장으로 쓰인 공간이다. 화순읍 화순군청에서 동헌길을 따라 서북쪽으로 600m 거리이다. 너릿재 쪽에서는 교리 삼거리 교차로에서 대교길을 따라 300m를 가다가 교동2길로...
-
940년부터 1895년까지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동면·이서면 일대를 관할하던 옛 행정 구역. 화순현은 940년(고려 태조 23)에 여미현을 화순현으로 개칭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한 고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 이르러 1407년(태종 7)~1416년(태종 16)에는 복순현과 합속되었고, 1416년(태종 16)~1418년(태종 18)에는 순성현과 합속되었으며, 1594년(선...
-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효산리 모산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떼. 효산리 모산 고인돌 떼는 3개소 군집으로 분포하고 있다. 효산리 산 301번지 일원으로 모산 마을 입구, 효산리 198-1번지 일원으로 모산 마을 정기현 집 뒤, 효산리 174-1번지 일원으로 모산 마을 양철승 밭에 분포한다. 효산리 모산 고인돌 떼는 대부분 보존 상태가 불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