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해남현감을 지낸 문신. 김서구(金叙九)[1725~?]는 1780년 2월부터 1781년 6월까지 해남현감(海南縣監)으로 있으면서 남천교를 중수하였다. 김서구의 자는 맹주(孟疇) 또는 성주(聖疇), 본관은 풍산(豐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시하(金時夏), 할아버지는 김정화(金鼎和)이다. 친아버지는 김집(金𠍱)이며 김휴(金休)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
조선 후기 해남 출신의 문신. 민여안(閔與顔)[1565~1637]은 본관이 여흥(驪興), 자는 자우(子愚), 호를 귤주(橘洲)라 하고, 속칭 민처사(閔處士)라고 하였으며 해남의 귤정 윤구, 귤옥 윤광계와 더불어 ‘해남 3귤’로도 불린다 민여안은 1565년(명종 20) 해남읍 동외리에서 출생하였으며 눌재(訥齋) 박상(朴祥),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으로부터...
-
조선 전기 해남 출신의 문신. 박백응(朴伯凝)[1525~?]은 석천(石川) 임억령(林億齡)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공부하였으며 학행과 효행에도 뛰어나 해남의 육현(六賢) 중 한사람으로 존경받고 있다. 박백응의 본관은 무안(務安)이며 자는 혼원(混元), 호는 취죽헌(翠竹軒)이다. 아버지는 기자전참봉(箕子殿參奉) 박안(朴晏)이며 어머니는 석천 임억령의 누이 선산임씨(...
-
조선 전기 해남현감을 역임한 무신. 변협(邊協)[1528~1590]은 해남현감 재임 시 을묘왜변이 일어나자 군민들과 함께 해남읍성을 사수하였으며, 이후 전라우방어사(全羅右防禦使)로 있으면서 여러 차례 왜구를 격퇴하였다. 변협의 본관은 원주(原州)이며 자는 화중(和中), 호는 남호(南湖)이다. 아버지는 중추부경력(中樞府經歷) 변계윤(邊季胤)이며, 어머니는 참판...
-
조선 후기 해남 출신의 문신이자 실학자. 오달운(吳達運)[1700~1748]은 18세기 초에 진보적인 사상을 품고 사회개혁 사상을 제시한 실학의 선각자이다. 오달운의 자는 백통(伯通), 호는 해금(海錦), 본관은 동복(同福)이다. 지금의 해남군 계곡면 용지리에서 태어났다. 증조할아버지는 오명승(吳名勝)이며, 할아버지는 오필주(吳弼周)이다. 어머니는 최남극(崔南...
-
조선 전기 해남에서 활동한 학자. 유계린(柳桂鄰)[1478~1528]은 해남에 은거하면서 학문 연마와 자녀 교육에 힘써 선산유씨(善山柳氏) 가문이 사림(士林)의 명문으로 성장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유계린의 본관은 선산(善山)이며 호는 성은(城隱)이다. 할아버지는 유양수(柳陽秀), 아버지는 유공준(柳公濬)이다. 동생은 유계근(柳桂近)이며, 호남삼걸(湖南三傑...
-
조선 전기 해남 출신의 문신. 유성춘(柳成春)[?~?]은 해남 출신의 문신으로 윤구(尹衢)·최산두(崔山斗)와 함께 호남삼걸(湖南三傑)로 일컬어졌다. 유성춘의 본관은 선산(善山)이며 자는 천장(天章), 호는 나옹(懶翁)·성은(城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유양수(柳陽秀), 할아버지는 유공준(柳公濬), 아버지는 유계린(柳桂隣)이다. 어머니는 최부(崔溥)[1454~15...
-
조선 전기 해남 출신의 문신. 유희춘(柳希春)[1513~1577]의 본관은 선산(善山)이며 자는 인중(仁仲), 호는 미암(眉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유양수(柳陽秀)이고 할아버지는 유공담(柳公澹)이다. 아버지는 유계린(柳桂鄰)이며, 어머니는 금남(錦南) 최부(崔溥)의 딸 탐진최씨(耽津崔氏)이다. 형은 유성춘(柳成春)이다. 유희춘은 해남에서 태어나 아버지 유계린의...
-
조선 후기 해남 출신의 문신. 윤광계(尹光啓)[1559~?]는 많은 시문을 남겨 해남윤씨(海南尹氏) 집안 문인학풍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해남의 귤정(橘亭) 윤구(尹衢), 귤주(橘洲) 민여안(閔與顔)과 함께 3귤로도 불리고 있다. 윤광계의 자는 경열(景說), 호는 귤옥(橘屋)이며, 본관은 해남(海南)이다. 해남윤씨 득관조인 윤효정(尹孝貞)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
조선 전기 해남 출신의 문신. 윤구(尹衢)[1495~?]는 해남윤씨(海南尹氏) 문중에서 가장 먼저 중앙 관계에 진출한 인물이다. 문장이 뛰어나 광양 최산두(崔山斗)[1483~1536], 해남의 유성춘(柳成春)[?~?]과 더불어 호남삼걸로 불렸다. 또한 기묘사화 때 화를 입은 을묘명현(乙卯名賢) 중 한 사람이다. 윤구의 본관은 해남(海南)이며 자는 형중(亨仲),...
-
조선 전기 해남에 있었던 전라우수영의 수사를 지낸 무신. 윤득홍(尹得洪)[1372~1448]의 본관은 무안(務安)이며, 시호는 양정(襄靖)이다. 아들은 윤건관(尹建官)이다. 윤득홍은 1372년(공민왕 21) 전라도 무안에서 천민으로 태어났다. 1419년(세종 1) 백령도(白翎島)에서 왜구를 물리친 공으로 우군첨총제(右軍僉摠制)가 되었고, 이듬해에 동지총제(同知...
-
조선 전기 해남 출신의 문신. 윤복(尹復)[1512~1577]의 본관은 해남(海南)이며 자는 원례(元禮), 호는 행당(杏堂) 또는 석문(石門)이다. 해남윤씨의 파시조인 어초은(漁樵隱) 윤효정(尹孝貞)과 정귀영(鄭貴瑛)의 딸 해남정씨(海南鄭氏)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형인 윤구(尹衢)·윤행(尹行)과 함께 과거에 합격하여 해남윤씨 집안의 기틀을 다졌다. 윤복은...
-
조선 후기 해남 출신의 문신이자 시조작가. 윤선도(尹善道)[1587~1671]는 해남윤씨(海南尹氏) 가문의 대표적인 인물로, 여러 벼슬을 역임한 문신이자 국문학의 최고봉으로 평가받는 문인이다. 윤선도의 본관은 해남(海南)이며 자는 약이(約而), 호는 고산(孤山)·해옹(海翁), 시호는 충헌(忠憲)이다. 아버지는 예빈시부정(禮賓寺副正) 윤유심(尹唯深)이고 어머니는...
-
조선 전기 해남 출신의 문신. 윤의중(尹毅中)[1524~1590]은 중앙의 여러 요직을 거치고 경제적 부를 축적하여 해남윤씨 가문이 16세기 명문 사족으로 성장하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윤의중의 본관은 해남(海南)이며 자는 치원(致遠), 호는 낙천(駱川) 또는 태천(駘川)이다. 할아버지는 해남윤씨 득관조인 윤효정(尹孝貞)이며, 아버지는 윤구(尹衢)이다. 고산(孤...
-
조선 후기 해남 출신의 문인. 윤이후(尹爾厚)[1636~1699]의 본관은 해남(海南)이며 자는 재경(載卿), 호는 지암(支菴)이다. 할아버지는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1587~1671]이고, 아버지는 윤의미(尹義美), 어머니는 동래정씨(東萊鄭氏)이다. 윤이후가 태어나기 열흘 전 아버지 윤의미가 스물네 살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어머니 동래정씨도 남편을 따라 죽으려...
-
조선 후기 해남 출신의 문신. 윤인미(尹仁美)[1607~1674]의 본관은 해남(海南)이며 자는 자수(子壽), 호는 치헌(癡軒)이다. 아버지는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1587~1671]이며, 어머니는 윤돈(尹暾)의 딸 남원윤씨(南原尹氏)이다. 부인은 구봉(九峯) 유항(柳恒)[1574~1647]의 딸 전주유씨(全州柳氏)이다. 형제로는 윤의미(尹義美)와 윤예미(尹禮美)...
-
조선 전기 해남 출신의 문신. 윤행(尹行)[?~?]의 본관은 해남(海南)이며 자는 대용(大用), 호는 졸재(拙齋)이다. 할아버지는 윤경(尹耕)이고, 아버지는 어초은(漁樵隱) 윤효정(尹孝貞)[1476~1543]이다. 형은 윤구(尹衢)·윤항(尹衖)이며 동생은 윤복(尹復)·윤종(尹從)·윤후(尹後)이다, 형제들 중 윤구·윤복도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였다. 윤행은 15...
-
조선 전기 해남 출신의 문인. 윤효정(尹孝貞)[1476~1543]은 해남윤씨 해남 입향조이자 어초은파(漁憔隱派) 파조이다. 해남윤씨가 지역의 명문 사족으로 성장하는 기틀을 닦았다. 윤효정의 본관은 해남(海南)이며 자는 희삼(希參), 호는 어초은(漁憔隱)이다. 아버지는 윤경(尹耕)이며, 부인은 정귀영(鄭貴瑛)의 딸 해남정씨(海南鄭氏)이다. 윤구(尹衢), 윤행(尹...
-
조선 후기 해남 출신의 무신. 이계년(李桂年)[1541~1593]의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자는 형로(馨老)이다. 탐라백(耽羅伯) 이운(李芸)의 후손이며 사정(司正) 이곤(李鯤)의 아들이다. 이계년은 1541년 해남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용맹이 뛰어났고 지모가 출중하였다. 1591년(선조 24) 무과에 급제하여 남원판관(南原判官), 도총부도사(都摠府都事)...
-
조선 전기 해남 출신의 무신. 이계정(李繼鄭)[1542~1595]은 임진왜란 때 곤양군수(昆陽郡守)와 충청도 수군절도사를 역임하며 왜군을 맞아 싸우다 전사하였다. 이계정의 본관은 원주(原州)이며, 자는 경윤(景胤)이다. 할아버지는 강릉대도호부사(江陵大都護府使) 이영화(李英華)이며 아버지는 현령(縣令)을 지낸 이장(李樟)이다. 이계정은 1542년(중종...
-
조선 후기 해남 출신의 문신. 이극인(李克仁)[1602~1641]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자는 사안(士安), 호는 송정(松汀)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국형(李國衡), 할아버지는 호조판서 이후백(李後白)[1520~1578]이다. 아버지는 별좌(別坐)를 지낸 이복길(李復吉)이다. 이극인의 형제는 이영인(李榮仁)·이우인(李友仁)·이호인(李好仁)이다. 종형(從兄) 이수인(李壽仁...
-
조선 전기 해남에 있었던 전라우수영의 수사로 부임하여 임진왜란을 승리로 이끈 무신. 이순신(李舜臣)[1545~1598]은 조선 역사에서 가장 큰 변란을 겪어야 했던 임진왜란 당시 삼도수군통제사로서 바다를 지켜 내어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 이순신의 본관은 덕수(德水)이며 자는 여해(汝諧),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고려 때 중랑장을 지낸 이돈수(李敦守)의 12...
-
조선 후기 해남 용정사에 배향된 무신. 이억기(李億祺)[1561~1597]는 임진왜란 당시 전라우수사로서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 경상우수사 원균(元均) 등과 합세하여 왜적을 격파하였다. 이억기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경수(景受), 시호는 의민(毅愍)이다. 심주군 이연손(李連孫)의 아들이다. 이억기는 1577년(선조 10) 무과에 급제하여...
-
조선 전기 해남 지역에 정착한 문신이자 원주이씨 해남 입향조. 이영화(李英華)[1430~1517]는 원주이씨(原州李氏) 해남 입향조이자 강릉공파(江陵公派) 파조이다. 강릉도호부사(江陵都護府使)를 역임하다 해남 지역으로 내려와 정착하였다. 이영화의 본관은 원주(原州)이며 경원군(慶原君) 이을계(李乙桂)의 후손이다. 부인 청주김씨(淸州金氏)와의 사이에 아들 이맹건...
-
조선 전기 해남 출신의 문신. 임구령(林九齡)[1501~1562]의 본관은 선산(善山)이며 자는 연수(年樹), 호는 월당(月堂)이다. 고조할아버지는 동복현감을 지낸 임간(林幹), 증조할아버지는 증 이조참의 임득무(林得茂), 할아버지는 진안현감을 지낸 임수(林秀)이다. 아버지는 임우형(林遇亨)이고 어머니는 참봉 박자회(朴子回)의 딸 음성박씨(陰城朴氏)이다. 임천령(林千齡)...
-
조선 전기 해남 출신의 무신. 임발영(任發英)[1539~1593]은 1539년(중종 34) 해남에서 태어났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종묘의 신주(神主)를 모시고 의주까지 선조를 호종하였다. 임발영의 본관은 장흥(長興)이며 자는 시언(時彦), 호는 와헌(瓦軒)이다. 아버지는 임희성(任希聖)이다. 임발영은 1568년(선조 1)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그 뒤...
-
조선 전기 해남 출신의 문신. 임백령(林百齡)[1498~1546]은 전라남도 해남 출신의 문신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의 주역 중 한 사람이다. 임백령의 본관은 선산(善山)이며 자는 인순(仁順)이며 호는 괴마(槐馬)이다. 고조할아버지는 동복현감을 지낸 임간(林幹), 증조할아버지는 증 이조참의 임득무(林得茂), 할아버지는 진안현감을 지낸 임수(林秀)이다. 아버지...
-
조선 전기 해남 출신의 무신. 임수(林秀)[1454~?]의 본관은 선산(善山)이며 자는 희암(希巖)이다. 이조판서를 지낸 임득무(林得茂)의 아들이다. 임수는 임우원(林遇元)·임우형(林遇亨)·임우리(林遇利)·임우정의 4형제를 두었다. 이들 중 임우형의 가계가 가장 번성하였는데, 임천령(林千齡)·임만령(林萬齡)·임억령(林億齡)·임백령(林百齡)·임구령(林九齡) 등 임우형의 다...
-
조선 전기 해남 출신의 문신. 임억령(林億齡)[1496~1568]은 호남 시학(詩學)의 스승이라 불리는 인물로, 최부(崔溥)·유희춘(柳希春)·윤구(尹衢)·윤선도(尹善道)·박백응(朴伯凝)과 함께 해남읍 해촌서원(海村書院)에 모셔져 있다. 임억령의 본관은 선산(善山)이며 자는 대수(大樹), 호는 석천(石川)이다. 고조할아버지는 동복현감을 지낸 임간(林幹), 증조할...
-
조선 전기 해남 출신의 문신. 정언식(鄭彦湜)[1538~?]의 본관은 해남(海南)이며 자는 청원(淸源), 호는 곡구(谷口)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귀영(鄭貴瑛), 할아버지는 정자화(鄭自和), 아버지는 정공유(鄭公裕)이다. 형은 정언홍(鄭彦洪), 아우는 정언순(鄭彦淳)이다. 정언식은 석천(石川) 임억령(林億齡)[1496~1568]의 문하생이자 증손녀사위이다. 정언...
-
조선 전기 해남 출신의 무신. 정운(鄭運)[1543~1592]은 한산도대첩 등 임진왜란의 숱한 해전에서 이순신(李舜臣)의 선봉장으로 많은 전과를 올렸으며, 부산포해전에서 전사하였다. 정운의 본관은 하동(河東)이며 자는 창진(昌辰),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훈련원참군을 지낸 정응정(鄭應禎)의 아들이다. 정운은 1543년(중종 38) 해남군 옥천면 대...
-
조선 전기 해남에서 활동한 문신. 최부의 본관은 탐진(耽津)이며 자는 연연(淵淵), 호는 금남(錦南)이다. 아버지는 최택(崔澤)이고 어머니는 여양진씨(驪陽陳氏)이다. 부인은 정귀감(鄭貴瑊)의 딸 해남정씨(海南鄭氏)이다. 최부는 1454년(단종 2) 나주 곡강면 성지촌[현 전라남도 나주시 동강면 인동리]에서 태어났다. 1470년(성종 1) 해남정씨와 혼인하여 해...
-
조선 전기 해남 출신의 무신. 최산정(崔山靜)[1535~1593]은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하였고, 이천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나 이때 입은 부상이 악화되어 사망하였다. 최산정의 본관은 통천(通川)이며 자는 국원(國垣), 호는 옥포(玉圃)이다. 할아버지는 최세진이며, 아버지는 최환성이다. 부인은 선산김씨(善山金氏)와 해남윤씨(海南尹氏)이며, 아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