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문서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 전하는 옛 문서. 고문서(古文書)는 보통 1910년 이전까지 작성된 문서를 말한다. 발급자와 수취자, 작성 목적에 따라 공문서와 사문서로 나뉘고, 다시 형태에 따라 낱장 문서와 성책 문서로 나뉜다. 혹은 고문서를 정리하는 방식에 따라 교령류(敎令類), 소차계장류(疏箚啓狀類), 첩관통보류(牒關通報類), 증빙류(證憑類), 서간통고류(書簡通告類), 치부기...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당산리에 세거한 장흥임씨들의 대동계 문서. 해남군 계곡면 당산리는 장흥임씨(長興任氏) 집성촌으로, 1600년경 임진설(林震說)이 분가하여 정착하였다고 한다. 마을에는 300년 전부터 대동계가 조직되어 있었고, 대동계와 관련된 고문서들이 현재까지 전하고 있다. 2009년 당시 마을 이장이었던 임경운이 집안의 고문서를 정리하던 중 발견하였다...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화내리에 있는 영산사 소장 고문서. 영산사(英山祠)는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공신에 오른 이계정(李繼鄭)을 위시한 이숙형(李淑亨), 이황(李璜), 이대행(李大行), 이호(李琥), 이순(李珣), 이원해(李元海), 이준(李浚), 이성춘(李成春) 등 원주이씨(原州李氏) 문중 9명의 충신을 모시고 제사지내는 사우(祠宇)이다. 1732년(영조 8...
-
고려 후기 해남 출신 윤광전이 아들 윤단학에게 노비를 상속하는 과정에서 작성된 문서. 윤광전(尹光琠)은 해남윤씨(海南尹氏) 중시조로 영동정공(令同正公)이라고 불린다. 고려 공민왕 때 사온직장영동정(四醞直長令同正)을 지냈으며, 부인은 대호군(大護軍) 박환(朴環)의 딸 함양박씨(咸陽朴氏)이다. 윤광전의 아들인 윤단학(尹丹鶴)은 고려 우왕(禑王) 때 군기소윤(軍器少尹)을 지냈...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에 있는 1791년 간행된 고산 윤선도의 시문집 목판. 해남 고산유고 목판 일괄(海南孤山遺稿木板一括)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고산 윤선도(尹善道)[1587~1671]의 시문집으로 1791년(정조 15) 전라감사 서유린이 정조의 명을 받아 간행하였다. 이후 1798년(정조 22)에 전라감사 서정수가 윤선도의 본가에 간직된...
-
전라남도 해남군 노송사에 있는 김해김씨 고문서. 노송사(老松祠)는 1774년(영조 50)에 매헌 김기손(金驥孫)의 학덕과 후손인 김안방(金安邦)[1553~?] 등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창건된 김해김씨(金海金氏) 문중 사우이다. 처음에는 창의사(倡義祠)로 불렸으나 1868년(고종 5) 서원 철폐령에 따라 훼철된 이후 1889년(고종 26) 옛터에 다시 설치할 때...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 화가 공재 윤두서의 서화첩. 해남윤씨 가전 고화첩 일괄(海南尹氏家傳古畵帖一括)은 윤두서의 아들 낙서 윤덕희(尹德熙)가 윤두서가 세상을 떠난 지 4년 만인 1719년 『가전보회』, 『윤씨가보』 2권의 화첩으로 만든 것과 『동국여지도(東國輿地圖)』, 『일본여도(日本輿圖)』를 일괄로 묶은 것으로 1968...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송산리에 있는 옥산서실 소장품. 옥산서실 소장품 일괄은 조선 전기의 문장가인 백광훈(白光勳)과 아들인 백진남(白振南) 관련 유물들이다. 백광훈의 본관은 수원(水源)이며 자는 창경(彰卿), 호는 옥봉(玉峯)이다. 1537년(중종 32) 장흥에서 백세인(白世仁)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형인 백광안(白光顔)과 백광홍...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두륜산 대흥사에 소장된 서산대사의 유물.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유물(海南大興寺西山大師遺物)은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두륜산 대흥사에 소장된 서산대사의 유물을 말한다. 청허휴정(淸虛休靜)[1520~1604]은 오랫동안 묘향산에 살았으므로 세상 사람들이 서산대사(西山大師)라고 불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
고서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확인되거나 제작된 서책 유형의 사료. 고서(古書)는 출판 시기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한국고서동우회에서는 1959년 이전에 출판된 책을 고서로 규정하였고, 한국인쇄문화사에서는 1910년을 기준으로 직접 쓰거나 베끼고 목판을 새겨 활자로 찍어낸 모든 책이라고 규정하였다. 고서의 종류는 사본(寫本)과 간인본(刊印本)이 있다. 사본은 고본(稿本)[원고...
-
조선 후기 해남 출신 문신인 윤선도의 시문집. 『고산유고(孤山遺稿)』는 유고 6권과 부록인 연보 및 유사(遺事) 3권 등 모두 9권으로 간행된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1587~1671]의 문집이다. 『고산유고』의 저자는 우리나라 국문학의 최고봉으로 평가받는 윤선도이다. 『고산유고』가 간행된 것은 정조(正祖)[1752~1800]와 관련이 있다....
-
1814년 전후에 승려 완호 윤우 등이 해남 대흥사의 역사와 사적을 기록한 책. 대흥사(大興寺)는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구림리 799]에 있는 사찰이다. 옛날 두륜산을 대둔산(大屯山)이라고 하였기 때문에 대흥사는 대둔사로도 불렸다. 『대둔사지(大屯寺誌)』에 따르면 응진전(應眞殿) 앞에 있는 삼층석탑의 연대가 신라 말로 추정되고 있으므로 대흥사의 창건 시기는 신라...
-
조선 후기 해남 대흥사 일지암에서 정진하던 초의선사가 다도를 시로 설명하여 엮은 책. 『동다송(東茶頌)』은 조선 후기의 승려 초의선사(草衣禪師)[1786~1866]가 동국(東國), 즉 조선에서 생산되는 차의 미덕을 찬양하며 쓴 책이다. 초의선사의 본관은 인동(仁同)이며 속명은 장의순(張意恂), 법호는 초의(艸衣)이다. 1786년(정조 10)에 태어나 15세에...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대흥사에 있는 17세기 초 청허 휴정이 중국의 『사가어록』을 발췌한 문헌. 『서산대사 행초 정선사가록(西山大師行草精選四家錄)』은 조선 중기의 고승이면서 승병장인 청허 휴정(淸虛休靜)[1520~1604]이 중국의 『사가어록(四家語錄)』의 중요한 구절을 발췌한 문헌이다. 『사가어록』은 중국 당(唐)대 선문(禪門)을 대표하는 임제종을...
-
일제강점기 오치 다다시치[越智唯七]가 편찬한 1914년 해남 지역을 포함한 군면동리(郡面洞里)의 통폐합 이전과 이후의 지명을 대조한 책. 『신구대조조선전도부군면리동명칭일람(新舊對照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은 일제가 한반도 식민지화 과정에서 통치의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해 단행하였던 전국 행정구역과 지명 변경 내역을 신 행정구역과 구 행정구역으로 대조하여 볼 수 있도록 제...
-
조선시대 전라우수영 예하 해남 여러 면의 군관 명부. 관안(官案)은 조선시대 중앙과 지방의 각 기관과 관청에 소속된 관리들의 명단이다. 관원의 관직명·성명·생년·본관 등을 간략하게 적어 놓았다. 전라우수영은 고려 말인 1377년(우왕 3) 무안 당곶포에 수군처치사영(水軍處置使營)이 설치된 뒤 1465년(세조 11) 이후에 해남으로 옮겨져 1907년까지 존속된 수영(水營)이다. 『우...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서상리에 위치한 조선시대 전라우수영의 역대 우수사와 우후 등의 이력을 기록한 명부. 선생안은 조선시대 중앙과 지방의 각 기관과 관서에서 전임(前任) 관원의 성명·관직명·생년·본관 등을 적어 놓은 책을 의미한다. 전라우수영은 고려 말인 1377년(우왕 3) 무안 당곶포에 수군처치사영(水軍處置使營)이 설치된 뒤 1465년(세조 11) 이후에 해남으로...
-
조선 후기 해남현에서 작성한 호적대장. 조선시대는 3년에 한 번씩 호구조사를 실시하였고, 각 호마다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를 근거로 호적대장을 만들었다. 해남현과 같은 지방에서는 총 3부의 호적대장을 만들어 1부는 호조(戶曹), 다른 1부는 감영(監營)에, 마지막 1부는 해당 관부에서 보관하였다. 『전라도해남현호적대장』은 해남현에서 작성하였다. 1639년(인조 17)...
-
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전라남도 해남군의 지명을 조사하여 간행한 책.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는 전국의 지명을 조사하여 각 도별로 정리하여 간행한 책이다. 『조선지지자료』는 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간행하였다. 『조선지지자료』의 편찬 및 간행 경위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다. 다만 『조선 구관제도 조사사업개요』[조선총독부 중추원, 1938...
-
조선 후기 해남 출신의 문신 윤이후가 남긴 일기. 『지암일기』는 윤이후가 1692년(숙종 18) 1월 1일부터 1699년(숙종 25) 9월 8일까지 약 8년 동안 쓴 일기이다. 윤이후(尹爾厚)[1636~1699]의 본관은 해남(海南)이며 자는 재경(載卿), 호는 지암(支庵)이다. 1679년(숙종 5)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689년(숙종 15) 증광시(增廣試)...
-
개항기 궁내부 내장사에서 해남에 있던 화원목장의 부세 및 관리 원칙을 기록한 규정. 화원목장은 전라남도 해남군 황원에 있었다. 원래 목장은 사복시(司僕寺)의 관할이었으나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 이후로 궁내부(宮內府) 내장사(內藏司) 소관이 되었다. 목장토(牧場土)는 이전까지는 면세지였으나 궁내부 내장사으로 관할권이 옮겨가면서, 면제지였던 역둔토(驛屯土)·사궁장토...
-
개항기 해남군에서 작성한 황일면[지금의 황산면]의 호적. 황일면(黃一面)은 조선 후기 면리제가 시행되면서 해남현에 속한 여러 면 중 하나였다. 1896년(고종 33)의 전국적인 행정 개편과 함께 해남현이 해남군으로 승격되면서 황일면은 황원면으로 개칭되었다. 현재는 행정구역상 황산면(黃山面)이다. 조선시대에는 부세 수취를 목적으로 3년에 한 번씩 호구조사를 하였으며, 관부...
-
전라남도 해남군에 세거하는 해남윤씨 가문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문헌 자료. 해남윤씨(海南尹氏) 녹우당(綠雨堂) 가문은 우리나라 단일 종가로는 가장 많은 문헌자료들을 소장하고 있다. 고려 말부터 생산되기 시작한 문서들은 16세기 윤효정(尹孝貞)[1476~1543] 대를 거쳐 윤구(尹衢)[1495~?], 윤의중(尹毅中)[1524~1590] 등 집안의 여러 인물들이...
-
조선 후기 해남의 호수와 인구수를 기록한 호구 통계집. 『호구총수(戶口總數)』 「해남(海南)」의 저자는 확인하기 어려우나 책의 내용으로 볼 때 1789년(정조 13) 규장각(奎章閣)에서 한성부의 초기(草記)를 기초로 편집·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호구총수』 「해남」 은 조선 후기 해남의 호수와 인구수를 파악하여...
-
조선 후기 해남에 있던 전라우수영의 수군절도사 구장화가 중앙으로 올린 공문서를 편집한 책. 『호우수영지(湖右水營誌)』는 일반적인 읍지의 형식을 따르고 있지 않으며, 전라우수사가 각 사안에 관해 중앙에 보낸 공문서를 편집한 형태를 띠고 있다. 『호우수영지』는 당시 전라우수사로 재임하였던 구장화(具鏘和)가 작성하였다. 『호우수영지』는 1850년 9월부터...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에 있는 조선 중기 고산 윤선도가 남긴 수적 및 관계 문서. 윤선도 종가 문적(尹善道宗家文籍)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국문학사의 최고 시문학인으로 평가받는 고산 윤선도(尹善道)[1587~1671] 가 직접 손으로 쓰거나, 엮어 펴낸 수적들과 관계된 여러 문헌들을 일괄하여 1968년 12월 19일 보물 제482호로 지정...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복평리에 있는 약수사 소장의 불교전적. 약수사 소장 불교전적은 약수사 주지인 보배의 아버지가 전국을 다니며 상업 활동을 하던 중 돈독한 불심으로 불서 및 고문서 등을 물품 대금으로 받아 수집한 것이다. 2006년 사망하기 직전 유품으로 보배에게 넘겨 약수사에서 보관하고 있다. 1. 『고봉화상선요(高峰和尙禪要)』는 중국 송나라의 고승 고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