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청년운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0405
한자 海南靑年運動
영어공식명칭 Youth Movement in Haenam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최성환·이성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족운동
관련 인물/단체 해남청년회|옥천청년회|신흥청년회|천도교청년회|불교청년회|기독청년회|해창청년회|마산청년회|해남소년단|이진청년회|삼산소년단|화산청년회|현산청년회|산이소년단|구성청년회|우수영청년회|해남청년동맹

[정의]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일어났던 청년들의 민족운동.

[역사적 배경]

1919년 3·1운동 이후 일제는 문화정치를 표방하면서 제한적이나마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를 허용하였다. 또 국내 보통학교 수가 증가하고 야학 등의 교육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이에 따라 청년들은 각종의 청년 단체를 조직하고 활발하게 청년운동을 전개하였으며, 계몽운동은 물론 농민운동·노동운동에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해남 청년운동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출현하였다.

[청년 단체의 활동]

1920년대 전국의 청년운동은 지식인층이 주도하는 문화계몽적인 성격을 띤 지식인층이 주도하였다. 반면 해남 지역의 청년운동 주도층은 『동아일보』 「순회탐방 삼백오십일 수한해 모르는 천혜의 지대」에서 그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 해남에는 사회의 중추를 구성한 사람들 중 대학 출신이 상당하였지만 이들은 졸업 후 농촌을 피해 도시로 나가거나, 자신의 이익에만 몰두하였다. 또 향락생활과 현세를 비관, 그리고 사회운동은 지식 없는 사람이 하는 일이며 지위 높고 학식 있는 사람은 참가할 바가 아니라는 듯이 수수방관하였다. 따라서 해남의 사회단체를 주도하는 이들은 해남 지역의 보통학교 졸업자 혹은 한문 사숙 출신들로 한계가 많았다는 내용의 기사를 보면 해남 지역 청년운동의 주도층을 알 수 있다.

[경과]

해남의 청년 단체는 1920년대 15개, 1930년대는 2개로 조직되었다. 해남 지역에 설립된 최초의 청년 단체는 1920년 초 조직된 해남청년회다. 해남청년회 조직에 체육부와 수양부가 있었는데, 체육부는 대운동회 등을 개최하여 해남군민들로 하여금 체육에 큰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수양부는 강연회를 개최하여 민족정신을 개최하였다.

1920년 5월 31일 옥천청년회가 창립하였다. 회원은 129명이었으며, 창립일에 1,000명 이상의 남녀가 참여할 정도로 규모가 큰 조직이었다. 옥천청년회는 지역 소작인의 임금문제 해결을 위해 지주와 대신 교섭하는 등 농민운동으로 발전했다.

해남에서 가장 뚜렷한 활동을 한 신흥청년회는 1925년 6월 28일 34명의 회원으로 창립되었다. 창립 동기로서 해남 사회의 부패를 개탄하고 해남문화보급회의 무능에 격분하여 청년운동과 사회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매년 정구와 축구 대회를 개최하여 지역민들의 건강과 단합을 도모하였다. 1933년 부흥대회를 개최하였으며, 1936년 임시 총회를 열고 새로운 규약을 수정한 후 회명을 해남청년회로 변경하였다.

이 밖에도 14개의 청년회의 이름과 설립 연도는 다음과 같다. 천도교청년회[미상], 불교청년회[1921년], 기독청년회[1922년], 해창청년회[1923년], 마산청년회[1925년], 해남소년단[1925년], 이진청년회[1926년], 삼산소년단[1926년], 화산청년회[1927년], 현산청년회[1927년], 산이소년단[1926년], 구성청년회[미상], 우수영청년회[1930년], 해남청년동맹[1930년]이 있었다. 청년회는 주로 지역 주민의 답합과 친목을 도모하는 목적으로 창립하였으며, 결의대회, 강연회 개최, 계몽운동, 건강과 보건운동 등 청년의 수양과 개조를 위한 활동과 신문화를 형성하려는 문화운동을 하였다. 1930년대에 일제가 농촌진흥운동을 적극적으로 펼치면서 해남의 청년운동은 1920년대에 비해 크게 위축되어 활동이 점점 줄어들었다.

[의의와 평가]

해남의 청년운동은 1919년 해남 4·6만세운동, 4월 11일 만세 시위, 1920년 4월 23일 만세 운동 등 독립운동까지 확대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