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46년 11월 11일부터 13일까지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전개된 농민들의 투쟁. 1946년 11월 1일 화원면을 제외한 13개 면에서 1만 3000여 명의 농민들이 일제히 일어나 지서와 면사무소 등을 점거한 1946년 해남 추수봉기가 일어났다. 이때 미군정 경찰은 주동자 600여 명을 체포 또는 사살하거나 투옥시켰다. 일제강점기에도 강제 공출과 친일 경찰 때문에 고통을 당한...
-
1950년 6월 25일부터 1953년 7월 23일까지 전라남도 해남군을 비롯한 한반도 전역에서 지속된 남한과 북한의 전쟁. 6·25전쟁 당시 해남 지역에서의 경과는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시기는 1950년 6월 25일 전쟁 발발부터 1950년 7월 23일 군경이 부산으로 탈출하기까지로 ‘경찰 후퇴기’이다. 두 번째 시기는 1950년 7월 28일 인민군 주둔부...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가좌(可座)마을은 기와를 굽는 터였다고 하여 ‘와등’, ‘왓등’, ‘와초’라고 불리었다가 가좌로 명칭이 변하였다. 본래 해남군 화이면 지역이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지동리, 입암리와 무학리, 율동리, 관동리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화산면 가좌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가좌마을, 무학마을 등의 자연마...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법정리. 마을 앞이 배 모양이고 뒤는 학이 나는 전선후비학(全船後飛鶴) 형국으로, 배의 앞이 멍에 모양이기 때문에 마을 이름에 멍에 가(駕) 를 쓰고, 배를 차에 비유한 수레 차(車)를 써서 마을 이름을 가차(駕車)라 하였다고 전한다. 하지만 한자 표기를 ‘가차(駕車)’로 기록한 문헌은 찾아볼 수 없다. 1789년에 편찬된 『호구총수(戶口總...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에 있는 법정리. 조선시대 해남군 현산면 지역으로 옛 해남현이 있던 곳이라 하여 고현(古縣), 고해남이라 한 데서 지명이 유래하였다. 1914년에는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학의리, 연평리, 사정리와 홍도리, 하도리, 하마리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현산면 고현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고현마을, 학의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관두산에 있는 봉수 모양이 사람이 상투를 쓰고 있는 것과 같다고 하여 관머리산이라고 부르다가 마을이 산의 동쪽에 있다 하여 관동(館東)이라 불렀다. 이후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한자 표기가 관동(關東)으로 바뀌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성조리, 무학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화산면 관동리로 개설되었다....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있는 법정리. 구림리(九林里)는 대흥사에서 내려오는 물이 구곡수를 이루고, 수풀이 우거진 마을이라 하여 구림(九林)이라 불렸다. 또 물이 좋고 기름진 들이므로 구룡들, 구룡 또는 구림이라 하였다고 한다. 본래 해남군 녹산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매정리, 덕촌리, 용전리를 병합하여 삼산면에 편입되었다. 구림리는...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에 있는 법정리. 조선 명종 때 뒷산 형국이 용머리를 닮았다 하여 용두라 불렸다가, 이후 개산 또는 구산(九山)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안덕리, 신덕리, 장동리, 방두리, 금제리를 병합하여 해남군 현산면 구산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구산마을, 금제마을, 방두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에 있는 법정리. 구시리(九市里)는 아흐레 만에 서는 장이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상구시(上九市)마을은 아흐레 만에 서는 시장 위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은 이름이다. 또는, 구시저수지가 축조된 후 구시저수지를 경계로 구시마을이 둘로 나눠졌는데, 저수지 위쪽이라서 상구시로 명명되었다고도 한다. 하구시마을은 아흐레 만에 열리는 시장 아...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법정리. 군곡리(郡谷里)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붙여진 이름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정리, 안곡리와 은소면의 방처리와 완도군 보길면의 삼마리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송지면 군곡리로 개설되었다. 방처마을, 군안마을, 현안마을, 신정마을의 4개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방처마을은 조선 말에 들어온...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법정리. 금강리(今江里)는 1789년에 편찬된 『호구총수(戶口總數)』에 금강(錦江)으로 기록되어 있다. 마을 앞 가공산[335m]이 옥녀가 비단을 짜는 옥녀직금(玉女織錦) 형국인데, 산의 오른편에 물레재, 바람재가 있어서 짠 비단을 펼쳐 놓은 곳이어서 비단 금(錦) 자를 사용하였다고 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금(今) 자...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금풍리(金豊里)에는 자연마을로 명금(明今)마을과 신풍(新豊)마을이 있다. 명금과 신풍의 이름을 따서 금풍리(金豊里)라고 하였다. 명금마을은 마을을 감싸고 있는 금성산이 거문고 형태이며, 바로 옆 옥녀봉이 옥녀가 거문고를 타고 있는 형세라 하여 명금(鳴琴)이라 하였다가 일제강점기에 명금(明今)으로 바뀌었다. 신풍마을은 원래...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에 있는 법정리. 원래 마을 이름은 앞산이 높다고 하여 대봉리라 불렀으나, 광해군 때 점(店)이 있었으므로 거치점 또는 큰바위 더미가 있어 덕흥리(德興里)라 하였다고 한다. 1914년에는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대정리, 봉림리를 병합하여 해남군 현산면 덕흥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덕흥마을, 봉림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덕흥마을은...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에 있는 법정리. 첩첩산중에 있는 마을로 세상과 접촉이 별로 없고 아름다운 곳이라 하여 미세(美世)라 불렸는데, 상노봉 뒤에 만안사(萬安寺)라는 절이 세워지면서 만안(萬安)이란 이름으로 바뀌어 지명이 유래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흥리[일명 웃미세]를 병합하여 해남군 현산면 만안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자연마을로는 만안마을이 있다. 만...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법정리. 1789년에 편찬된 『호구총수(戶口總數)』에 해남군 은소면에 속한 독야전(禿也田)으로 나와 있다. 미야마을 경주정씨 집안 호구단자에도 은소면 독야지(禿也只)로 나타나 ‘독야’로 불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862년 마을의 풍속이 아름답다 하여 민둥산을 뜻하는 독(禿) 자 대신 아름다울 미(美) 자를 써 미야(美也)라 한 데서 명칭...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마을에 방죽이 있어 방죽몰이라고 불렸으며, 마을 형국이 와우형, 즉 소 형국을 닮았다 하여 방축(方丑)이라고도 불린 데서 지명이 유래하였다. 본래 해남군 화일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마명리, 석전리, 갑길리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화산면 방축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마명마을, 중앙마을, 석전마을, 방축마...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에 있는 법정리. . 백포리(白浦里)는 백방산 밑에 있는 포구라 하여 백포 또는 백방포라 불렸다. 일설로는 백포마을을 바라보면 하얗게 보여 백포리라 이름 지었다고 한다. 간척되기 이전 포구 연안에 굴과 꼬막 껍데기가 패총처럼 쌓여 있어 하얗게 보였다. 1914년에는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두모리와 장등리를 병합하여 백포리라 하고 해남군 현산...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있는 법정리. 봉학리(鳳壑里)는 마을 뒷산이 매가 나는 지형이라 하여 ‘비매’, ‘비산’이라 부르다가 일제강점기에 ‘봉학(鳳壑)’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봉학리는 본래 진도군 삼촌면에 속하였다가 1906년(광무 10) 해남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일제의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수복리, 옹암리, 송정리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부곡과 갑길의 이름을 따서 부길리(富吉里)라 하였다. 해남군 화일면 지역에 속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부곡리, 칠암리, 갑길리, 봉황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화산면 부길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부길마을, 갑길마을, 은산마을, 경도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법정리. 1789년 편찬된 『호구총수(戶口總數)』에도 산정(山亭)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름의 변화가 없이 전하여 왔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암군 송지종면에 속하여 있던 산정리와 은소면의 상석리, 석수리, 미학리와 미야리의 각 일부을 병합하여 해남군 송지면 산정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산정1리마을, 산정2리마을, 엄남마을, 미학...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삼마리(三馬里)는 상마도, 중마도, 하마도의 3마도의 뜻을 따서 삼마리라 하였다. 상마도(上馬島)는 말 형국인 상마도·중마도·하마도 세 섬 중 가장 위쪽에 있어 웃마도리, 상마리도, 상마리 등으로 불리었다. 제주도에서 말을 싣고 오다가 풍랑이 심하면 상마도에서 머물렀다 하여 마유도(馬留島)로도 불렸다. 하마도는 삼마도 아...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법정면.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진도군 삼촌면(三寸面) 앞 글자와 해남군 녹산면(祿山面) 가운데 글자를 따서 삼산면(三山面)이라 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해남]과 『청구도』「해남현」고지도에 따르면, 본래 삼산면은 해남군 녹산면과 진도군 삼촌면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즉 조선시대에 삼촌면 지역은 1437~190...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있는 법정리. 마을 뒷산 지형이 소 멍에 모양이라 하여 가치(駕峙)라고 부르다가 마을이 가재 위쪽에 있다 하여 웃가재, 한자로는 상가(上駕)라 한 데서 지명이 유래하였다. 해남군 녹산면 지역이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사점리, 계동리, 신촌리, 중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삼산면 상가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상가마을,...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석호리(石湖里)라 붙여졌다. 본래 해남군 화일면 지역에 속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흑석리, 장명리, 대인리, 대지리, 주천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화산면 석호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흑석(黑石), 좌일(佐日), 대지(大只) 등의 자연마을이 있다. 흑석마을은 약 1400년...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법정리. 소죽리(小竹里) 서쪽 바다에 섬 두 개가 나란히 있는데, 하나는 크고 다른 하나는 작다. 섬에는 대나무가 서식하고 있어 큰대섬, 작은대섬으로 부른다. 소죽마을은 작은대섬에서 이름을 따와 소죽(小竹)이라 하였다. 소죽마을은 통일신라 말에서 조선 초까지 존재하였던 지방의 특수행정조직인 향·소·부곡 가운데 영암군에 있던 심정부...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소나무가 많은 산이 있다 하여 송산리(松山里)[화산면]라고 하였다. 본래 해남군 화일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삼치리, 과목리와 봉황리, 주천리, 갑길리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화산면 송산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송산마을, 탄동마을, 시목마을, 주천마을 등의 자연마을...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있는 법정리. 송정리(松汀里)는 귤정(橘亭) 윤구(尹衢)의 동생 윤홍이 지은 송정이라는 정각에서 송정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고도 하며, 소나무 정자와 맑은 못이 있어서 송정(松汀)이라 부르게 되었다고도 한다. 또한 소나무가 많고 물이 좋아서 송호(松湖)라고도 불렀다. 송정리는 진도군 삼촌면의 치소가 있었던 곳이다. 1914년...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법정면. 송지면(松旨面)은 통일신라 때 신라 지방제의 특수 행정구역인 향(鄕)·부곡(部曲)으로 있었다. 고려시대 초에는 송양현이라는 이름으로 있다가 다시 특수 행정조직인 소(所)와 부곡으로 영암군에 속하였다. 조선시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와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고적(古赤)을 보면, 송지부곡(松旨部曲)이 등장하는데...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있는 법정리. 신흥리(新興里)는 당현(堂峴), 땅고개라고 불렸다가 새로 형성된 마을이라 하여 신흥(新興)이라 하였다. 신흥리는 본래 진도군 삼촌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에 해남군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감당리와 상금리, 향리와 녹산면의 해남리와 성산리를 병합하여 해남군 삼산면 신흥...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안호리(安湖里)라 하였다. 안호리에는 안정(安丁), 중정(中丁), 송계(松界) 마을이 있는데, 안정마을은 마을 형태가 정(丁) 자 모양이라 하여 안정(安丁)이라 하였다. 중정마을은 사구미, 또는 색금이라 불렸는데, 사구미나 색금은 삭금부사터가 있어 생긴 지명이다. 지금의 안호리 548번지가 색금현원이 살...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법정리. 어란리(於蘭里)는 지형이 바다쪽으로 길게 뻗어 나온 것이 마치 난(蘭)처럼 생겼다 하여 어란(於蘭)이라 하였다. 조선시대에 수군만호진(水軍萬戶鎭)이 있어 어란진이라고도 부른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외장리, 동현리, 내장리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송지면 어란리로 개설되었다. 1921년 완도군 군외면의 어불도를...
-
1963년 1월 18일 전라남도 목포 허사도 앞바다에서 해남-목포 간 여객선이 침몰한 사건. 도로교통 시설이 충분하지 않던 1960년대에는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전라남도 목포시를 오가는 사람은 주로 정기 여객선을 이용하였다. 해남군 황산면 연호리와 목포 간 항로를 오가는 여객선 연호(燕號)는 해남 지역의 황산면·산이면·해남읍 지역 주민들이 겪는 교통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운항되고 있...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마을 앞산 형태가 연꽃이 물에 떠 있는 것 같다 하여 연골이라 부르다가 한자 연곡(蓮谷)으로 바뀐 데서 연곡리(蓮谷里) 지명이 유래하였다. 본래 해남군 화이면 지역에 속하였다가, 1914년에는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봉정리, 용덕리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화산면 연곡리로 개설되었다. 연곡마을과 봉저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연화(蓮花)와 석정(石井)의 이름을 따서 연정리(蓮井里)라고 하였다. 연정마을은 모래가 많고 내[川]가 흐른다 하여 마새내, 사천리라 부르다가 마을 앞에 연못이 있다 하여 연화동(蓮花洞)이라고 불렀다. 이후 행정구역 개편 때 연정이라 개칭하였다. 석정마을은 마을에 지석묘와 정자나무가 많아 석정(石丁)이라 하다가 행정구역 개편 때 석...
-
일제강점기 해남 옥매산의 광산노동자들이 1945년 8월 21일 제주에서 귀환하던 중 바다에 빠져 사망한 사건. 해남군 황산면 옥동리와 문내면 용암리 사이에 있는 옥매산(玉埋山)은 조선시대부터 옥으로 이름난 산이었다. 1910년 니시자키 쓰루타로[西崎鶴太郞]를 시작으로 일본인들이 옥매산 광산을 본격 경영하기 시작했으며, 1937년 7월부터는 아사다화학공업주식회사[淺田化學工...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법정리. 우근리는 일제강점기에 간척 공사를 담당하였던 일본인의 성(姓)이 ‘우근’인 데서 비롯되었다. 마을 주민과 인근 사람들은 새 제방을 막아 마을이 생겼다는 뜻에서 새언머리 혹은 새언동으로 불렀다. 본래 해남군 은소면에 속하여 있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도가리와 미야리, 미학리의 각 일부와 송지종면의 내장리 일...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있는 법정리. 원진리(院津里)는 원(院)[고려시대·조선 시대에 출장한 관원들을 위해 각 요로와 인가가 드문 곳에 둔 국영 숙식시설]이 있는 나루였다고 하여 원나루라고 부른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본래 진도군 삼촌면의 지역으로 1906년(광무 10) 해남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목신리, 옹암리 일부와 녹산면의...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에 있는 법정리. 조선 명종 때 마을이 소나무 숲으로 우거져 있고, 소나무 위로 달이 뜨면 노송 아래 모여 마을 일을 의논하였다 하여 월송(月松)이라 불렀다고 전한다. 또는 마을 모양이 앞산에서 보면 반달처럼 생겼다 하여 월송이라 한다는 설도 있다. 조선시대에는 영암군 송지시면에 속한 지역이었다가, 1906년(광무 10) 해남군에 편입되었...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월호마을은 ‘노하’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었는데, 『호구총수(戶口總數)』에 노하(路下)라는 이름이 나타나고, 월호(月湖)라는 지명도 나온다. 마을 입향조가 월채산에 떠오르는 달이 연못에 비추는 것을 보고 시를 짓다 마을 이름을 ‘월호(月湖)’라 지었다고 전해진다. 본래 해남군 화이면 지역이었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율동마을은 밤나무가 많아 밤나무골, 밤골이라고 불리다가 한자로 율동(栗洞)으로 부르게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용덕리(龍德里)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화산면 율동리가 개설되었다. 율동리에는 율동마을과 용덕마을 등의 자연마을이 있다. 율동마을은 1540년 무렵 송산리 시목마을에서 해남윤씨 윤후강(尹厚綱)이...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에 있는 법정리. 소금을 저장하는 염창(鹽倉)이 있었으므로 염창이라 불리었으나, 조선 고종 대에 이재양이 정착하여 읍호정(挹湖亭)이라는 정자를 지어 마을 이름을 읍호정, 읍호(挹湖)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고계리, 백포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현산면 읍호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읍호마을, 고담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
-
1945년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결성된 사회주의 계열의 주민자치단체. 1945년 9월 6일 조선건국준비위원회는 전국인민대표자회의를 열고 국내외 좌우익 정치세력을 망라한 조선인민공화국의 설립을 선포하였다. 인민공화국 선포 이후 각 지방에서 지방인민위원회 조직이 진행되었으며, 이 흐름 속에서 인민위원회 해남지부도 결성되었다. 1945년 10월 중순 인민위원회 해남지부가 결성된 것으로...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평화로운 마을이라는 뜻의 일평(日坪)이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일평마을은 본래 당구[혹은 당뫼]라 불렸다. 당구는 해남의 옛 이름으로 고려시대 해남현의 치소가 있었던 곳임을 반영하는 지명이다. 당구는 치소가 옥산현으로 옮겨갈 때 같이 옮겨져 해남의 옛 이름을 대변하게 되었다. 1914년에는 행정구역 개편에...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에 있는 법정리. 인공으로 쌓아서 만든 작은 산이 있다고 하여 조산(造山)이라 하였다. 본래 해남군 은소면 지역이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풍리, 수점리를 병합하여 해남군 현산면 조산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조산마을, 신풍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조산마을은 조산, 수점(水店)의 2개 작은 마을이 1914년 합해져...
-
1945년 8월 17일경 전라남도 해남에서 조직된 정치 단체의 지부. 조선건국준비위원회는 해방 직후 일본으로부터 행정권을 인수받고 국내 질서를 자주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1945년 8월 15일 여운형, 안재홍 등에 의해 결성되었다. 전라남도 해남 지역도 같은 취지로 조선건국준비위원회 해남지부가 결성되었다. 조선건국준비위원회 해남지부가 정확히 언제 결성되었는지는...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있는 법정리. 창리(昌里)는 고려시대 창(倉)이 있었던 곳으로 국세를 받아 보관하였다가 흉년에 백성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해서 창물, 창리(倉里)라 불렀다. 해방 후에 한자가 창리(昌里)로 바뀌었다. 창리는 본래 진도군 삼촌면 지역으로 1906년(광무 10) 해남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중금리, 방축리...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에 있는 법정리. 고려시대부터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하여 ‘고려실’이라 부르다가, 조선시대에 초지가 좋아 초평으로 바뀌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넓은 들이 호수와 같다 하여 초호(草湖)로 바뀌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초평리, 신방리, 산기리, 읍호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현산면 초호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초호마을, 신방마...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있는 법정리. 충리(忠里)는 마을에 충신 이유길(李有吉)이 살았다고 하여 충신터라 부르다가 충리가 되었다. 본래 해남군 녹산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리와 대흥리의 각 일부, 삼촌면의 화내리, 용두리, 도토리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삼산면 충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충리마을, 신리마을, 대흥마을, 화내마을...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평호리(平湖里)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자연마을들이 통합되어 해남군 화산면 평호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사포(沙浦)마을, 평발(平發)마을, 구성(九星)마을, 송평(松平)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사포마을은 1680년경 밀양박씨들이 진도에서 나와 살기 좋은 터라고 하...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있는 법정리. 녹산면의 하단 녹산골[큰골] 마을들과 병합하여 활기차게 살아가는 마을이라는 뜻과 평지에 새로 이룩한 마을이라는 뜻에서 평활(平活)이라 한 데서 지명이 유래하였다. 본래 해남군 녹산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활리, 양촌리, 산림리, 신기리, 중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삼산면 평활리로 개설되었...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법정리. 학가(鶴加)는 마을 뒷산이 학 형국이고 실제로 많은 학이 날아와 앉는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평리와 도가리, 미야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송지면 학가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학가마을, 신평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학가마을은 영암 땅에 살던 전주최씨 최식(崔...
-
1980년 5월 21일부터 24일까지 전라남도 해남군 일원에서 전개되었던 민주화운동.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가 김재규에 의해 사망하는 10·26사건이 발생하면서 유신체제가 막을 내렸다.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하나회 세력들은 1979년 12월 12일 군사쿠데타를 일으켜 군을 장악하였고, 이어 1980년 5월 17일에는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였다. 10·26사건 발생 때부...
-
1950년 7월 경찰의 예비검속에 해남 지역의 보도연맹원이 학살당한 사건. 국민보도연맹(國民保導聯盟)은 1949년 6월 15일 좌익 전향자들을 중심으로 조직된 단체로 좌익 세력 색출 및 통제와 회유를 목적으로 결성되었다. 1949년 12월 13일 전라남도에서도 국민보도연맹준비위원회가 결성되었고, 이후 각 군별 국민보도연맹이 결성되었다. 6·25전쟁이 발발하자 이승만 정부...
-
전라남도 서남부에 위치한 군. 해남군은 동쪽으로는 강진군, 북쪽으로는 영암군과 접하며, 바다를 사이에 두고 북쪽으로는 목포시, 서쪽으로는 신안군, 남서쪽으로는 진도군, 남동쪽으로는 완도군과 접하고 있다. 해남군의 가장 동쪽은 북일면 내동리[동경 126° 44′ 06″, 북위 84° 27′ 12″]이고, 가장 서쪽은 화원면 주광리[동경 126° 15′ 17″,...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해창마을 갯가에 정자나무가 많았으므로 석호정(石湖亭)이라 하다가, 연곡리(蓮谷里)에 있는 해창(海倉)이 옮겨 와 창촌(倉村), 신해창(新海倉)이라 한 데서 해창리(海倉里) 지명이 유래하였다. 해창시(海倉市)가 『조선지지자료』에서 확인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해남군 화산면 해창리가 개설되었다. 현재 해창마을...
-
1945년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 전라남도 해남 지역의 역사. 해남이 지금과 비슷한 경계를 갖게 된 것은 1448년(세종 30)으로 올라가며, 1895년에 해남군으로 승격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인접 지역을 병합하면서 13개 면이 되었다. 13개 면은 해남면(海南面)·삼산면(三山面)·화산면(花山面)·현산면(縣山面)·송지면(松旨面)·북평면(北平面)·옥천면(玉泉...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법정면.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현산면이라 칭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은소면 관할 14개 동리와 현산면 관할 38개 동리를 폐합하여 11개 리로 개편하면서 해남군 현산면으로 개설하였다. 1973년 7월 1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송지면 월송리에 속한 6개의 리(里)가 현산면으로 편입되어 12개 리가 되었다. 지금의 현산면은 백제...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법정면. 화산면(花山面)은 화일(花一)과 화이(花二)가 합쳐진 명칭이다. 고려시대에는 영암군 속현의 한 지역이었다. 조선 초에는 해진군(海珍郡) 영역에서 분리되어 해남현 영역의 일부가 되었다. 조선 말에는 월호 하천을 경계로 북부를 화이면(花二面), 남부를 화일면(花一面)이라 불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화일과 화이, 진도군 삼...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에 있는 법정리. 흙이 누래서 누렁메라 불리어 오다가 황산(黃山)이라 개칭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분토리, 용암리, 원진리, 학동리와 현산면의 봉동리를 병합하여 해남군 현산면 황산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황산마을, 분토마을, 원진마을, 봉동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황산마을은 조선 중엽 경주김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