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에 베틀바위의 유래와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귓골 베틀바위」는 해남군 마산면 장촌리 은적사(隱跡寺) 인근에 있는 ‘베틀바위’에서 선녀가 베를 짰다는 이야기이다. 「귓골 베틀바위」는 2016년 6월 6일 해남군 마산면 남계리에서 채록하였으며, 구술자는 윤대현[남]이다. 2017년 해남군에서 펴낸 『설화로 꽃피는 땅끝해남』에...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에 있는 법정리. 노하마을은 갈대밭이 있던 곳이라 갈앗 또는 노하(蘆河)라 불렀고, 노하(鷺河)로도 썼다.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 노하리(路下里)라는 지명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이전부터 불렀던 명칭이다. 2008년 2월 18일에 노하(路下)에서 노하(鷺河)로 한자 표기를 바꿔 부르고 있다. 본래 해남군 마포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상등리에 있는 식료품 제조업 단지. 농공단지(農工團地)는 ‘농어촌 지역 공업 개발 촉진 지구’의 약칭으로 지역 소득을 높이기 위해 일정 규모의 공업 지역을 조성하고 입주 업체에 대해 금융, 세제, 기술 지원을 해 주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다.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이 개발에 관한 법률 및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농공...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법정면.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마포면(馬浦面)과 산일면(山一面)의 첫 글자를 따서 마산면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마포면(馬浦面)과 산일면(山一面)의 일부를 합쳐서 마산면이 되었다. 이후 마산면은 1972년 7월 1일 복평리가 해남읍에 편입되었으며, 1983년 1월 15일 월암리가 계곡면에 편입되었다. 1992년 10월 13...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화내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목표는 기초 기본 능력을 다져 창의력을 발휘하는 어린이[創],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즐겁게 생활하는 어린이[體], 자신의 적성과 소질을 개발하여 개성을 추구하는 어린이[藝], 예절 바른 생활습관 배양으로 공동체의 발전에 앞장서는 어린이[德], 우리 문화의 이해를 바탕으로 진취적인 기상을 가진 어린이[技]이다. 192...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학의리 육일시에 있었던 조선시대의 원. 만희원은 조선시대 한양과 해남지역의 교통과 통신을 원만히 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동국여지지(東國輿地志)』에 만희원은 “현의 서쪽 12리[4.71㎞]에 있다.”라고 하는 것이 마지막 기록이다. 『여지도서(輿地圖書)』 이후의 지리지에서는 만희원은 기...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맹진리에 있었던 옛 나루. 맹진(孟津)은 으뜸나루로 남리역(南利驛)과 별진역(別珍驛)을 연결하는 역로에 있었다. 맹진교를 건너거나 노두로 건너기도 하였다. 인근에 세곡을 받는 시설이 있었다. 맹진(孟津)은 으뜸나루로 해석하기도 하지만 매진 즉, 침향을 묻은 매향리와 같은 의미이기도 하다. 조선 초에는 매향 의례가 있었다. 마을의 서쪽 만...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맹진리에 있는 다리. 맹진교는 해남군 마산면 맹진리에 세워진 2차선 다리로서 지방도 제819호선의 노선상에 위치하여 있다. 조선 후기 맹진교(孟津橋)는 남리역과 별진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구실을 하였다. 조수 등으로 인하여 맹진교가 붕괴되면 수시로 보수하였고, 징검다리를 놓아 썰물 때 건너기도 하였다. 조선시대 맹진은 으뜸나루로 남리역과...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에 있는 법정리. 맹진리(孟津里)는 처음에 ‘큰 나루가 있는 마을’이었기 때문에 ‘맏나루’라고 불렀는데, 한자로 표기하여 맹진이 되었다. 또한 ‘맏나루’가 ‘마나루’로 되어 마포(馬浦)라고 불렀다고 한다. 본래 해남군 마포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마포면의 맹진리, 대월리·평촌리·송석리·북창리의 각 일부를 병합...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맹진리 맹진마을에서 정월대보름에 마을의 화합과 가정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마산면 맹진리 맹진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정월 보름이 되면 마을의 정자나무에 금줄을 치고 불을 밝혀 가정마다 축원을 빌며 음식을 마련하여 정성껏 맹진리 맹진 당제를 지낸다. 맹진리 맹진 당제는 그 연원에 대해서는 밝혀진...
-
일제강점기 해남 출신의 독립운동가. 민영명(閔泳明)[1909~1960]은 1909년 2월 1일 해남군 마산면 노하리에서 태어났다. 광주공립농업학교 재학 중 광주학생항일운동에 참가하였다. 민영명은 1928년 광주공립농업학교 2학년 재학 중에 교내 독서회에 가입하여 활동하면서 일제의 식민지 교육에 대한 문제의식을 키워 갔다. 이듬해인 1929년 11월 3일 광주고...
-
일제강점기 해남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병선(朴柄善)[1909~1994]은 1909년 2월 1일 해남군 마산면에서 태어났다. 광주공립농업학교 재학 중 광주학생항일운동에 주도적으로 참가하였다. 박석진(朴石珍)이라는 이름으로도 활동하였다. 박병선은 광주공립농업학교에 재학 중이던 1929년 6월 조길룡(曺吉龍)·김남철(金南哲) 등 같은 학교 학생 20여 명과 함께 무...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에 있는 법정리. 산막리(山幕里)는 조선 단종 때 강원도 원주의 이영화(李英華)[1430~1517]가 세조를 피하여 산막을 짓고 은거한 것에서 유래한다. 본래 해남군 마포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산막리와 유목리, 그리고 지동리 일부를 합쳐서 해남군 마산면 산막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산막마을 하나의 자연마을로...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상등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땅끝노회 소속 교회. 1950년 장성교회로 개설되었으며, 1969년 이웃한 상등교회, 복평교회와 함께 세 교회가 하나되어 삼일교회(三一敎會)로 이름을 바꾸었다. 삼일교회는 예배, 교육, 선교, 봉사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50년 3월 해남군 마산면 장성리에서 마을 이름을 빌어 장성교회로 창립하였다...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에 있는 법정리. 상등리(上燈里)는 처음에 통세골로 부르다가 대나무와 매화가 많은 곳이라 하여 대매[竹梅]로 개칭되었으나, 이후 민씨들이 마을 위쪽 상봉 등성이에 터를 잡고 거주하면서 상등으로 불렀다. 본래 해남군 산일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에 따라 신촌리, 상등리, 호교리, 용전리 일부와 마포면 신흥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송석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목포제일노회 소속 교회. 양성운 신자가 마을에 신자들이 생기자 하나님의 사람을 곧고 바르게 세우자는 목적으로 교회를 설립하였다. 1951년 양성운 마산동초등학교 교장이 마산면 원덕리 마을 주민 3명과 함께 마을회관에서 첫 예배를 드린 것이 송석교회(宋石敎會)의 시작이 되었다. 1956년 설립자 양성운...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에 있는 법정리. 송석리(宋石里)는 송석정(松石亭)이라는 정자에서 유래하였다. 본래 해남군 마포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월곡리, 원덕리, 오산리, 송석·평촌 일부와 산일면 신덕리를 병합하여 해남군 마산면 송석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송석마을, 원덕마을, 월곡마을, 월산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송석마...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용전리에 있는 한국기독교장로회 목포노회 소속 교회. 지역사회의 발전과 주민들의 종교적 희망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신복균 전도사는 해남군 문내면 고당교회에서 사역 중 일본의 신사참배 강요와 교회에 대한 핍박으로 더 이상 사역을 못하게 되자 사임하고 마산면 용전리에 들어와 1940년 3월 신기교회(新基敎會)를 시작하였다. 1950년 6·2...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에 해남 여흥민씨 부조묘와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여흥민씨 부조묘」는 해남군 마산면에 있는 해남 여흥민씨 부조묘에 민신(閔伸)[?~1453], 민보창(閔甫昌)[?~1453] 등 여흥민씨(驪興閔氏) 4부자가 배향되어 있다는 이야기이다. 「여흥민씨 부조묘」는 2016년 8월 15일 해남군 마산면 남계리 432-2에서 채록하였...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에 있는 법정리. 연구리(燕邱里)는 마을 뒷산 형국이 제비가 집을 짓고 알을 품고 있는 형국이어서 ‘연구(燕邱)’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하였다. 본래 해남군 마포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연구리, 당두리, 덕인리, 추당리, 지동리의 각 일부 지역을 합하여 해남군 마산면 연구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연구마을, 지동마을...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상등리에 있는 식품제조 영농조합법인. 다양한 해남의 친환경 농특산물 등으로 천연재료들을 활용하여 김치류와 음료, 쌀 등 건강식품을 제조·생산하고 있는 영농조합법인이다. 생태계를 보존하는 친환경적 생산으로 환경을 보호하고 사회에 공헌하며, 농촌지역의 생산과 소득을 강화하고자 한다. 또한 친환경제품의 생산으로 소비자들이 안전하게 먹을 수 있는 식품제공...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화내리에 있는 1732년 건립된 원주이씨 사우. 영산사(英山祠)는 1732년(영조 8)에 건립된 임진왜란 공신 이계정(李繼鄭)[1542~1595]을 비롯하여 원주이씨 충신 9위를 배향한 사우이다. 이계정의 자는 경윤(景胤), 본관은 원주(原州)이다. 무과에 급제하였고 임진왜란 때 곤양군수로 왜적을 격퇴하였고, 무주 조방장에 제수되어 적의...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화내리에 있는 영산사 소장 고문서. 영산사(英山祠)는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공신에 오른 이계정(李繼鄭)을 위시한 이숙형(李淑亨), 이황(李璜), 이대행(李大行), 이호(李琥), 이순(李珣), 이원해(李元海), 이준(李浚), 이성춘(李成春) 등 원주이씨(原州李氏) 문중 9명의 충신을 모시고 제사지내는 사우(祠宇)이다. 1732년(영조 8...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에 있는 법정리. 외호리(外湖里)는 산막리 바깥 쪽에 있기에 ‘밖산막’, ‘밖몰’, 또는 앞에 개가 있기에 ‘밖개’라고 하였는데, 이를 의미대로 한자화하여 외호(外湖)가 되었다. 본래 해남군 마포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마포면의 당거리, 외호리, 북창·봉서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마산면 외호리로 개설되...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에 있는 법정리. 용전리(龍田里)는 지형이 용처럼 생기고, 마을에 밭이 많아 ‘용전’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본래 해남군 산일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산일면의 고암리, 용반리, 신기리, 용소리, ·용전리, 마포면의 신흥리 각 일부를 합쳐서 해남군 마산면 용전리로 개설되었다. 용전마을, 신기마을, 용반...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장촌리 금강산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 대흥사의 말사. 은적사가 있는 이곳은 본래 다보사(多寶寺)라는 절이 있었고, 부속 암자로 은적암(隱寂庵)이 있었다. 19세기 중반 무렵에 다보사가 폐허가 된 뒤, 은적사로 이름이 바뀌었다고 한다. 다보사는 신라 때인 560년(진흥왕 21)에 창건되었다고 전해지지만 문헌 기록이 없어 뒷받...
-
조선 후기 해남 출신의 효자. 이문길(李文吉)[1551~?]의 본관은 원주(原州)이며, 강릉부사를 지낸 이영화[1430~1517]의 손자이다. 아들은 이광일(李光一)이며, 손자 이신신(李愼信) 또한 효행으로 유명하다. 이문길은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여 『소학(小學)』의 가르침대로 부모를 섬겼다. 아버지가 병에 걸려 멧돼지고기를 먹고 싶어 하여 멧돼지고기를 구...
-
조선 전기 해남 지역에 정착한 문신이자 원주이씨 해남 입향조. 이영화(李英華)[1430~1517]는 원주이씨(原州李氏) 해남 입향조이자 강릉공파(江陵公派) 파조이다. 강릉도호부사(江陵都護府使)를 역임하다 해남 지역으로 내려와 정착하였다. 이영화의 본관은 원주(原州)이며 경원군(慶原君) 이을계(李乙桂)의 후손이다. 부인 청주김씨(淸州金氏)와의 사이에 아들 이맹건...
-
조선 후기 해남 출신의 풍수가. 이의신(李懿信)[?~?]은 17세기 전반에 활동했던 당대 최고의 풍수가였다. 해남군 마산면 맹진리 태생으로 관련 설화가 많이 전한다. 선조 때부터 왕가의 묏자리를 잡는 데 큰 역할을 했고, 선조는 이의신에게 벼슬을 내려 자신의 옆에 붙잡아 두었다. 광해군 때는 교하 천도설로 조정을 발칵 뒤집기도 하였다. 이의신의 본관은 원주(原...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에 있는 법정리. 장촌리는 장자(長者), 즉 부자가 살았다고 하여 장자(長者), 장재(長材), 장촌(長村)으로 부르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장촌(長村)으로 부르게 되었다. 본래 해남군 마포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남계리와 장재리를 병합하여 해남군 마산면 장촌리로 개설되었다. 이 중 남계리는 1789년...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장촌리에 있는 삼국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산성. 죽산산성은 고려시대 죽산현의 현성(縣城)이며, 『세종실록(世宗實錄)』「지리지(地理志)」에는 본래 백제 고서이현으로, 고려시대에 죽산현으로 고쳐 영암군에 임내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에는 조선시대에 들어와 해남현(海南縣)에 내속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집을 새로 짓거나 이사했을 때 액막이를 위해 허수아비를 만들어 놀리고 불태우는 의례. 일반적으로 집을 새로 짓거나 이사할 경우 풍물패가 액막이를 하고 축원을 하는데, 해남 지역에서는 허새비[허수아비]를 만들어서 놀리다가 태우는 것으로 액막이를 하였다. 이를 터울리기라고 한다. 민간에서 정월에 허수아비를 만들어 액막이를 하는 사례는 일반적이다. 집안...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에 있는 법정리. 학의리(鶴儀里)는 마을 뒷산인 제봉산이 학이 두 다리를 뻗고 날아가는 형국이라 학의(鶴儀)라 하였다. 본래 해남군 산일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마포면의 학의리, 망미리, 오호리, 금자리, 산일면의 용소리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마산면 학의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학의(鶴儀)마을, 용소(龍沼)마...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화내리에 있는 일제강점기에 일제의 제국주의 침략을 합리화하기 위해 세운 비. 팔굉일우(八紘一宇)는 태평양전쟁 시기에 접어든 일제가 세계 정복을 위한 제국주의 침략 전쟁을 합리화하기 위해 내세운 구호로, “전 세계가 하나의 집”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팔굉일우는 고노에 후미마로[近衛文麿] 총리가 1940년 시정 방침 연설에서 “황국[일본 제국]의 국...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장촌리에 있는 조선시대 건립된 여흥민씨 부조묘. 해남 여흥민씨 부조묘(海南驪興閔氏不祧廟)는 해남군 마산면 장촌리에 있다. 민신(閔伸), 민보창(閔甫昌), 민보해(閔甫諧), 민보석(閔甫釋) 등 여흥민씨 4부자가 배향되어 있으며, 고려 중엽 이후 사당을 지으면서부터 조성되었다. 해남군의 부조묘 중 국가에서 명을 받은 부조묘는 해남 여흥민씨...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금강산 은적사에 있는 고려 초기에 조성된 철로 만든 비로자나불. 은적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隱蹟寺鐵造毘盧舍那佛坐像)은 해남군 해남읍 금강산 은적사에 있다. 고려 초기에 조성된 철로 만든 비로자나불이다. 1981년 10월 20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86호로 지정되었다. 은적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의 총 높이는 1.06m이다....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맹진리에 있는 조선 초기 죽산현의 향도와 주민들이 매향 의식을 행하고 새긴 암각 비문. 해남 맹진리 암각 매향비는 해남 맹진리 만대산 장군바위에 있는 조선시대 초기 1406년에 세운 매향 암각비이다. 매향비 또는 매향 암각은 매향을 하면서 매향 연유와 시기, 장소, 관련된 사람이나 집단을 기록하는 기록물을 말하는데 돌 비석이나 바위에 새...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2007년에 직접 개설해 운영하여 온 인터넷쇼핑몰. 전라남도 해남군에서는 우수 농수산을 엄선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고자 2007년 7월에 인터넷쇼핑몰을 개설하고, ‘해남의 쌀이 미소를 짓는다.’라는 의미에서 해남미소(海南米笑)라 이름 붙였다. 해남미소는 해남 지역에서 생산되는 우수 농수특산물의 판로를 개척하고 고객 확보를 통해 농어...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에 있는 법정리. 화내리(禾內里)는 ‘곶 안쪽에 있는 마을’이었기 때문에 ‘곶안’이라고 불렀는데, 뒤에 ‘고안’으로 음이 변하였다고 하며, 마을이 ‘곶 안쪽’에 있으므로 ‘물안’이라고도 하였다. 화내는 한자식 표기이다. 본래 해남군 마포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마포면의 낙동리, 화내리, 양지리, 안정리와, 봉...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남계리에 회화나무의 수령(樹齡)과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해남군 마산면 남계리에 있는 회화나무의 수령은 400여 년이 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회화나무와 임백령」은 임백령(林百齡)[1498~1546]의 호에 회화나무 수령의 추정 근거가 있다는 이야기이다. 「회화나무와 임백령」은 2016년 6월 6일 해남군 마산면 남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