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출신의 근대 유학자 정재성의 문집. 정재성(鄭載星)[1863.9.19~1941.4.1]의 자는 취오(聚五), 호는 구재(苟齋)·동리(東里), 본관은 진양(晋陽)이다.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중촌리 다전(茶田) 마을에서 태어났다. 정환규(鄭煥奎)·정환성(鄭煥星)으로도 불렸다. 증조할아버지는 정극기(鄭極箕)이고, 할아버지는 정도은(鄭道殷)이...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의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출신 유학자 이교엽의 문집. 이교엽(李敎曄)[1863.11.21~1943.1.17]의 자는 정중(正中), 호는 국포(菊圃), 본관은 성산(星山)이다. 할아버지는 이수복(李守馥)이며, 아버지는 이병흠(李炳欽)이다. 모친 팔계 정씨(八溪鄭氏)는 정팔직(鄭八稷)의 딸이다.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산리(龍山里)에서 태어났다. 어려...
-
1925년에 간행된 거창군 가북면 중촌리 다전에서 은거한 근대 문인 곽종석의 문집. 『면우집(俛宇集)』은 조카 곽윤(郭奫)의 주도하에 하겸진(河謙鎭)·김황(金榥) 등의 문인들이 참여하여 1925년 서울의 한성 도서 주식 회사(漢城圖書株式會社)를 통해 간행되었다. 『면우집』의 저자 곽종석(郭鍾錫)[1846~1919]의 자는 명원(鳴遠), 호는 면우(俛宇), 본관...
-
1901년에 간행된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산 출신인 조선 후기 문신 김천일의 시문집. 『송천집(松川集)』은 1900년 주손(冑孫) 김용래(金溶來)를 비롯한 김종탁(金宗濯)·김병한(金炳漢) 등 문중의 어른들이 문집 간행을 위해 나서 곽종석(郭鍾錫)과 여러 유현(儒賢)들의 편차를 거쳐 1901년 4권 2책으로 간행되었다. 『송천집』의 저자 김천일(金千鎰)[1622~169...
-
1639년 9월 9일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산리 용산 마을에서 결성한 동계 정온을 비롯한 거창 지역 19명 유현들의 모임을 기록한 책. 1636년 9월 9일 동계(桐溪) 정온(鄭蘊)·오계(梧溪) 조정립(曺挺立)·임곡(林谷) 임진부(林眞怤) 등을 비롯한 유현들이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산리 용산(龍山) 마을 낙모대(落帽臺)에서 범국회(泛菊會)를 가지며 매년 계회를 열기로 하였다...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산리 출신의 조선 후기 문인이자 학자 정필달의 시문집. 정필달(鄭必達)[1611~1693]의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사겸(士兼), 호는 팔송(八松)이며. 아버지는 정준(鄭浚)이다. 어려서는 전여이(全汝怡)에게 배웠고, 이후 문경진·박능허·조정립·정온(鄭蘊)·조경(趙絅) 등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33년(인조 11) 생원이 되었고...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출신 전병식의 문집. 전병식(全秉湜)[1883~1966.1.21.]의 자는 도일(道一), 호는 회산(晦汕), 본관은 죽산(竹山)이다. 아버지는 전동철(全東喆)이고, 어머니는 광주 노씨(光州盧氏) 노롱(盧瀧)의 딸이다.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월전에서 태어났다. 젊은 시절에 가북면 면장을 지냈으나 곧 사임하고 두문불출하며 벗들과 학문을 토...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우혜리에 있는 대한 예수교 장로회 통합 소속의 교회. 가북에 거주하던 박창기라는 청년이 자발적으로 가북교회에 출석하기 시작한 것은 1934년 10월 14일이었다. 이를 계기로 가북교회 전도인들의 가북 방문으로 2~3명의 부인 신자가 생겨났고, 순회하던 이자익 목사와 최성환 전도사가 교회 설립을 결정하였다. 그해 10월 호주 선교회의 파송...
-
경상남도 거창군에 속하는 법정면. 경상남도 거창군에 속하는 1개 읍 11개 면 중 동북부에 위치한 면이다. 가북면(加北面)은 7개 법정리와 18개 행정리, 37개 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면 내에 37개의 자연 마을이 있다. 1914년 일제에 의한 행정 구역 개편 시 거창군 가동면 북쪽의 용산, 우혜, 중촌, 해평, 용암, 몽석, 박암 등 7개 리가 분리되어...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에 있는 가북면의 행정을 관할하는 기관. 경상남도 거창군을 구성하고 있는 1개읍[거창읍], 11개면[주상면, 웅양면, 고제면, 북상면, 위천면, 마리면, 남상면, 남하면, 신원면, 가조면, 가북면] 중에서 가북면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이다. 가북면사무소는 행정의 능률과 주민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가족 관계 등록·주민 등록...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박암리에 있는 농업용 1종 저수지. 저수지 상·하류부에 수변 복합 문화 공간 및 소수력 발전소가 있다. 저수지는 흐르는 물을 저장하여 물의 과다 혹은 과소를 조절하는 인공 시설로서 하천에서 용수 공급이 어려울 때 물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수자원이다. 가북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1종 저수지이다. 1972년에 착...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우혜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참되고 창의적이며, 건강한 어린이를 육성하기 위해 똑똑하고 실력 있는 어린이, 예술적 감수성과 재능을 키우는 어린이, 건강하고 튼튼한 어린이, 환경과 생명을 사랑하고 보호하는 어린이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27년 10월 13일에 가북 공립 보통 학교로 개교하였다. 1945년 9월 24일에 가북 국민학교로 개칭하...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과 경상남도 합천군·경상북도 성주군에 걸쳐 있는 산. 가야산은 주봉인 상봉과 두리봉, 남산, 단지봉 등 1,000m 내외의 연봉이 능선을 이루고 있다. 주봉인 상봉의 높이는 1,432m이다. 거창군 지역에는 가야산의 연봉에 해당하는 두리봉과 단지봉이 가북면의 북단에 있다. 가야산의 이름은 현재의 합천과 고령 지방이 과거 존재했던...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암리에서 발원하여 가조면을 지나 황강으로 합류하는 하천. 가천천은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암리 단지봉[1,327m]의 동쪽 유역 분지에서 발원하여 여러 지류 하천을 합류하여 가조 분지의 북쪽 산지를 곡류한 후 분지 내부를 가로질러 남하면 대야리 일대에서 황강으로 합류하는 황강의 지류 하천이다. 가천천은 총 6개의 지류 하천이 있다....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암리 홍감 마을 뒤 두무산에 있는 절터.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암리 홍감 마을에서 북서쪽으로 약 2.5㎞ 떨어진 단지봉[1,327m]의 동쪽 두무산 골짜기 야산에 있었던 두무사(頭霧寺)의 절터이다. 1982년에 나온 『거창향지(居昌鄕誌)』에 따르면 두무사는 수도산으로 옮겨 가고 절터만 있고, 파손된 미륵불과 기와 조각 등의 흔적이...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산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금귀봉에서 동쪽으로 뻗어 내린 구릉 끝으로 가천천의 서쪽에 솟은 해발 450m 야산 정상에 쌓은 테뫼식 석성이다. 주변을 관망하기에 좋은 곳이며 성벽은 북서쪽 봉우리를 중심으로 북서 방면으로 낮아지면서 약 7부 능선까지 축조되어 있다. 거창 용산리 성지의 산성은 1592년 임진왜란 당시 경상남도...
-
1919년 거창군의 곽종석이 유림 대표로 파리 평화 회의에 독립 청원서를 제출한 사건. 1894년 봉건적 사회질서와 외세의 침략에 맞서 봉기한 가조면의 농민들은 거창읍을 향해 진군하다 관군과 일본군에 진압당하였다. 유생들은 신분 질서를 뒤흔드는 농민군들을 스스로 민보군을 조직하여 처단하였다. 개항 초기 ‘근대’의 변화에 모든 것이 혼란스럽던 시절, 민중과 유생이 꿈꾸던 나라는 달랐...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파리 장서 운동 등 유림의 독립운동을 이끈 거창 거주 유학자.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영남 유림을 대표하는 학자로 지칭되는 곽종석은 거창에서 태어났으며 장년기에 거창 지역에 이주하여 연구와 강학은 물론, 현실 문제에도 적극 개입하는 등 학문과 실천에 있어 큰 업적을 남겼다. 특히 곽종석이 주도하여 다수의 거창 유생이 가담하였던 1919년 파리 장서 운동은 근대기...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산리 우천천에 있는 바위. 낙모대는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산리 용산 마을 동쪽의 우천천 하도 내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용산 마을 북동쪽 용천 정사(龍泉精舍)에서 동쪽으로 50m 떨어진 작은 교량 인근에 있다. 낙모대는 용산 팔경(龍山八景) 중의 하나로 조선 후기 문신 동계(桐溪) 정온(鄭蘊)[1569~1641]...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암리에 있는 산. 경상남도 거창군과 경상남도 합천군, 경상북도 고령군의 경계를 이루는 산이다. 거창군의 전체 영역에서 보아 동북쪽 끝에 위치한다. 높이는 1,133m이다. ‘두리봉’이라는 지명은 봉우리가 둥글게 생겨 붙여진 것이라 한다. 거창군의 동북단 끝에 위치한 두리봉은 동쪽으로 부박령을 거쳐 가야산으로 이어지고 남쪽으로...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의 9개 법정리 중 한 지역이다. 몽석리(夢石里)에는 몽석리, 내촌리 등 2개 행정리가 있으며, 행정리 몽석리에 속하는 몽석 마을, 행정리 내촌리에 속하는 덕동 마을, 내촌 마을, 강계 마을, 명동 마을 등 5개 자연 마을이 있다. 조선 시대 임진왜란 당시 김녕 김씨 김이련(金以璉)이 반석 위에서...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의 9개 법정리 중 한 지역이다. 박암리(朴岩里)에는 공수리, 박암리, 옥산리 등 3개 행정리와 행정리 공수리에 속하는 공수 마을, 행정리 박암리에 속하는 박암 마을[속칭 ‘박바우’라고도 함], 신기 마을[속칭 ‘샛터’라고도 함], 호암 마을[속칭 ‘범바우’라고도 함], 행정리 옥산리[속칭 ‘늘미기...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산리와 주상면 거기리 사이에 있는 산.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산리와 주상면 거기리 사이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912m이다. 보해산 지명은 과거 이 산에 있었던 절 보해사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또한 아주 오래전 임금님이 이 산을 돌아다니며 살피다가 보물 금척(金尺)을 잃어버렸다는 설화에서 보해산이라는 이름...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암리와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신계리를 잇는 고개. 불기령(佛起嶺)은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암리와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신계리를 잇는 고개로 가북면 가북 저수지에서 북동 방향으로 발달한 구조곡이 산릉과 직교하는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높이 997m에 위치하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적현(赤峴)은...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중촌리에 있는 바위. 임진왜란 당시 거창의 피난민들과 그들을 도와주는 이현계의 전설이 내려오고 있는 바위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가조·가북에 살던 하빈 이씨(河濱李氏), 선산 김씨(善山金氏), 상산 김씨(商山金氏), 흥해 최씨(興海崔氏), 죽산 전씨(竹山全氏), 밀양 변씨(密陽卞氏), 함종 어씨(咸從魚氏), 남평 문씨(...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중촌리와 웅양면 산포리에 걸쳐 있는 산. 거창군 가북면 중촌리와 거창군 웅양면 산포리 사이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1,150m이다. 조선 시대에는 금광산(金光山)이라고 하였다. 『여지도서(輿地圖書)』[거창]에 "용계사는 금광산(金光山)에 있다."라는 기록이 있다. 이후 『대동지지(大東地志)』[거창]에는 "북쪽 50리에 있는 산이다."라고,...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산리에 있는 대한 예수교 장로회 고신 소속의 교회. 대한 예수교 장로회 용산 교회는 1948년 11월 용산리 기도소로 설립되어 1953년 5월 1일에 용산 교회로 승격되었다. 1968년 4월 예배당을 신축하였으며, 2015년 11월 현재의 예배당을 건축하였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파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용산 교회는...
-
1636년 경상남도 거창군용천 정사에서 정온이 조직한 유생 단체. 정온을 중심으로 한 유생들이 성리학을 연구하고 향약을 제정, 실천하고자 조직하였다. 용산 범국회는 1636년 정온(鄭蘊)[1569~1641]이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산에서 조직한 유생들의 모임이다. 정온은 지금의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출신의 중앙 관리로 광해군 때 폐모 사건을...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산리(龍山里)는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남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용산 마을, 율리 마을의 2개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용산리는 용산 마을의 지명에서 유래된 것으로 본다. 용산 마을은 가야산에서 마을 뒤까지 남서쪽으로 뻗은 산줄기가 용과 같은 형상이라 ‘용산’이라는 지명이 생겼다고 한다. 또한 옛날 중국...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산리 가천천과 우천천의 합류부의 범람원에 있는 숲. 용산숲은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산리 용산 마을 어귀에 조성된 천연 소나무 숲이다. 숲의 규모는 폭 110m, 길이 160m 정도이다. 용산숲이 용산 마을 어귀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를 따랐다. 용산 마을의 지명 유래는 가야산에서 마을 뒤까지 남서로 뻗은 산세가 용과 같아서...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의 9개 법정리 중 한 지역이다. 용암리(龍岩里)에는 송정리, 용암리, 개금리 등 3개의 행정리와 행정리 송정리에 속하는 송정 마을, 홍감 마을, 행정리 용암리 속하는 용암 마을, 행정리 개금리에 속하는 장전 마을, 상개금 마을, 하개금 마을 등 6개의 자연 마을이 있다. 조선 시대 마을 뒷산에 용...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에 세운 서원. 용원 서원은 임진왜란 때 향토 의병장인 남평인 모계(茅谿) 문위(文緯)[1554~1631]를 제향하는 서원이다. 문위는 1554년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산리에서 출생하였다. 나이 39세 때인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거창에서 의병 활동에 나섰으며, 선무 원종공신 3등의 서훈을 받았다. 유성...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우혜리에 있는 산.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우혜리, 거창군 가조면 수월리,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죽전리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산이다. 높이는 1,046m이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거창]에 "견암사(見庵寺)[현 고견사]는 가조현(加祚縣) 우두산(牛頭山)에 있다."라는 기록이 등장한다. 이후 『여지도서(輿地圖書)』...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의 9개 법정리 중 한 지역이다. 우혜리(牛惠里)는 우혜리, 감월리, 어인리 등 3개 행정리와 행정리 우혜리에 속하는 우혜 마을[속칭 ‘우이’라고도 함], 행정리 감월리에 속하는 백학 마을[속칭 ‘깨밭골’이라고도 함], 상감월 마을[속칭 ‘상가무리’라고도 함], 중감월 마을[속칭 ‘중가무리’라고도...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의 9개 법정리 중 하나이다. 중촌리(中村里)에는 심방리, 중촌리 등 2개의 행정리와 행정리 심방리에 속하는 수재 마을, 심방 마을, 산수 마을, 행정리 중촌리에 속하는 고비 마을, 동촌 마을, 중촌 마을 등 6개 자연 마을이 있다. 과거 수도사의 부처를 다듬은 돌이 나온 골짜기라는 뜻의 불석동(佛...
-
정자우(鄭子友)를 시조로 하고 정방(鄭房)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남도 거창군의 세거 성씨. 거창군 가북면 용산의 진양 정씨(晉陽鄭氏)는 은열공(殷烈公) 정신열(鄭臣烈)을 파시조로 하는 은열공파(殷烈公派)로 현조(顯祖)[이름이 높이 드러난 조상] 진양군 정천익(鄭天益)은 문과에 장원했으며 문익점(文益漸)의 장인이다. 거창 입향조는 11세 정방(鄭房)이다...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의 9개 법정리 중 한 지역이다. 해평리(海坪里)에는 회남리, 추동리, 해평리 등 3개 행정리가 있으며, 행정리 회남리에 속하는 회남 마을, 행정리 추동리에 속하는 추동 마을, 연곡 마을, 행정리 해평리에 속하는 양암 마을, 월전 마을 등 5개 자연 마을이 있다. 해평리의 회남 마을은 회...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산리에 있는 조선 시대 산성. 황사산성(黃沙山城)은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산 마을 일명 ‘박구디’에 거주하던 남평 문씨(南平 文氏) 집안이 1592년 임진왜란 때 왜군이 이곳으로 진격하여 오자, 마을 위 야산[해발 350m]에 왜적들에 대항하기 위해 직접 성을 쌓았다고 한다. 산성의 성벽은 거의 무너졌고, 약 30m 정도의 성벽 흔...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해평리에 있는 조선 후기에 세운 송천 김천일의 사당. 거창 효경사는 거창 유림 송천(松川) 김천일(金千鎰)[1622~1696]을 기리는 사당이다. 재실인 경모재의 경내에 있다. 송천 김천일은 1652년(효종 3) 30세에 진사시에 합격했고, 이듬해에 대과에 급제하여 벼슬은 중앙에서는 성문원 판교[정3품], 춘추관 편수관, 지방에서는 함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