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552
한자 答孫幾道
영어공식명칭 Reply To Son Kido
이칭/별칭 「손기도에게 답하다」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곽명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543년 - 「답손기도」 저자 정구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620년 - 「답손기도」 저자 정구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680년 - 『한강집』에 「답손기도」 수록하여 간행
배경 지역 사수동 - 대구광역시 북구 사수동 지도보기
배경 지역 연경서원 - 대구광역시 북구 연경동 지도보기
배경 지역 도동서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구지서로 726[도동리 35]지도보기
성격 서간류|서
작가 정구

[정의]

조선 후기 대구 일대에서 강학 활동을 하였던 문신이자 학자인 정구손처눌과 나눈 문답과 편지.

[개설]

「답손기도(答孫幾道)」의 저자 정구(鄭逑)[1543~1620]의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자는 도가(道可), 호는 한강(寒岡)이다. 아버지는 정사중(鄭思中)이며, 어머니는 성주이씨(星州李氏)로 이환(李煥)의 딸이다. 이황(李滉)[1501~1570]과 조식(曺植)[1501~1572]의 문인이다. 모든 방면의 학문에 정통하였고, 특히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어 많은 예서(禮書)를 편찬하였다. 정구는 말년에 칠곡 사수(泗水)[현 대구광역시 북구 사수동과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일대]로 이거(移居)하여 후진양성에 힘썼으며, 대구를 포함한 인근 지역의 유학 형성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대구의 연경서원(硏經書院)·도동서원(道東書院) 등 많은 서원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한강집(寒岡集)』이 있다.

손처눌(孫處訥)[1553~1634]의 본관은 일직(一直)이며, 자는 기도(幾道), 호는 모당(慕堂)이다. 아버지는 손수(孫遂)이고, 어머니는 한산이씨(韓山李氏) 이탄(李坦)의 딸이다. 정구의 문인이다. 장현광(張顯光)[1554~1637], 서사원(徐思遠)[1550~1615], 곽재겸(郭再謙)[1547~1615], 류요신(柳堯臣)[1550~1618] 등과 교유하였다. 학문과 효행으로 이름이 높았다. 대구의 청호서원(靑湖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모당집(慕堂集)』이 있다.

2001년 발행한 『국역 한강집』에서는 「답손기도」의 제목을 쉬운 우리말로 풀이하여 「손기도에게 답하다」로 표기하였다.

[구성]

「답손기도」『한강집』에 세 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중 한 편은 문답 형식이다.

[내용]

「답손기도」 세 편 중 문답 형식의 작품은 선대 묘소에 가토(加土)하면서 쓰는 제문(祭文) 작성 양식과 제사 음식 진설(陳設)에 대한 손처눌의 질문에 정구가 답한 것이다.

나머지 두 편의 편지 형식 작품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손처눌이 보내온 편지에 남을 평하는 말에 대하여 항상 신중하여야 함을 충고하고 학문의 진일보와 실천이 있기를 바라고 있다.

2. 근래에 손처눌의 서원을 방문하여 함께 종유(從游)하던 일을 추억하고 정구 자신의 몸 상태가 더욱 악화되어 서책도 볼 여력이 없다는 것을 알린다. 또 보내온 편지에 담긴 자신에 대한 칭송의 글들을 겸손하게 사양하고 있다.

[특징]

「답손기도」는 문장에 정구의 완곡한 권유와 겸손의 자세가 내포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답손기도」는 예학에 정통한 정구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특히 문답 형식의 작품에서는 제례(祭禮)에 대한 손처눌의 질문에 정확한 답변을 내려 주기도 하고, 사정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는 제례의 방법을 제시하여 주기도 하였다. 대구 지역 예학 형성에 큰 공헌을 한 정구의 학문적 깊이를 가늠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