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901918
한자 淨土寺址
영어의미역 Jeongto Temple Sit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장준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지|절터
원건물 건립시기/일시 고려시대
소재지 주소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에 있는 고려시대 절터.

[개설]

정토사지에는 보물 제17호인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忠州 淨土寺址 法鏡大師塔碑)가 위치하고 있었다.

[변천]

정토사와 관련된 문헌 기록은 많지 않다. 그러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충청도읍지(忠淸道邑誌)』에 약간의 기록이 남아 있어 사찰의 연혁을 살피는 데 도움을 준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개천사(開天寺)는 정토산에 있다. 고려 역대 왕조의 실록을 처음에는 합천 해인사에 간직했다가 왜구로 인하여 선산(善山) 득익사(得益寺)에 옮기고, 또 이 절에 옮기고, 또 죽주(竹州) 칠장사(七長寺)에 옮겼다가, 1390년(공양왕 2)에 그 땅이 바다에 가까워서 왜구가 쉽게 이를 수 있기 때문에 다시 이 절에 간직하기에 이르렀다. 우리 세종 때에 『고려사(高麗史)』를 편찬하기 위하여 모두 서울로 운반하였다.”

이를 통하여 정토사는 『신증동국여지승람』이 편찬되었던 1530년대에 개천사로 불렸고, 사찰은 고려 역대 왕조의 실록을 보관할 정도로 중요한 곳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충청도읍지』에는 “개천사재정토산하금폐(開天寺在淨土山下今廢)”라는 내용이 남아 있어 영조, 정조 연간에는 이미 사찰이 폐사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정토사지에 있던 유물 가운데 홍법국사 실상탑과 비는 1915년경 경복궁으로 옮겨졌다.

[발굴조사경위 및 결과]

발굴 조사는 1983년부터 1984년까지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고려 전기와 조선 전기의 건물지가 확인되었고, 정토사(淨土寺), 개천사(開天寺) 등의 명문 기와가 발견되어 사찰의 이름을 알 수 있게 되었다.

[현황]

사지는 충주정토댐 공사로 인하여 수몰되어 그 흔적을 찾을 수 없으나 일부 초석과 신방석재들을 주변 지역으로 옮겨 정비하였고, 그 위치에 보물 제17호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를 옮겨놓았다. 한편 일제 강점기 때 서울 경복궁으로 옮겨졌던 정토사 홍법국사 실상탑과 정토사 홍법국사 실상탑비는 현재 서울 용산에 위치한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 전시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정토사지는 고려 역대 왕조의 실록을 봉안하였던 곳으로 역사적 의미가 있는 사찰의 터이다. 또한 정토사지 내에 있었던 탑과 탑비는 불교 미술사에서 양식상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