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대곡리에 있는 유물 산포지. 대곡리 유물 산포지는 두 곳으로 이서면 대곡 1리의 상대곡 마을과 대곡 2리의 가곡 마을에 있다. 상대곡 마을은 서쪽 흰들골이 있는 산록의 북사면으로 묘역을 포함한 밭과 과수원 일대이며, 가곡 마을은 북쪽에 있는 가곡지 아래에 있는 밭과 구릉의 말단부 일대이다. 대곡리 유물 산포지 ①은 청도에서 대구 방면으로 이서로를 따라 대곡리...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동산리에 있는 유물 산포지. 매전면 동산리에 매전면사무소가 있다. 매전면사무소의 북쪽에 수청산이 있으며, 수청산의 동쪽은 동창천이, 서쪽은 관하천이 흐르고 있다. 동창천변과 관하천변의 완만한 구릉지에 동산리 유물 산포지 두 곳이 있다. 동창천과 관하천은 수청산의 남쪽에서 합류하며, 곡간 평야가 형성되어 경작지로 이용되고 있다. 동산리 유물 산포지 ①은 동산...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동천리에 있는 삼국 시대 유물 산포지. 청도군 화양읍 동천리 소재 유물 산포지로 동천리 유물 산포지 1과 동천리 유물 산포지 2로 구분되어 있다. 2개소의 유물 산포지는 대부분 밭이나 과수원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삼국 시대 토기 조각이 확인된다. 동천리 유물 산포지 1은 행정 구역상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동천리 361-1 일대에 해당된다. 동천리 유물 산포...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두곡리에 있는 유물 산포지. 두곡리 유물 산포지는 매전면 두곡리 두실 마을에 있다. 매전면사무소에서 국도 20호선을 따라 동산리, 하평리, 폐교된 관하 초등학교를 지나 덕산교에서 우회전하여 두곡리로 들어선다. 두곡리 두실 마을에서 절골 마을로 이어지는 소로를 따라 새들과 장군방들이 곡간 평야를 형성하고 있는 곳에 유물 산포지가 있다. 삼국 시대부터 통일 신라...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무등리에 있는 삼국 시대 유물 산포지. 무등리 유물 산포지는 무등리 마을의 북편에 있으며, 대부분이 과수원으로 개간되고 있다. 유물 산포지의 위치는 무등리 동쪽에 있는 산등성이의 말단부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비교적 경사가 완만한 지역이다. 유물 산포지 서쪽으로는 경작지가 넓게 분포되어 있다. 경작지 일대에서 많은 수의 굽다리 접시, 항아리 조각이 산포되어 있다...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수월리에 있는 삼국 시대 이후의 유물 산포지. 수월리 유물 산포지 1은 상수월 마을에 있는 보림사 뒤쪽에 있는 밭과 주변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밭과 주변에서 토기 조각, 기와 조각, 자기 조각 등이 확인된다. 수월리 유물 산포지 2는 하수월 마을 북쪽에 있는 해발 346m 구릉의 말단부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삼국 시대 토기 조각이 채집되며, 유물 산포지의 동...
-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신촌리에 있는 유물 산포지. 신촌리 유물 산포지는 세 곳으로 이서면 신촌리 자양지(紫陽池)와 신안 마을, 화룡 마을 구릉 사면 말단부에 있다. 신촌리 유물 산포지 ①은 이서면 신촌 1리 자양지 북쪽에 있는 구릉 사면이다. 청도에서 대구 방면으로 이서로를 따라 신촌리에 들어서 명덕지와 마을을 지나 골짜기로 이어지는 길을 따라 들어가면 자양지가 나타난다. 유물...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안산리에 있는 고려 시대 이후 유물 산포지.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안산리 1291번지 일대에 있는 유물 산포지로 안태 마을 남쪽에 해당된다. 현재 계단식 경작지로 조성되어 밭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유물 산포지 중앙에 민가 3채가 있다. 유물은 민가 주변의 경작지에서 주로 채집되는데, 기와 조각, 토기 조각, 자기 조각 등, 소량이지만 다양한 종류의 유물이...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온막리에 있는 유물 산포지. 온막리 유물 산포지는 매전면 온막리 명대 마을에 있다. 매전 삼거리에서 국도 58호선을 따라 북지리를 지나 나타나는 옛 매전 초등학교의 동쪽에 있는 해발 249.5m의 구릉 서사면 완만한 경작지에 유물 산포지가 있다. 구릉의 남쪽과 서쪽은 온막들 등이 펼쳐져 있으며, 온막들의 남쪽에 동창천이 흐르고 있다. 온막리 유물 산포지가 있...
-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우산리에 있는 삼국 시대 이후 유물 산포지. 우산리 유물 산포지는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우산리에 있는 유물 산포지이다. 우산리 유물 산포지 1과 우산리 유물 산포지 2로 구분되어 있다. 우산리 유물 산포지 1은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우산리 산74 일대로 골안으로 불리는 골짜기의 상부 동쪽 산사면 일대에 해당된다. 유물 산포지에서 출토되는 유물은 주로 옹류...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유등리에 있는 선사 시대 유물 산포지. 유등리 유물 산포지는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유등리 19-1번지 일대에 있다. 서남쪽으로 토평리 고분군이 연접하고 있고 동쪽에 연지가 있다. 유물 산포지는 해발 128.3m의 낮은 구릉의 북동 사면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경사 10° 정도의 완만한 지세를 이루고 있다. 유물은 민무늬 토기 조각, 적갈색 연질 토기 조각, 토...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유호리에 있는 선사 시대에서 삼국 시대까지의 유적. 유호리 선사 유적은 행정 구역상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유호리 산123-1번지 일대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이 지역은 동창천과 청도천이 밀양천으로 합수되는 지점에 있는 유호리 유호 마을 북편 구릉의 정상부와 남·동사면 일대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구석기 시대∼삼국 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시기의 유물이 산포해 있는...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유호리에 있는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유물 산포지. 유호리 유물 산포지는 유호 2리의 조들 마을에서 남동쪽으로 600m 정도 떨어진 해발 50∼55m의 산자락 일대이다. 현재 계단식으로 조성된 과수원에서 기와 조각과 토기 조각이 채집되고 있다. 특히 유물 산포지 동편에는 경사지에 높게 쌓은 석축과 그 위 평탄지에서 통일 신라 시대의 기와 조각이 많이...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임당리에 있는 유물 산포지. 임당리 유물 산포지는 두 곳으로 금천면 임당리 임당 마을의 북쪽에서 동쪽과 남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의 말단부와 그 곡간 평지에 유물 산포지가 있다. 유물 산포지 서쪽으로 수미들과 간평들이 펼쳐져 있으며, 그 앞으로 동창천이 흐르고 있다. 임당리 유물 산포지 ①은 임당 마을의 북쪽에서 동쪽으로 이어지는 완만한 구릉의 과수원 경작지 일...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정상리에 있는 유물 산포지. 운문면 정상리 새말 마을에서 북서쪽에 있는 용천 약수탕으로 이어지는 골짜기가 있다. 골짜기의 양쪽 능선 말단부에 정상리 유물 산포지 두 곳이 분포하고 있다. 1. 정상리 유물 산포지 ① 운문면 정상리 질멀 마을의 동쪽에 있는 해발 336m 능선의 남서쪽 말단부에 있다. 2003년도 조사 시에 토기 조각이 다수 관찰되었으나 2012...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지전리에 있는 유물 산포지. 매전면 지전리 앞을 흐르는 동창천의 북쪽과 서쪽에 있는 능선의 말단부에 지전리 유물 산포지 두 곳이 있다. 지전리 유물 산포지 ①은 지전 2리 부처골 마을의 북쪽에 있는 완만한 능선에 있다. 매전 삼거리에서 국도 58호선을 따라 북지리, 온막리, 예전리를 지나 지전리에 도착한다. 국도를 따라 가면 우측에 지전 보건소가 있으며, 보...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에 있는 삼국 시대 유물 산포지. 토평리 유물 산포지는 행정 구역상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 175-1 일대에 해당된다. 이서면 양원리 별장 터에서 남쪽으로 500m 지점에 토평리와 해발 100∼110m의 구릉이 있는데, 이 일대가 유물 산포지이다. 이곳의 북쪽 일부와 서쪽은 대곡천과 더불어 넓은 평야 지대를 이루고, 동쪽으로는 맞은편 능선 사이에...
-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학산리에 있는 유물 산포지. 학산리 유물 산포지는 세 곳으로 이서면 학산리 모산 마을 북서쪽으로 형성된 방골들의 양쪽 구릉지와 주암 마을의 북동쪽 구릉 일대에 있다. 화양읍에서 국도 20호선을 타고 창녕 방면으로 가다 각남 교차로에서 우측의 국가 지원 지방도 30호선을 따라 이서면으로 들어선다. 학산 삼거리에서 학산리 마을로 들어와 북서쪽에 있는 야트막한 구...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흑석리에 있는 유물 산포지.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흑석리 1523 일대에 해당된다. 흑석 2리 마을 남서쪽에 있는 회골 입구에 형성된 경작지가 유물 산포지이다. 이 지역은 현재 과수원과 밭으로 경작이 되어 있는데, 이 일대에서 삼국 시대 토기 조각, 조선 시대 자기 조각과 기와 조각 등이 확인된다. 출토된 유물로 보아 생활 유적이 분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