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1266
한자 孤靑遺稿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사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523년 - 서기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591년 - 서기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750년연표보기 - 『고청유고』 간행
성격 시문집
작가 서기

[정의]

조선 전기 학자인 서기의 시문집.

[개설]

『고청유고(孤靑遺稿)』를 지은 서기(徐起)[1523~1591]는 조선 전기의 학자로, 본관은 이천(利川), 자는 대가(待可), 호는 고청초로(孤靑樵老), 구당(龜堂), 이와(頤窩)이다. 낮은 신분이었지만 어려서 학문에 전진하여 제자백가(諸子百家), 선학(禪學) 등 다양한 학문을 배우다가, 1542년(중종 37) 이지함(李之菡)에게서 유학(儒學)이 정도(正道)임을 확신하고 이후 유학에 전념하였다. 충청남도 공주 충현서원(忠賢書院)에 배향되었다.

[구성]

『고청유고』는 2권 1책의 금속활자본(金屬活字本)이다. 광곽은 사주단변(四周單邊)이며, 반곽의 크기는 세로 22.5㎝, 가로 15.5㎝이다. 행자 수는 11행 20자, 어미는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이며, 책 크기는 세로 31.0㎝, 가로 19.7㎝이다.

[내용]

『고청유고』는 충청도관찰사(忠淸道觀察使) 홍계희(洪啓禧)[1703~1771]가 유고(遺稿)를 수습하고, 여러 제자가 쓴 제문(祭文)과 묘문(墓文)을 모아 1750년(영조 26) 공주감영에서 간행하였다. 권 1에는 송병준(宋炳俊)의 서문이 있으며, 시(詩) 14수와 유사(遺事)·묘갈명(墓碣銘)·행장(行狀) 등 13편의 글이 수록되어 있으며, 말미에 서기의 5대손 서행원(徐行遠)과 홍계희의 발문(跋文)이 실려 있다. 권 2에는 제자들이 쓴 21편의 문(文)과 11세손 서주택(徐周澤)과 서주덕(徐周德)의 발문이 실려 있다.

[특징]

서기의 저술은 임진왜란[1592~1598]을 거치면서 대부분 유실되어 전해지지 않는다. 충청도관찰사 홍계희가 여러 문집에 수록된 서기의 글을 발췌하여 유고로 수습하였다. 이때 1635년 정구(鄭逑)[1543~1620], 정여창(鄭汝昌)[1450~1504] 등의 사적을 정리한 『문헌공실기(文獻公實紀)』와 1719년(숙종 45) 김하석(金夏錫)이 김굉필(金宏弼)[1454~1504]의 시와 사적을 중심으로 하고 유학자들의 글을 모아 정리한 『경현록(景賢錄)』의 체제를 따라 편찬하였다.

[의의와 평가]

『고청유고』서기의 사상과 학문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문집일 뿐만 아니라, 1750년(영조 26) 홍계희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서기에 대한 현창(顯彰)과 문집 간행 과정을 자세히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 『고청유고(孤靑遺稿)』
  • 『보령시지』(보령시지편찬위원회, 2010)
  •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s://kyudb.snu.ac.kr)
  • 한국고문헌종합목록(https://www.nl.go.kr/korcis)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