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호도사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0087
한자 狐島沙丘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녹도리 호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원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호도사구 - 충청남도 보령시
해당 지역 소재지 호도사구 -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녹도리 호도지도보기
성격 모래 언덕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녹도리 호도 동쪽 호도해수욕장 배후에 모래가 바람에 의해 운반·퇴적되어 형성된 언덕.

[개설]

호도사구는 모래가 바람에 의해 운반·퇴적되어 형성된 지형이고, 만입(灣入)이 발달한 모래 해안 배후에 분포한다.

[명칭 유래]

사구가 있는 ‘호도’ 지명을 그대로 따른 것이다.

[자연환경]

보령시 오천면 녹도리 호도에 있는 사구이다. 호도삽시도의 남서쪽에 있으며, 호도의 위쪽으로 명덕도가 있고, 아래쪽으로 녹도, 모도 등이 있다. 호도의 동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엔 추도가 있다. 호도의 내부에는 북쪽과 남쪽에 각각 높이 75.7m와 87.3m의 구릉지가 있다. 북부, 북서부 및 남서부 해안에는 파식대(波蝕臺)[암석 해안이 침식 작용을 받으면서 해식애(海蝕崖) 아래에 형성되는 평평한 침식면]가 발달해 있고, 동부 해안에는 사빈(沙濱)[모래가 많이 퇴적한 해안 지형]이 비교적 대규모로 발달해 있는데, 호도해수욕장으로 개발되어 있다.

호도사구호도의 동부 해안에 발달해 있는데, 해안의 대략 5분의 3 정도에 걸쳐 있다. 호도사구의 바다 쪽 전면에는 사빈이 잘 발달해 있다. 호도의 사구와 사빈은 안쪽으로 약간 파인 긴 궁형(弓形)의 지형을 이루고 있다. 호도사구의 모래 공급처는 사빈이고, 사빈의 모래 공급처는 바다인데, 호도에 구릉지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하천이 없어서 구릉지 사면에서 산출되는 모래 등의 풍화 산물을 해안까지 운반하지는 못한다.

[현황]

호도사구 앞으로는 사구와 평행하게 도로가 개설되어 있다. 사구와 사빈 사이의 도로는 사빈의 모래가 배후의 사구로 이동하는 데 적지 않은 장애가 되어서, 새로운 모래가 공급되지 못해 사구가 해체되는 하나의 원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호도사구의 뒤편에는 취락이 들어서 있는데, 취락 주변에는 밭이 비교적 넓게 분포해 있다. 취락과 밭이 들어선 것은 해송림으로 둘러싸인 사구가 겨울철 북서 계절풍이나 일상적 해풍을 막아 주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