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아산문화대전 > 아산향토문화백과 > 삶의 자취(문화유산) > 기록유산 > 고문서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의 현충사 충무공이순신기념관에 있는 조선 후기 이순신의 일기 등 고문헌. 이순신 난중일기(亂中日記) 및 서간첩(書簡帖) 임진장초(壬辰狀草)는 이순신이 임진왜란 전란 중에 틈틈이 쓴 이순신의 친필 일기와 친척들에게 보낸 편지, 조정에 보낸 장계의 초본 등을 이르는 명칭이다. 일괄하여 1962년 12월 20일에 국보 제76호로 지정되었...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충무공 이순신 관련 고문헌. 이순신(李舜臣) 선무공신교서(宣武功臣敎書)와 이순신 관련 고문서는 임진왜란 때 큰 전공을 세운 충무공 이순신[1545~1598]에게 선무일등공신의 책정 및 상급을 기록하여 내린 이순신 선무공신교서[보물 제1564-1호]를 비롯하여 이순신과 관련된 고문서 15점 등 모두 16점의 고문...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월선리의 장흥임씨 종중에 전해져 온 조선 후기 고문헌. 장흥임씨종중문서(長興任氏宗中文書)는 조선 후기 18세기 무렵부터 아산 선교, 즉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월선리 배다리에 세거해 온 장흥임씨 종중에 전해져 온 18~20세기 중반의 고문서와 전적류 839점을 말한다. 효율적인 관리와 보존을 위해 2004년에 한국학중앙연구원에 기탁하였다...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중리 창녕성씨 종중에 있는 조선 후기의 고문헌. 창녕성씨(昌寧成氏) 상곡공파(桑谷公派) 충청남도 아산시 입향조는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인 성준(成準)[1554~1619]이다. 성준은 청렴하였고 만년에는 아산시 인주면 대음리에 은거한 뒤 후손들은 인접한 인주면 문방리에서 세거해 왔다. 성준의 4남 중 장남이 성취성(成就聖)이다. 성준의 1...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 참판댁에 전해져 온 개화기 고문헌. 이정렬(李貞烈)[1868~1950]은 조선 말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예안(禮安), 호는 퇴호(退湖)이다. 충청북도 보은 출신이며,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마을 이상규의 양아들이 되었다. 양가 쪽 할머니가 명성황후의 이모여서 명성황후의 사랑을 받았다고 한다. 고종 때 참판, 궁내부 특진관(宮內...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대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홍가신 관련 고문서. 홍가신(洪可臣)[1541~1615]은 조선 후기 문신·학자로서 본관은 남양(南陽), 호는 만전당(晩全堂)·간옹(艮翁), 시호는 문장(文莊)이다.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학문이 뛰어났으며, 관직은 형조판서에 이르렀다. 임진왜란 중이던 1596년에 홍주목사로 재임하며 이몽학의 난을 평정하여...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대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홍가신의 증시교지. 홍가신(洪可臣)[1541~1615]은 충청남도 아산 출신의 조선 후기 문신·학자이다. 본관은 남양(南陽), 호는 만전당(晩全堂)·간옹(艮翁), 시호는 문장(文莊)이다. 행촌 민순(閔純)[1519~1591]에게 수학하였고 학문에 깊이가 있었다. 여러 관직을 거쳐 형조판서에 이르렀다. 특히 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