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에서 영인면, 둔포면에 이르는 도로. 장영실로(蔣英實路)는 아산시를 동서로 지나는 국도 34호선의 일부이다. ‘장영실로’라는 명칭은 아산이 가계 본관인 조선 전기의 과학자 장영실의 이름을 딴 것이다. 국도 제34호선 중 아산시와 관련된 도로 변천 내역은 1987년 8월 29일에 아산군 둔포면 둔포리 880m 구간을 개통하고 기존...
-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만리포항과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동를 잇는 도로 중 아산시를 지나는 구간. 서해로(西海路)에서 아산시에 해당하는 구간은 아산호교차로~인주육교~공세교차로~밀두교차로~인주공단교차로~[문방1교]~밀두2교 문방교차로~[밀두1교]~삽교천방조제이다. ‘서해로’라는 도로명은 서해안을 따라 놓여진 도로라는 의미에서 붙여졌다. 서해로 아산...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 모개고가차도에서 충청남도 아산시를 거쳐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을 잇는 일반 국도. 국도 43호선 중 아산시에 속하는 곳은 배방읍 갈매리[삼태교차로]에서 둔포면 봉재리에 이르는 24.93㎞ 구간이다. 국도 43호선은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을 기점으로 천안시, 아산시를 지나 경기도 서남부, 서울특별시, 경기도 동북부 지역을 차례로 관통한 다음 강...
-
충청남도 홍성군 금마면 죽림리에서 아산시 송악면 송학리까지 이어지는 일반 지방도. 지방도 616호선은 충청남도의 3개 시·군, 7개 면, 29개 리를 대략 동서로 연결한다. 「도로명주소법」[2006년 제정, 2014년 전면 시행]에 따라 홍성군에서는 금마로, 예산군에서는 예당로, 예당남로, 차동로, 대술로, 대술동로 등으로 이름을 지었고, 아산시에서는 송악로라...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밀두리에서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대평리까지 이어지는 일반 지방도. 지방도 623호선은 충청남도의 2개 시, 11개 읍·면·동, 29개 리를 동서로 연결하는 도로이다. 「도로명주소법」[2006년 제정, 2014년 전면 시행]에 따라 아산시 인주면에서는 아산만로, 선장면은 서부남로가 되고, 신창면부터는 순천향로로 이름이 부여되었다. 한편 충...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석정리에서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매주리까지 이어지는 일반 지방도. 지방도 624호선은 충청남도의 2개 시, 6개 읍·면, 26개 리를 대략 동서로 연결한다. 「도로명주소법」[2006년 제정, 2014년 전면 시행]에 따라 인주로에서 시작하여 현대자동차 아산공장의 영향으로 염치읍까지 현대로가 된다. 염치읍 염성리부터 염치로, 충무로, 이순...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밀두리에서 음봉면 산동리까지 이어지는 일반 지방도. 지방도 628호선은 온전히 충청남도 아산시 관내만 연결하는 도로이다. 아산시의 3개 면, 13개 리를 대략 동서로 연결한다. 「도로명주소법」에 따라 음봉면에서는 음봉로, 아산온천로가 부여되었고, 영인면에서는 영인산로, 인주면에서는 영인산로, 현대로, 아산만로 등으로 이름을 지었다. 지방...
-
충청남도 계룡시 엄사면 도곡리에서 충청남도 아산시 선장면 군덕리까지 이어지는 일반 지방도. 지방도 628호선은 두마~선장선이라고도 하며 충청남도 계룡시, 논산시, 공주시, 부여군, 청양군, 예산군과 아산시 도고면 금산리까지 이어지며, 길이는 110.08㎞에 달한다. 2개 읍과 14개 면, 663개 리[아산시 23개 리]를 경유한다. 계룡시와 논산시 일부의 미개...
-
충청남도 아산시 온천동에서 인주면 공세리에 이르는 도로. 아산로(牙山路)는 아산시 온천동에서 인주면 공세리까지, 온천동에서 아산만을 연결하는 국도39호선 구간이다. 아산로는 옛 아산현의 중심을 지나기 때문에 ‘아산로’라 이름을 붙였다. 아산로는 총 연장 14.674㎞에 너비 20m[왕복 4차선]이고, 도로 포장률은 100%이다....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남동교차로에서 염치읍 곡교교차로에 이르는 타원형의 외곽순환 도로. 온양순환로(溫陽循環路)는 아산시 배방읍 남동교차로에서 배방읍, 온양동, 신창면을 지나 염치읍 곡교교차로를 잇는 도로이다. 온양순환로는 온양동을 중심으로 한 타원형 형태의 도로여서 붙은 명칭이다. ‘아산시 국도대체우회도로’라고도 불린다. 온양순환로는 총...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효자리에서 배방읍 장재리에 이르는 도로. 온천대로(溫泉大路)는 아산시 도고면 효자리에서 신창면, 온양 시내를 경유하여 배방읍 장재리 장재지하차도 동단에 이르는 도로이다. 온천대로는 질병치료에 효과가 높다고 알려져 있는 온양온천을 지나는 도로로 온양온천의 이미지를 살려 ‘온천대로’로 이름을 지었다. 온천대로는 총 길이...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거산리에서 온천동에 이르는 도로. 외암로(巍巖路)는 아산시 송악면 거산리에서 온천동까지, 공주시 경계부터 송악사거리를 연결하는 국도 39호선 구간이다. 외암로는 송악면 외암리에 있는 아산 외암마을을 지나는 도로로 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문신인 외암(巍巖) 이간(李柬)[1677~1727]의 호를 따서 붙인 이름이다. 외...
-
충청남도 아산시 온천동에서 둔포면 운용리에 이르는 도로. 충무로(忠武路)는 아산시 온천동에서 둔포면 운용리까지, 온양온천역에서 둔포면을 잇는 국도 45호선 구간이다. 충무로는 아산의 대표 인물인 이순신 장군의 시호를 빌려 이름을 붙였다. 아산시 염치읍 석정리 석정삼거리 지점에서 이순신대로 방향으로 약 2㎞ 지점에 현충사가 있으며, 음봉면 삼거리 음봉...
-
충청남도 아산시 모종동에 있는 버스 터미널. 아산시외버스터미널은 온양시외버스터미널 부지에 2012년 지하 3층, 지상 10층 구조로 새로운 터미널 건물을 착공하여 2014년 1월에 준공한 후 아산시외버스터미널로 사용하게 되었다. 1989년 온양시외버스터미널로 준공하여 사용한 건물이 노후되었고, 여기에 시외버스 교통량 증가에 따른 새로운 터미널 신축이 필요하게...
-
충청남도 아산시 모종동에 있는 버스터미널. 동양고속버스터미널은 동양고속에서 운영하는 버스터미널로 충청남도 아산시 모종동에 있다. 2015년 5월에 착공하여 2016년 7월에 준공된 복합 터미널이다. 기존 터미널 건물의 노후로 2013년 12월 도시관리계획 변경 입안서가 접수되고, 2014년 2월 아산시의회 의견 청취, 3월 아산시 도시계획위원회 자문, 4월 아...
-
충청남도 아산시 권곡동과 염치읍 석정리를 잇는 다리. 충무교는 1964년 2차선으로 건설되었고, 1991년 왕복 4차선으로 확장, 신축하였다. 충무교는 아산의 대표 인물인 이순신 장군의 시호를 빌려 이름을 붙였다. 충무교는 1991년 새로 만든 다리로 길이 276m, 폭 20.5m의 왕복 4차선이며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충무교는...
철도·역
-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탕정면, 배방면 일대를 거쳐 서울과 부산을 잇는 고속철도. 경부고속철도는 서울과 부산을 왕복하는 시속 300㎞의 고속전철이다. 차종 모델은 1993년 프랑스 GEC 알스톰사의 TGV[테제베]가 최종 선정되었으며, 고속철도공단 자체 조달 55%의 재원으로 건설된 고속전철이다. 1999년 12월에는 시험 운행에 성공하고, 1999년 12월...
-
충청남도 천안시 천안역에서 아산시 신창역까지 연장된 수도권 전철 1호선 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2008년 장항선이 복선화되어 천안역에서 신창역까지 연장되었다. 아산시의 신도시 개발로 인구가 증가하면서 아산 시민들의 출퇴근과 통학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천안역에서 신창역까지의 연장과 복선화가 이루어졌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이 2008년...
-
충청남도 아산시를 거쳐 천안시와 전라북도 익산시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 장항선은 충청남도 천안시 천안역과 전라북도 익산시 익산역 사이를 연결하는 철도선으로 총길이는 160.2㎞이다. 충청남도 아산시를 통과하여 지나가는데, 아산시에서는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아산역, 배방역, 온양온천역, 신창역, 도고온천역에 정차한다. 장항선은 1922년 조선경남철도주식...
-
충청남도 아산시 온천동에 있는 장항선 철도역. 온양온천역은 충청남도 아산시 온천동에 있는 철도역으로 새마을호, 무궁화호, 누리로, 서해금빛열차,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정차한다. 온양온천역은 1922년 6월 1일 장항선이 개통되면서 보통 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당시에는 충남선으로 천안역과 온양온천역을 운행하였다. 온양온천역은 1965년에...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장재리에 있는 장항선 철도역. 아산역은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에 있는 철도역으로 새마을호, 무궁화호, 누리로, 서해금빛열차,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정차한다. 아산역은 2004년 개통한 KTX 천안아산역[온양온천]이 교통이 불편하여, 이를 이용하는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 2007년 장항선 복선화를 통해 일반 열차와 환승할 수 있도...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장재리에 있는 경부선 고속철도역. 천안아산역[온양온천]은 2004년 4월 1일 영업을 시작하여 여객 안내, 승차권 발매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KTX와 SRT가 운행된다. 경부고속철도가 개통되면서 역사(驛舍)가 장재1리[대추리] 에 생기게 되었다. 천안아산역[온양온천][아산시 배방읍 희망로 100]은 경부고속철도역의 하...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행목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본래 신창역은 아산시에 있는 장항선에 속한 철도역이었으나 폐지되었고, 이후 역사를 이전하여 같은 역명으로 현재 누리로 철도가 정차하는 수도권 전철의 최남단 전철역이 되었다. 2007년 12월 21일에 오목리에서 행목리로 역사를 옮기고 이전의 신창역은 폐지하였다. 2008년 12월 15일부터 수도권 전철 1호...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시전리에 있는 장항선 철도역. 도고온천역은 장항선 직선화와 함께 2007년 현재의 위치로 역사를 이전하였으나 연평균 이용객이 10만 명 이하로 저조하여 무배치 간이역으로 운영되고 있다. 충청남도 서해안 지역의 장항선을 달리는 한국철도공사의 관광열차인 서해금빛열차의 운행으로 폐지된 새마을호 1151열차의 정차역을 도고온천역이 이어받았다....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면 구령리[현 배방읍 구령리]에 있던 장항선 철도역. 모산역은 장항선의 간이역으로 천안아산역과 온양온천역 사이에 있었으나 이용률이 현저히 적어 2007년 폐역되었다. 모산역은 1922년 영업을 개시하였으며 용산역과 장항역을 오가는 무궁화호가 하루에 왕복 1회 정차하던 간이역이었다. 모산역은 이용객이 적어 2005년 영업...
-
충청남도 아산시 선장면 신성리에 있던 장항선 철도역. 선장역은 ‘도고온천역’이라는 명칭으로 1985년 영업을 개시하였으며 장항선이 지나갔다. 2007년 12월 장항선 이설 공사 준공으로 여객 취급이 중지되고 2008년 1월1일자로 폐역되었다. 선장역은 1985년 10월 10일에 도고온천역의 임시승강장 형태로 영업이 개시되었다. 선장역은 1...
포구·나루
-
충청남도 아산시에서 배가 드나드는 항구. 충청남도 아산시에는 곡교천과 삽교천 등의 하천이 발달해 있으며 아산만으로 연결된다. 아산시 하천들의 하천변과 아산만 연변에는 포구가 발달해 있었다. 곡교천에 발달하였던 포구는 인주면 해암리의 해암나루, 걸매리와 밀두리의 나루말, 신창면 신곡리의 여무시나루터, 염치읍 송곡리의 송곡나루터 등이 있다. 삽교천에 발달하였던 포...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둔포리에 있던 포구. 둔포(屯浦)는 조선시대 아산현, 평택현, 직산현 등의 내륙 지역과 아산만을 연결하는 대표적인 포구였다. 안성천의 지류인 둔포천의 밀썰물 구간에 위치하여 배가 드나들기에 유리하였기 때문에 조선 후기부터 포구로 발달하기 시작하여 일제강점기에 번성하였다. 『대동여지도』에 의하면 둔포는 둔포천에서 배가 운항할 수 있는 마지...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창용리 안성천 하류에 있던 포구. 당포(唐浦)는 아산 지역 안성천 하류에 발달했던 여러 포구 가운데 하나이다. 『비변사인방안지도』[18세기 중엽]에는 아산현 읍치에서 북쪽으로 20리[8㎞] 지점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당진포(唐津浦)’로 표기되어 있다. 아산현 관내에서는 비교적 상류에 자리를 잡았던 포구이다. 이보다 상류에는 시포(市...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백석포리에 있던 포구. 백석포(白石浦)는 아산만과 아산군 치소(治所)[어떤 지역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이 있는 곳]를 연결하는 주요 포구였다. 포구에 인접한 산꼭대기에 흰 돌[白石]이 있어서 이 산을 ‘백석산’이라고 불렀으며, 백석산 앞에 있던 포구도 산의 이름을 따서 ‘백석포’라 불렀다. 마을 이름 또한 ‘백석포리’이다. 백석포는...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중방리 곡교천 하류에 있던 포구. 중방포(中方浦)는 곡교천의 가항종점(可航終點)[배가 운항할 수 있는 마지막 지점] 바로 아래쪽에 있던 포구이다. 중방포의 상류 쪽에는 신포[염티읍], 장구포[신창면] 등의 포구가 있었는데, 이 포구들은 가항종점 인근에 발달한 포구였다. 중방포가 있던 중방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신포리와 중방리가...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수장리 곡교천 가에 있던 포구. 장구포(長久浦)는 포구 모양이 장구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인 이름이다. 장구포의 건너편에는 신포[지금의 염치읍 중방리]가 있었다. 장구포와 신포는 곡교천 양안을 연결하는 기능과 함께 내륙과 바다를 연결하던 포구였다. 장구포는 특히 장항선이 개통되면서 기능이 확대되었다. 1922년 오목역이 설치되면서 철도와...
-
충청남도 아산시 선장면 장곳리에 있던 포구. 장포(獐浦)는 ‘노루지’를 한자로 표기한 이름이다. 하천이 들 가운데로 깊이 들어가 있어서 마치 노루의 머리처럼 생겼다 하여 ‘노루고지’라고 하였으며 점차 ‘노루지’로 변하였다. 장포는 아산 지역 관내에 있던 삽교천 유역의 포구 가운데 가장 상류에 있던 포구였다. 고려시대에는 1391년(공양왕 3)에 장포에 성을 쌓...
-
충청남도 아산시 선장면 선창리 삽교천 하안에 있던 나루이자 포구. 선장나루는 삽교천 양안을 연결하는 대표적인 나루였으며 동시에 내륙과 바다를 연결하는 내륙 수로 역할을 하는 포구였다. 선장나루 일대는 삽교천 하류의 감조 구간[밀물과 썰물이 드나드는 구간]이어서 하천의 폭이 상당히 넓었으므로 하천을 건너기 위해서는 배를 이용하였다. 선장나루에서 서쪽으로 삽교천을...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대음리 삽교천 하안에 있던 나루. 한뿌리나루는 삽교천의 하류에 있던 나루였다. 서쪽으로 면천읍치와 동쪽으로 공진창을 연결하던 길이 이 나루를 매개로 이어졌다. 이 부근의 하폭은 2㎞를 넘었기 때문에 배를 이용하지 않으면 하천의 양쪽으로 오갈수 없었으므로 한뿌리나루의 역할은 매우 컸다. 즉, 내포 지방의 삽교천 하류를 연결하여 문화적으로...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해암리 곡교천 하안에 있던 나루. 게바위나루는 곡교천 하류를 건너는 나루로, 곡교천과 삽교천의 합류 지점에서 곡교천 상류 방향으로 3.5㎞ 정도 떨어져 있었다. 게바위나루로 연결되었던 길은 남쪽으로 선장나루에서 북쪽으로 공진창에 이르는 길이었다. 선장나루에서 공진창으로 이어지는 길을 연결하는 나루 역할과 함께 아산만을 통해 바다로 나가는...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가덕리 곡교천 하안에 있던 나루. 가얘나루가 있던 가덕리 일대는 높이 20~40m의 낮은 구릉성 산지가 하안까지 뻗어 있는 곳이어서 포구가 발달하기에 유리한 입지였다. 하천에 가까우면서도 홍수로부터 안전했기 때문이다.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 따르면, 조선 후기 곡교천을 건너던 주요 도로는 고분다리[曲橋]를 지나거나 긔애나루[犬浦]를...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 아산만 연안에 있던 포구. 공진(貢津)은 조선시대 전기부터 충청도 일대의 세곡을 수합하여 한성의 경창(京倉)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담당했던 내륙 수로의 요충지였다. 공진의 위치는 안성천과 삽교천이 합류하는 지점이며 입암산[206.1m] 줄기가 해안 쪽으로 돌출된 곶이[바다 가운데로 내민 땅]로 포구가 입지하기 적절한 조건을 갖추고...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송곡리 곡교천 하안에 있던 나루. 배턱거리는 온양군 읍치와 아산현 읍치를 연결하는 주요 도로상에 있던 나루로 곡교천을 사이에 두고 마주 보고 있는 오늘날의 아산시 염치읍 송곡리와 권곡동을 연결하였다. 곡교천 중류에 해당하여 수량이 많지 않고 하천의 폭도 넓은 곳은 아니었지만 물이 불어나는 여름에는 사람들이 배를 이용하여 하천을 건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