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는 예수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한 삼위일체 하나님을 믿는 종교. 개신교가 충청남도 아산시에 전해진 이래 문헌상 가장 오래된 대한기독교 감리회 백암교회[옛 구미교회, 1901년 설립]를 시작으로 교회가 세워졌고, 현재 아산시 지역 기독교회는 357개에 이르고 있다. 아산시 지역에 들어온 개신교 교파는 감리교, 장로교, 성공회, 침례교, 성결교, 나사렛성결...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성내리에 전하는 아산현감 토정 이지함에 관한 이야기. 「고용산」은 아산현감으로 부임하였던 토정 이지함이 병자호란을 예측하고 대비해 오랑캐를 물리쳤다는 이야기이다. 토정은 꾀를 내어 영인면 성내리의 민둥산인 고름산쇠성의 바위를 잘게 부수게 하였고, 훗날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사람들이 고름산쇠성의 잘게 부순 돌멩이를 오랑캐에게 던져서 마을을...
-
충청남도 아산시의 폐광이나 동굴에서 서식하는 관박쥣과에 속하는 대형 박쥐. 관박쥐는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박쥐류 중에서 대형에 속하며, 다른 박쥐와 달리 타지역으로의 이동 없이 사계절 내내 동굴이나 폐광에서 서식한다. 겨울에는 집단으로 모여 천장이나 벽면에 거꾸로 매달려 동면한다. 입을 이용해 초음파를 내는 다른 박쥐들과 달리 코로 초음파를 낸다. 관...
-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말과 기억으로 전해 내려오는 민요·전설·속담·수수께끼·방언 등 민간 지식의 총체. 구비 전승(口碑傳承)은 문자나 행위가 아니라 말로써 전해지는 문화의 모든 것을 말한다. 구비 전승은 말로 전해지는 방식을 따르기 때문에 문자로 전승되는 문자 문화와 다른 경향이 있다.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전승자들의 선택을 받은 것이 전승되기 때문에 끊임없이 변화한다....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중리에 있는 기린고개에 얽힌 이야기. 「기린고개에 얽힌 사연」은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중리에 있는 기린고개에 얽힌 이야기로, 맹사성과 검은 기린에 관한 이야기이다. 맹사성이 검은 기린을 타고 한양을 다녔다는 전설이 전해지며, 기린이 나타난 곳을 기린고개라 하고, 기린이 묻힌 무덤을 흑기총이라고 한다. 「기린고개에 얽힌 사연」...
-
충청남도 아산시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포유류·조류·파충류·양서류·어류 등 동물들의 생태 현황. 충청남도 아산시의 동물 분포상을 보면, 대륙의 동쪽에 위치한 지정학적 특성으로 구북구(舊北區) 만주아구에 속하며, 인근에 충청남도 천안시, 당진시, 예산군 등과 경계를 이루는 삽교호와 아산호 등의 인공호수를 포함한 곡교천, 무한천 등의 수계와 간척농지 갯벌 및 광덕산...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시전리의 말 무덤에 관한 이야기. 「말무덤 전설」은 남국걸(南國傑)의 나라에 대한 충성심과 남국걸의 의로운 말에 관한 이야기이다. 「말무덤 전설」은 1997년부터 2000년까지 조사 수집된 내용을 토대로 2000년 12월 온양문화원에서 발간한 『온양아산 마을사』 제1권에 수록되어 있다. 「말무덤 전설」은 충청남도 아...
-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을 비롯한 아산시 일원에서 목화를 따면서 부르는 남녀 애정 노동요. 「목화 따는 처녀 노래」는 충청남도 아산시 일원에서 목화를 따는 처녀와 주치[지치, 한방에서는 뿌리를 자초(紫草)라는 약재로 사용함]를 캐는 총각이 서로 연모의 마음을 주고받는 ‘남녀상열지사’에 해당하는 민요이다. 「목화 따는 처녀 노래」는 1983년 아산군지편...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산양리 물바가지골에 있는 병 고치는 효험이 있는 못에 관한 이야기. 「물바가지골」은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산양리에 전하는 물바가지골 연못의 효험에 대한 이야기로, 남편의 병을 고치기 위해 자신의 머리를 잘라 연못의 천년 묵은 거머리를 물리친 아내의 정성을 담고 있다. 「물바가지골」은 1997년부터 2000년까지 조사 및 수집...
-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특정한 작곡가나 작사가가 없이 민중들 사이에서 저절로 생겨나 구전으로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노래. 민요(民謠)는 민속적인 요소와 음악적인 요소, 문학적인 요소가 스며들어 노래로 발현된 것으로 민중들의 사상과 정서, 삶의 애환, 사고방식과 풍속이 고스란히 들어 있다. 특히 민요는 삶 속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난 것이기에 누구나 쉽게 따라 부를 수 있...
-
충청남도 아산의 신창면 지역에서 부르던 유희요. 「백구타령」은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4-3』-충청남도 아산군편에 수록되어 있으며, 1994년 온양문화원에서 간행한 『온양아산의 민속』과 1983년 아산군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아산군지』 상권에는 「백구타령」이 같은 가사로 실려 있다.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실린 「백구...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의 ‘뱀밭’ 지명에 관한 이야기. 「뱀밭 이름에 대한 전설」은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의 ‘뱀밭’ 지명에 얽힌 이야기로, 죽임을 당한 뱀의 저주가 제사를 통해서 풀렸다는 이야기이다. 「뱀밭 이름에 대한 전설」은 1997년부터 2000년까지 조사 및 수집된 내용을 토대로 온양문화원에서 2000년 12월에 발간한 『온양...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지역에서 배를 타면서 부르는 노동요.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지역의 「뱃노래」는 뱃놀이의 여흥을 살리기 위해 부르던 속요체의 민요로, 어업 노동요에 속한다. 「뱃노래」는 여럿이 그물을 끌어 올리며 박자를 맞추어 소리를 메기고 받는 집단 노동요이다. 「뱃노래」는 1983년 아산군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아산군지』 상권과 1987...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석두리에 있는 범바위에 관한 이야기. 「범바위의 전설」은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석두리의 범바위에 관한 이야기로, 사람들과 동물들에게 악행을 일삼던 호랑이가 산신령에게 벌을 받아 바위로 변했다는 이야기이다. 「범바위의 전설」은 1997년부터 2000년까지 조사 및 수집한 내용을 토대로, 2000년 12월에 온양문화원에서 발간한...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을 비롯한 아산시 일원에서 부녀자들이 베를 짜면서 부르던 여성 노동요. 충청남도 아산의 「베틀노래」는 「베틀타령」, 「베틀요」라고도 하며, 베틀을 짜는 과정을 내용으로 담기도 하고, 여성의 삶을 서사로 풀어내기도 한 것이 특징이다. 「베틀노래」는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4-3』-충청남...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유곡리의 베틀바위에 관한 이야기. 「베틀바위」는 남편을 전쟁에 내보내고, 언제 돌아올지 알 수 없는 남편을 기다리며 불공을 드린 지고지순한 아낙네의 이야기이다. 「베틀바위」는 1997년부터 2000년까지 조사 수집된 내용을 토대로 2000년 12월 온양문화원에서 발간한 『온양아산 마을사』 제1권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 충청남도...
-
충청남도 아산시 풍기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굶주린 노모를 봉양하는 아들의 효행담에 관한 전설. 충청남도 아산 지역의 전설 중에서 효행을 중심 주제로 삼고 있는 전설은 20여 편에 이른다. 「벼락바위」는 노모를 굶길 수 없어 개똥에서 고른 보리쌀로 밥을 지어 봉양하면서, 죄책감으로 눈물을 흘리는 효자의 이야기이다. 힘든 상황에서도 어머니를 지극하게 봉양한 아들의...
-
조선시대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 있던 토지신과 곡식신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해 흙이나 돌로 쌓아 올린 터. 사직단(社稷壇)은 본래 왕이 사직신((社稷神)에게 제사를 지내던 제단이지만, 주현(州縣)에서는 지역 수령이 대신 제사를 지냈다. 조선시대 대부분의 고을에는 사직단이 설치되어 있었는데,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는 아산현·온양현·신창현에 각각 있었다. 사직단은 풍...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오암리에 살았던 상침송씨가 불교승에게 예를 갖추어 복을 받았다는 이야기. 「상침송씨에 관한 전설」은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오암리에 살던 상침송씨(尙寢宋氏)가 배고픈 노승을 위해 며느리의 소중한 젖을 나눠 주었고, 젖을 먹고 기운을 차린 노승이 발복할 수 있는 명당 자리를 알려 주어 후대손손 번창했다는 이야기이다. 「상침송씨에...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강청리에 있는 상투 모양의 바위에 관한 이야기. 「상투봉 전설」은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에 있는 상투 모양의 바위에 관한 이야기로, 죄를 지은 사람은 누구나 마땅히 벌을 받고, 선한 일을 한 사람은 복을 받는다는 이야기이다. 악행을 저지르는 양반을 산신령[호랑이]이 통쾌하게 징벌한다고 한다. 「상투봉 전설」은 온양문화원에서 2...
-
다산 정약용이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유곡리에 있는 봉곡사에 머물며 성호 이익을 기리기 위해 강학회를 열면서 지은 글. 정약용(丁若鏞)은 1795년(정조 19) 7월 26일 나이 34세에 주문모(周文謨)[야고보] 신부 입국사건으로 금정도(金井道)[현재 충청남도 청양군 남양면 금정리] 찰방(察訪)으로 외보(外補)[지방관에 보임(補任)]되었다. 이때 목재(木齋)...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의 주산인 설화산의 정기에 관한 이야기. 「설화산에 관한 전설」은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의 설화산 꼭대기의 형세와 기운에 대한 이야기로, 맹사성의 어머니가 설화산이 입속으로 들어오는 꿈을 꾸고 맹사성을 낳았다는 맹사성의 태몽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설화산과 같이 산꼭대기가 붓끝과 같은 문필봉에 관한 이야기는 다른 지역에도 많...
-
조선시대 충청남도 아산 지역 백성들의 안녕을 위하여 성황신을 모셨던 당집. 성황사(城隍祠)는 조선 건국 후 중앙집권화 과정에서 산천(山川)·성황(城隍)·풍운(風雲)·뇌우(雷雨) 등 여러 명칭으로 부르던 민간신앙의 단(壇)들을 하나의 성황사로 통합하여 주(州)·부(府)·군(郡)·현(縣)의 행정단위마다 하나씩 설치하고, 지방관으로 하여금 봄·가을로 제사 지내게 하였다. 조선...
-
어떠한 대상을 은유의 방법으로 빗대어 말해 알아맞히는 놀이. 수수께끼는 충청남도 아산 지역만 아니라 대한민국 전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말장난으로, 말로 숨은 것을 찾아내 겨루는 것을 말한다. 수수께끼는 질문자와 해답자를 가지며, 묘사가 비교적 단순하고 은유적 표현을 사용하는 고도의 오도성(誤導性)을 띤다는 특징을 가진다. 수수께끼는 은유적 표현으로 사물이나 사건의 본질을 고의로 다...
-
충청남도 아산시 방축동에 있는 인공호수에 조성된 호수공원. 신정호의 공식 명칭은 마산저수지(馬山貯水池)이며 농업용 저수지로 일제강점기인 1927년 준공되었다. 같은 시기에 중건된 신정관이 위락시설로 이용되어 관광지로 각광을 받게 되면서 통칭 ‘신정호’라 불렸다. 1980년대 들어 관광지로서 침체되기 시작하자 여러 가지로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상성리의 신랑봉과 각시봉에 관한 이루어지지 못한 애절한 사랑 이야기. 「신랑봉과 각시봉」은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상성리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로, 정절을 지키기 위해 자결한 처녀와 죽은 처녀를 따라가는 도령의 비극적 사랑을 다룬 이야기이다.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는 산과 암석을 소재로 한 전설이 많다. 「신랑봉과 각시봉」은 온...
-
1926년부터 1945년까지 조선경남철도주식회사가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 있는 온양온천 운영권을 인수하여 경영한 목욕 숙박시설. 신정관(神井館)은 1926년 11월 사설(私設) 철도회사 조선경남철도주식회사(朝鮮京南鐵道株式會社)에서 온양온천주식회사(溫陽溫泉株式會社)로부터 온양온천을 인수한 뒤에 세운 온천장(溫泉場)이다. 1945년 광복 이후 미군정청 철도국에서 신정관호텔로...
-
1819년(순조 19) 이호빈이 편찬한 충청남도 아산 지역 읍지. 『신정아주지』는 19세기 아산 지역의 경역(境域), 건물, 관원, 호구 등을 수록한 읍지이다. 『신정아주지』는 이호빈(李浩彬)이 편찬하였다. 영조 대에 편찬된 『여지도서』와 1742년(영조 18)에 작성된 『구아주지(舊牙州誌)』를 저본으로 하고 후대의 변화상을 반영하여 1819년 이호...
-
불교·천주교·개신교·유교 외에 전국적인 조직을 갖추고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종교 시설을 운영하며 정기적인 회합을 하는 종교 단체. 인간 구원을 주된 사명으로 하는 종교는 그 자체가 하나의 세계를 이루기 때문에 종교를 주류나 비주류로 나누거나, 기존과 신흥 개념으로 분류하는 것 자체가 모순일지도 모른다. 그런데도 여기에서 신종교라는 항목으로 분류한 것은 이전의 관행과 새로운 기준이...
-
1758년도에서부터 1765년도에 편찬된 『여지도서』에 수록된 신창현 읍지. 『신창현지』는 18세기 아산 지역의 연혁, 지리, 인물 등을 기록한 책이다. 『신창현지』는 신창현에서 간행하였다. 1757년 홍양한(洪良漢)이 영조에게 전국 읍지의 편찬을 건의하여, 왕명에 따라 홍문관에서 각 도에 각 읍의 읍지를 올려보내도록 하여 간행하였다. 『신창현지』는...
-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는 치안 업무를 맡아 보는 행정기관. 아산시 온양6동에 있는 아산경찰서는 국가의 경찰권을 운영하는 경찰 행정기관으로 치안 업무를 관장하고 있다. 충청남도 아산시 관내 치안 유지 및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사회의 안녕과 질서 유지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45년 10월 21일 대한민국 국립경찰이 발족되면서 온양 지역에도 온...
-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아산동산교회는 1974년 1월 28일 아산군 탕정면 지역에 최초로 세워진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의 교회이며, ‘동산장로교회’라고도 한다. 충청남도 아산군 탕정면에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서 설립되었다. 동산교회는 1974년 1월 28일 아산군 탕정면 동산1구 곽노천 집사 댁에...
-
충청남도 아산시 모종로에 있는 아산 지역의 소방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 아산소방서는 아산 지역의 화재 예방과 불을 끄는 임무를 맡아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 주는 기관이다. 아산소방서는 관할구역 내 화재를 예방·경계·진압하고, 화재·재난·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의 구조·구급 활동 등을 통하여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을 보호함으로써 공공의...
-
일제강점기인 1929년에 충청남도 아산군에서 일본어로 간행된 아산군 지역 관광 지리지. 『아산군지』[1929]은 1929년 당시 충청남도 아산군 지역 거주 일본인들로 구성된 아산군교육회에서 일본어로 간행한 아산군 지역 관광 지리지이다. 모로스미 고오이치[兩角恒一]가 주로 편집한 것으로 보이며 조선시대 간행된 전통적인 지리지와는 달리 주로 온천 등 관광명소...
-
충청남도 아산군의 연혁을 정리한 향토지. 『아산군지(牙山郡誌)』는 아산군지편집위원회가 아산군의 연혁을 지리, 역사, 행정, 문화, 산업경제 등을 총 8편에 정리하여 1983년 상권과 하권으로 펴낸 향토지이다. 아산 지역은 신석기 문화가 뿌리를 내린 고대 문화의 중심지였다. 마한의 농경문화를 바탕으로 백제문화권에 소속되어 아름다운 전통과 빛나는 향토사...
-
조선시대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인주면, 음봉면, 염치읍, 둔포면 등에 있던 행정구역. 아산현(牙山縣)은 고려 전기 인주(仁州)였다가 1172년경(명종 2) 아주현(牙州縣)으로 개칭하고 감무(監務)를 두었다. 1413년(태종 13년) 아산현이 되었고, 1895년(고종 32) 23부(府)제로 행정구역이 재편되면서 홍주부(洪州府) 관할 아산군이 되었다가 이듬해 13도(道)...
-
1758년에서 1765년에 편찬한 『여지도서』에 수록된 아산현 읍지. 『아산현지』는 18세기 아산 지역의 연혁, 지리, 인물 등을 기록한 책이다. 『아산현지』는 아산현에서 간행하였다. 1757년 홍양한(洪良漢)이 영조에게 전국 읍지의 편찬을 건의하여, 왕명에 따라 홍문관에서 각 도에 각 읍 읍지를 올려보내도록 하여 간행하였다. 『아산현지』는 선장본이...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서원리에 있는 어금니바위의 유래에 관한 전설. 「어금니바위의 전설」은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서원리 원골 뒷산에 있는 바위에 관한 이야기로, 아산 민중에게 널리 퍼져 있던 효에 관한 이야기이다. 「어금니바위의 전설」은 온양문화원에서 2000년 12월에 발간한 『온양아산 마을사』 제1권에 수록되어 있으며, 1997년부터 2000...
-
충청남도 아산시에도 위치해 1년에 3차례씩 돌림병을 막기 위해 국가에서 여러 신에게 여제를 지내던 제단. 여단(厲壇)은 돌림병을 예방하기 위해 주인 없는 외로운 혼령을 국가나 지방의 군현에서 제사를 지내주던 토석단(土石壇)을 말한다. 조선시대 아산현, 신창현, 온수현[온양군으로 승격]에는 각각 여단이 있었다. 조선 전기의 자료인 『신증동국여지승람』과 『여지도서...
-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는 지역 문화 단체. 1957년에 개설된 온양문화원은 아산 지역의 향토문화 보존·전승·발굴 등의 사업을 전개하면서 지역문화의 발전과 아산 시민의 문화적 욕구 충족을 위해 다양한 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문화원이다. 아산시의 향토문화 보존·전승·발굴 및 계발과 각종 문화 교육을 통하여 지역문화의 창달과 한국문화의 발전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
조선시대 지금의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1~6동 일대와 탕정면, 배방면, 송악면 일부에 해당하는 행정구역. 온양의 온천은 옛날부터 병에 효험이 있기로 유명하였다. 특히 조선시대 수도 한양에서 200여 리[약 78.5㎞]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왕실의 일원이 병을 치료할 목적으로 자주 찾았다. 왕의 잦은 온양행은 현(縣)에 불과했던 온양이 군(郡)으로 승격되는 결정적 이유였다....
-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동의 온양온천 유래와 당시 민중들의 불교에 관한 믿음을 보여 주는 전설. 「온양온천」은 가난한 절름발이 노파가 온양온천을 발견하고, 온천물의 효험으로 아픈 다리를 치료하였다는 이야기이다. 「온양온천」은 온양문화원에서 2002년 12월에 발간한 『온양아산 마을사』 제3권에 수록되어 있으며, 1999년부터 2003년까지 조사 및 수집...
-
19세기에 간행된 것으로 보이는 필사본 온양군 읍지. 『온주군지』는 19세기 아산 지역의 연혁, 지리, 인물 등을 기록한 책이다. 『온주군지』는 온양군에서 간행하였다. 19세기 이전에 간행되었던 기존 온양군읍지들을 전사(轉寫)하고 내용을 추가하여 편찬하였다. 『온주군지』는 선장본이고 필사본이다. 『온주군지』는 건치 연혁, 군명, 관직, 궁...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방현리에 있는 은행나무에 관한 전설. 「은행나무의 전설」은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방현리에 있는 은행나무에 얽힌 이야기로, ‘정절’을 지키다가 죽은 여인의 슬픈 한이 은행나무를 통해서 오래도록 사람들에게 전승되고 있다. 「은행나무의 전설」은 온양문화원에서 2000년 12월에 발간한 『온양아산 마을사』 제1권에 수록되어 있으며,...
-
충청남도 아산시 현충사 내의 충무공이순신기념관에 있는 이순신 관련 조선 전기 유물. 이순신(李舜臣)이 남긴 여러 유품 중에서 장검(長劍) 2점, 옥로(玉鷺) 1점, 요대(腰帶) 1점, 도배(桃盃) 1쌍 등 5종 6점을 일괄 유물(一括遺物)로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326호로 지정되었다. 2019년 3월 기준 현충사관리소에서 보관하고 있다. 장검은 흔히...
-
충청남도 아산시 일원에서 전승되는 모내기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 「이앙요(移秧謠)」는 충청남도 아산시 일대 농군들이 모내기할 때 줄을 맞춰 일률적으로 모를 내는 율동을 하며 노동의 어려움을 극복하려고 자연스럽게 부르는 노래이다. 「이앙요」는 1983년 아산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아산군지』 상권에 수록되어 있다. 당시 채록자가 기록되어 있지 않아...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동화리 서봉골 뒷산에 있는 바위에 얽힌 이야기. 「장군바위」는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동화리에 살았던 이 진사의 아들 이야기이다. 이 진사의 아들은 생애 초반에는 못된 짓만 일삼다가 뒤늦게 깨달음을 얻어 죄를 뉘우치고 마을을 위난에서 구해 민중 영웅이 되었다. 그러나 이 진사의 아들은 결국 자신의 부모와 처를 잃고 뒤늦게 후회하였으며,...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에 있는 장수바위에 관한 이야기. 「장수바위」는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의 장수바위에 얽힌 이야기로, 온순하고 마음 착한 총각이 못된 지주의 꾀임에 안타까운 운명을 맞이했다는 이야기이다. 「장수바위」는 1997년부터 2000년까지 조사 수집된 내용을 토대로 2000년 12월 온양문화원에서 발간한 『온양아산 마을사』...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송곡리 남서쪽 금병산 끝자락에 있는 장자못에 관한 이야기. 「장자못의 전설」은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송곡리 금병산에 있는 장자못에 관한 이야기이다. 마을의 욕심쟁이 노인이 노승의 시주 주머니에 쇠똥을 가득 채우고 그 벌로 집과 문전옥답이 모두 연못으로 변했다는 이야기이다. 「장자못의 전설」은 1997년부터 2000년까지 현지...
-
충청남도 아산시 일원에서 각설이패들이 부르던 타령. 「장타령」은 충청남도 아산의 각설이패가 동냥하며 부르는 「품바타령」과 같으며, 장사꾼들이 사람을 끌어 모으기 위해 부르는 소리로 타령조의 민요이다. 「장타령」은 1981년 5월 2일 서대석이 송악면 마을로 현지 조사를 나가 양채원[남, 46세]으로부터 채록하여, 1982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
-
충청남도 아산의 지명·지형·자연물 등과 관련하여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 전설(傳說)은 구비문학(口碑文學)의 한 장르로서, 이야기의 구체적인 시간이나 장소가 드러나고 증거물이 있다는 특징이 있다. 증거물은 전설이 실제 있었던 사건임을 증명하는 매개체이다.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전해지는 전설은 아산 소재의 지역, 지형 등을 증거물로 지역민의 특별한 관심을 받는 대상이며,...
-
1930년대 충청남도 공주의 유학자 이병연이 간행한 전국 129개 군에 대한 지리지. 『조선환여승람』은 일제강점기인 1914년 일제가 식민지 통치의 필요성에 의하여 행정구역을 통폐합하자, 공주 유학자인 이병연이 전통적 읍지를 대체할 목적으로 전국 13도 229개 군 가운데 129개 군을 조사하여 편찬한 백과사전적인 지리서이다. 충청남도 공주의 유학자였던 이병연...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신달리 출신의 항일 독립운동가. 진수린(陳壽麟)[1898~1930]은 아산금융조합에 근무 중 공금을 빼돌려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로 탈출, 군자금으로 헌납했으며 대한민국임시정부 재산계 서기로 근무하였다. 1927년 11월 재중국본부 한인청년동맹이 창립될 때 중앙집행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28년 12월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 군자금 모집 임무...
-
충청남도 아산시 권곡동에 있는 천도교 교구. 천도교는 1860년에 최제우(崔濟愚)[1824~1864]가 창도(唱道)한 동학의 새 이름이다. 충청남도 아산에 동학이 전래된 때는 1880년대 초이며, 아산의 동학 교도들은 1894년 가을의 내포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하였다. 1905년 ‘천도교’ 개칭 이후에는 1908년 아산전교실로 출발하여 3·1운동과 무인멸왜기도운...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읍내리에 있는 학성산에 관한 산악 전설로 학성산의 지명 유래담이다. 「학성산의 전설」은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읍내리에 있는 학성산에 얽힌 이야기로 ‘학성산’이란 지명 유래에 관한 이야기이다. 충청남도 아산 지역은 차령산맥이 지나고 있어 크고 작은 산이 많다. 산은 신성한 곳으로 신비한 일이 일어나는 곳으로 여겨진다. 「학성산...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해암리의 형제송에 얽힌 이야기. 「형제송」은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해암리에 살았던 용감한 형제가 목숨을 바쳐 적군과 싸우다 죽어 소나무가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형제송」은 온양문화원에서 2001년 12월에 발간한 『온양아산 마을사』 제2권에 수록되어 있으며, 1997년부터 2001년까지 조사, 수집된 내용을 토대로 하여 기술...
-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송촌리에 있는 혼인바위와 관련한 전설. 「혼인바위」는 두메산골에 살아서 혼처를 구하기 힘들었던 노부부의 과년한 딸이 우연한 기회에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송촌리에 있는 혼인바위에 비를 피하면서 배필을 만났다는 이야기이다. 사랑을 주제로 하는 많은 이야기는 결실을 보지 못하는데, 「혼인바위」는 사랑의 결실을 담은 이야기이다. 「...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송곡리에 있는 홍도령 못에 관한 이야기. 「홍도령 못에 대한 전설」은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송곡리에 있는 연못에 얽힌 이야기로, 구렁이 홍도령의 신부가 시샘 많은 언니들의 수에 넘어가 구렁이 신랑과의 약속을 어기게 되어 스스로 연못에 빠져 죽자, 홍도령 역시 신부를 따라 연못에 빠져 죽었다는 비극적 사랑 이야기이다. 「홍도령...
-
충청남도 아산시 일원에서 화투놀이를 할 때 부르던 노래. 「화투풀이」는 충청남도 아산에서 화투놀이를 할 때 화투에 등장하는 열두 달 그림의 동물이나 꽃 등의 소재에 해학적인 가사를 붙여 흥겨움을 더하기 위해 부르는 소리이다. 「화투풀이」는 1981년 5월 2일 서대석이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마을로 현지 조사를 나가 양채원[남, 46세]으로부터 채록...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기곡리에 있는 황소고개에 관한 이야기. 「황소고개의 전설」은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기곡리로 들어가는 길목에 있던 고개에 관한 이야기로, 약한 인간을 대신하여 호랑이와 맞서 싸운 의로운 황소에 관한 이야기이다. 「황소고개의 전설」은 온양문화원에서 2000년 12월에 발간한 『온양아산 마을사』 제1권에 수록되어 있으며,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