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제2차 용인의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01150
한자 第-次龍仁義兵
영어음역 Je Icha Yongin Uibyeong
영어의미역 Second Righteous Army of Yongi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경기도 용인시
시대 근대/근대
집필자 김도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의병
발생(시작)연도/일시 1904년연표보기
발생(시작)장소 경기도 용인시

[정의]

1905년 을사조약을 계기로 경기도 용인 지역에 일어났던 의병 항쟁.

[역사적 배경]

1904년 2월, 일본은 러일전쟁을 일으키고, 한일의정서를 강제 체결시켰으며, 5월 말에는 제1차 한일협약을 체결하였다. 그리고 1905년 들어 일본은 청과의 봉천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자 한국의 식민지화를 노골화시켜 11월에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한국에 파견하여 을사조약을 체결하였다.

을사조약은 한국의 외교권을 일본의 외무성이 행사하고, 내정은 통감부를 두어 통감이 관할한다는 실질적인 식민지화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일제는 여기에 그치지 않았다. 1907년 7월, 헤이그 밀사사건을 구실로 고종을 강제로 퇴위시키고 정미조약을 체결하여 조선을 직접 지배하는 지배자로 등장하였다. 그리고 군대를 해산시켰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전국적으로 의병활동이 벌어졌다.

[목적]

제2차 용인의병은 러일전쟁, 을사조약, 정미조약, 그리고 군대해산 등으로 이어지는 일제의 식민지화 조처에 강력히 대처하기 위해 자생적으로 일어난 봉기이다. 의병들은 망국의 위기의식을 자각하고 국권을 회복하기 위해 일어났다. 또한 의병들은 일제 침략 세력에 기생하는 매판적 관료와 친일 주구 집단을 타도하기 위해 일어났다. 제2차 용인의병은 반일과 반봉건을 지향한다.

[발단]

1904년 한일협약을 체결하면서 정치·군사적 간섭과 지배의 근거를 마련한 일본은 경의·경원 철도를 부설하고, 일본군의 군수물자를 수송하기 위해 조선 농민들을 강제로 동원하였다. 즉 일제의 역부모집은 민중의 강력한 저항을 받아 민란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용인에서도 이러한 역부모집으로 민란이 발생하였다. 1904년 8월 20일, 일본 헌병 2명이 용인군수와 서기를 대동하고 강제로 용인군민들을 끌고 가자, 그날 밤 군민 4, 5천 명이 관아에 들이닥쳐 일제의 앞잡이 군수를 끌어내고 몽둥이와 돌멩이로 창문을 부수며 일제의 역부모집에 저항하였다. 이러한 항쟁이 곧 의병전쟁으로 발전하였다.

[경과]

1905년 4월말에서 5월초에 이인응은 포군과 농민 등으로 구성된 23명의 부하와 조총 11자루를 확보하고 양성군 삭령리에서 양지군 교곡, 용인군 굴암, 용인군 요산동 등지를 다니며 세력을 확대하고 군량을 확보하는 데 노력하였다. 그러나 죽산군에서 파견된 순초병 5명과 별순교 3명에 의해 13명은 체포되고 부대는 와해되었다.

이와 같은 시기에 죽산과 안산 등지에서 박석여 의병대장이 280여 명의 부하를 거느리고 충청도의 진천, 청안, 보은 등지로 세력을 넓혀가며 활동하였다. 그러자 일본 헌병사령부는 헌병대 파견시찰 이강호를 보내어 부대의 해산을 시도하였다. 이렇게 시작된 의병활동은 일제에 의한 고종의 강제 퇴위와 군대해산 정책 이후 의병전쟁으로 전환되었다.

용인지역에서도 1907년 7월 하순에 양지, 죽산 부근에 1천 명이 집결했을 정도로 활발한 의병활동이 벌어졌다. 이 시기 용인지역에서는 임옥여 의병부대, 정주원 의병부대, 이익삼 의병부대 등이 의병활동을 펼쳤다. 임옥여 의병부대는 일본군과 교전하는 한편, 우편취급소와 순사분파소를 습격, 파괴하는 등의 활동을 펼쳤다.

이익삼 의병부대는 1907년 봉기한 이래 1909년 6월 그가 체포될 때까지 항일 유격전을 전개하였다. 정주원 의병부대는 1907년 9월 봉기하여 1908년 5월까지 수백 명의 의병들을 이끌고 죽산·양지·수원·안성·당진·해미·면천 등을 누비며 일본군과 격전을 벌였다.

[결과]

제2차 용인의병 활동은 1908년(융희 2)부터 1909년 6월까지 지속되었다. 특히 용인군 모현면을 중심으로 한 용인군 북부지역이 주 활동무대였다. 의병부대는 일제 토지조사사업의 앞잡이였던 측량수를 응징하는 등 일제의 경제침략에 항거하기도 하였다.

용인의병들은 주변 의병부대들과 긴밀히 연락하며 위급한 상황에서는 서로 도움을 주고받았다. 이러한 용인지역 의병활동에 대해 일제는 끊임없는 토벌공세를 가하였다. 용인 지역 의병활동에 대한 일본의 조직적인 탄압은 1908년 10월경부터 시작되었다. 이 토벌작전에 일본군 보병 제51연대와 기병 제3중대가 참여하였다. 이로 인해 용인지역 의병활동은 큰 타격을 입었고 이후 용인지역의 의병활동은 산발적으로만 나타나게 되었다.

[의의와 평가]

제2차 용인의병의 투쟁목표는 기본적으로 일제의 침략에 대한 군사적 대응이었다. 따라서 이들은 일본 군대와 직접적 교전은 물론이고, 일제의 군사, 경찰 기구에 대한 기습적인 공격을 비롯하여 일제 식민통치기구와 친일세력에 대한 각종 형태의 투쟁을 전개했다는 점이다.

또한 제2차 용인의병은 경제적으로는 일제의 재정수탈에 반대하는 투쟁을 벌였다. 이를 위해 일제의 징세업무를 방해하고 그들로부터 탈취한 공전을 군자금으로 활용하였다.

의병활동에서 간과할 수 없는 점은 반일적 성격뿐만 아니라 반봉건적 성격과 계급적 이해관계가 나타난다는 점이다. 친일 세력화되고 있는 지주나 부호층에 대한 투쟁이 이를 증명한다. 절박한 시대상황 속에서 용인의병들은 처절한 반일, 반봉건 투쟁을 벌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