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900336
한자 日帝強占期
영어공식명칭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시흥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양훈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3월 30일 - 수암면 3.1운동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4월 4일 - 군자면 3.1운동

[정의]

일본 제국주의 식민지였던 1910년부터 1945년까지 경기도 시흥 지역의 역사.

[개설]

일제강점기 시흥은 서울 남서쪽 농촌 지역에 있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지역이 변화하였고, 면 중심의 식민지 행정 통제를 받았다. 1919년 3.1운동 때는 시흥의 주민들도 적극 만세 시위를 벌여 독립의 희망을 표출하였다. 하지만 식민지 지배가 계속되면서 70%가 지역 토박이인 시흥 농민들의 삶이 크게 나아지지는 않았다. 1937년 이후에는 일제의 전시 동원 체제가 강요되어 시흥 주민들의 삶은 더욱 힘들어졌다. 1920년대 중반부터 서쪽 바닷가에 조성된 군자염전소래염전으로 시흥은 염전의 고장이라는 이미지를 얻었다.

[행정구역과 인구의 변화]

일제는 1914년 조선의 지방 행정구역을 대대적으로 개편하였으며, 1917년부터 면을 지방 행정의 기본 단위로 삼는 면제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면의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안산군이 해체되어 몇 개의 면을 시흥군 군자면수암면으로 만들었고, 인천부의 일부 군은 부천군 소래면이 되었다. 시흥군 수암면군자면, 부천군 소래면은 이후 많은 변화를 거쳐 지금의 시흥시가 되었다.

수암면·군자면·소래면은 인천과 인접한 서해안의 한적한 농촌이었다. 1925년 인구 통계를 보면 수암면 8,377명, 군자면 9,708명, 소래면 7,664명이다. 1930년 이후 인구가 늘어났는데, 수암면의 증가율은 11.2%인데 비해 군자면은 23.8%, 소래면은 36.4%로 급증했다. 이들 지역의 인구 급증 이유는 군자염전소래염전이 건설되어 염부(鹽夫) 등 염전 관련 인구가 유입되고, 수리 시설이 확대되어 농업 생산 환경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다.

[3.1운동]

시흥 지역의 3.1운동은 1주일 전에 경성에서 다시 일어난 만세 시위의 영향으로 1919년 3월 30일 시작되었다. 1919년 3월 30일 오전 10시 수암면 19개 동리에서 모인 군중 2,000여 명이 수암리 비립동에서 만세 시위를 벌였다. 시위 당시 군중이 경찰관 주재소와 면사무소에 불을 지르려 하자, 류익수(柳益秀) 등의 인사가 나서 “독립이 되면 관공서는 국가 재산”이라며 만류하였다. 수암면에서는 이튿날인 3월 31일에도 만세 시위가 일어났고, 반월리에서도 만세 시위가 일어났다.

1919년 4월 4일 군자면의 여러 마을에서 모인 군중 수백 명은 군자면 거모리 경찰관 주재소 부근에서 만세 시위를 벌였다. 군자면 만세 시위는 사전에 마을에서 마을로 비밀 통문을 돌려 경찰관 주재소와 면사무소 습격을 목표로 하였다. 시위 당일 경찰이 시위 군중에게 발포함에 따라 습격을 실행하지 못했으나 시위 행진은 이어갔다. 4월 6일에는 군자면 장현리에서 만세 시위가 일어났다.

시흥의 만세 시위는 주도하는 조직이 별도로 없었는 데도 마을 간에 통문과 격문을 비밀리에 주고받으며 추진되었다. 그 이유는 시흥 주민들의 독립에 대한 열망이 그만큼 높았기 때문이었다. 1919년 3월과 4월에 걸쳐 이어진 시흥 지역의 만세 시위로 모두 37명이 투옥되었다.

[토지 조사 사업과 농촌 경제]

일제는 토지를 정확히 파악하여 통제하기 위해 1910년부터 토지 조사 사업을 벌여 1915년 마무리 지었다. 토지 조사 사업을 실시함으로써 토지의 근대적 소유권이 확정되었고, 토지 과세 체계가 근본적으로 바뀌었다. 일제의 토지 조사 사업을 통해 확정된 시흥 지역의 필지 수는 1만 9986필지, 면적은 1637만 9835평[약 5415만㎡]이었다.

일제강점기 시흥은 전형적인 농촌이었고, 이 지역의 농민은 70%가 태어나고 자란 면에서 평생 살아가는 농부였다. 소작농의 비율은 60%가량이었는데, 지주와 소작 관계는 1930년대 중반까지 점점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영세 자작농과 자소작농(自小作農)이 몰락해 소작인이 늘어나는 추세였다. 소작료는 수확량의 절반을 지주가 갖는 병작반수(竝作半收)였다. 시흥은 일본인의 토지 수탈이 적어서 일본인 지주와의 갈등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일제의 산미 증식 계획(産米增殖計劃)에 따라 시흥 지역에도 4개의 수리조합이 설립되었다. 소래수리조합이 1929년 세워졌고, 칠리제공려수리조합과 매화공려수리조합이 1939년, 흥부수리조합이 1942년에 각각 세워졌다. 4개의 수리조합은 시흥의 논을 수리안전답(水利安全畓)으로 바꾸어 농업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쌀 수확량 증가가 소작농이 많은 시흥 지역 농가 경제를 윤택하게 할 정도는 아니었다.

[염전의 조성과 운영]

시흥의 서쪽 바다를 막아 만든 군자염전은 1925년 완공되었다. 군자염전의 규모는 여의도 면적의 2배 정도인 575정보[약 570만㎡]에 이르렀다. 소래염전군자염전보다 10년가량 뒤인 1934년부터 1937년 사이에 조성되었다. 소래염전의 전체 면적은 549정보[약 544만㎡]였다. 군자염전소래염전은 양질의 천일염 산지로 각광을 받았다. 군자염전소래염전의 조성은 시흥의 지도를 바꾸어 놓았다. 또한 한적한 농촌 지대였던 시흥이 염전의 고장처럼 인식되게 하였다. 염전의 조성과 운영 과정에서 많은 외지 인구가 시흥으로 유입되었다.

[일제 말기의 동원 체제]

1937년 일제가 중일전쟁을 일으키면서 조선은 전시 동원 체제하에 들어갔다. 전시 동원의 단위는 면이 중심이었다. 미곡 통제 조합, 목탄 통제 배급 조합, 목재 판매 통제 조합 등 식량과 연료, 자재를 통제하는 경제 통제 조합이 면 단위로 조직되었다.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國民精神總動員朝鮮聯盟)이 발족하면서 시흥의 각 면과 하위 부락에도 국민정신총동원연맹이 조직되었다.

청년단도 면별로 결성된 데 이어 1938년에는 근로보국대(勤勞報國隊)도 만들어졌다. 근로보국대는 노동력을 동원·착취하는 명분이었다. 주민의 성금으로 애국기(愛國機)를 헌납하자는 관제 운동도 벌어져, ‘시흥호’라는 이름의 비행기를 헌납하기 위한 강제 모금도 이루어졌다. 강제 징병과 징용, 노동력 동원과 각종 공출, 헌금 부담이 가중되면서 시흥 지역 주민들의 삶은 더욱 고달파졌다. 일제는 1940년부터 창씨개명(創氏改名)을 강요해 정신적인 고통까지 안겨 주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