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쥐바위와 괭이바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101891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집필자 박종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5년연표보기 - 『서산의 지명사』에 수록
관련 지명 쥐바위·괭이바위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지도보기
성격 전설|풍수담
주요 등장 인물 쥐|고양이
모티프 유형 명당 파손

[정의]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에서 쥐 형국과 고양이 형국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채록/수집 상황]

2005년 이은우가 집필하고 서산시에서 발행한 『서산의 지명사』에 수록되어 있다. 필자는 이 자료가 2002년 서산문화원에서 간행한 『스산의 숨결』 212에 게재되어 있다고 밝히고 있다.

[내용]

운산면 용현리 일대에는 쥐바위괭이바위에 얽힌 이야기가 전한다. 쥐바위용현리 돌무더기에서 용현교를 건너 50m 지점 길옆에 있다. 이 바위는 크기가 큰 소만하다. 그리고 이 쥐바위가 있는 곳의 개울 건너 산 밑에 뾰족하게 솟은 바위가 있는데, 이를 괭이바위라고 한다. 쥐바위괭이바위 사이에는 옛날 놓았던 돌다리의 흔적이 남아 있는데, 이를 구름다리라고 한다.

옛날 쥐바위괭이바위 사이에는 개울이 있어 두 지역이 모두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풍수상 쥐 형국과 고양이 형국 사이에 개울이 가로막고 있어 쥐의 장소가 안정을 취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마애불이 있는 골방사(骨放寺)를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개울에 돌다리를 놓게 되었다. 하지만 이렇게 돌다리를 놓은 뒤 이 일대의 사찰이 대부분 쇠퇴하여 문을 닫기에 이르렀다.

사람들은 이러한 일이 쥐바위괭이바위 사이의 개울에 돌다리를 놓은 때문이라고 한다. 개울에 돌다리를 놓음으로써 괭이가 다리를 건너 넘어와 쥐를 잡아먹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리하여 쥐 형국의 지기가 쇠하고 또한 그곳에 위치한 사찰이 문을 닫기에 이른 것이라는 풀이이다.

[모티프 분석]

「쥐바위와 괭이바위」의 주요 모티프는 명당 파손이다. 「쥐바위와 괭이바위」는 쥐와 고양이 명당의 상호 관계를 보여 주고 있는데, 쥐와 고양이는 상호 분리되어 있어야 상생할 수 있다. 비슷한 예로 노루 형국과 호랑이 형국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들 형국은 사이에 시내가 가로막고 있어야 약자가 안전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들의 편이를 위해 두 공간을 연결한다. 이는 일종의 명당을 파손시키는 행위가 되고, 풍수상 해석 관점에서는 약자가 망하게 되는 원인을 제공한 것으로 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