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100926 |
---|---|
한자 | 體澄 |
영어음역 | Chejing |
이칭/별칭 | 보조(普照),창성(彰聖) |
분야 | 종교/불교,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종교인 |
지역 | 충청남도 서산시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
집필자 | 이해준 |
출생 시기/일시 | 804년 - 체징 생 |
---|---|
활동 시기/일시 | 827년 - 보원사에서 구족계를 받음 |
활동 시기/일시 | 837년 - 정육, 허회와 당나라 유학 |
활동 시기/일시 | 840년 - 귀국 |
활동 시기/일시 | 859년 - 무주 황학난야로 옮김 |
활동 시기/일시 | 859년 10월 - 보림사로 옮김 |
활동 시기/일시 | 860년 - 비로자나불 제작 안치 |
활동 시기/일시 | 861년 - 보림사 중창 |
몰년 시기/일시 | 880년 - 체징 졸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63년 1월 21일 - 보림사 보조선사창성탑이 국보 제157호로 지정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63년 1월 21일 - 보림사 보조선사창성탑비가 국보 제158호로 지정 |
출생지 | 웅진 - 충청남도 공주시 |
학교|수학지 | 보원사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
활동지 | 보림사 -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로 224[봉덕리 45] |
성격 | 승려 |
성별 | 남 |
[정의]
통일 신라 시대 서산에 있었던 보원사에서 구족계를 받은 승려.
[가계]
속세의 성은 김씨로 웅진[충청남도 공주]의 명망 있는 가문 출신이다.
[활동 사항]
체징(體澄)[804~880]은 7~8세 때 불가에 뜻을 두어 어린 나이에 출가하였다. 화산(花山) 권법사(勸法師) 밑에서 불경을 공부하였으며, 24세 때인 827년(흥덕왕 2) 서산의 가량협산[현 가야산] 보원사에서 구족계를 받고 불교 교단에 입문하였다. 그 뒤 설악산 억성사에 있던 염거선사(廉居禪師) 밑에 들어가 정진하여 법인(法印)을 받았다. 837년(희강왕 2) 동학인 정육(貞育), 허회(虛懷)와 함께 당나라로 건너가 여러 고승들을 만나 공부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조사(祖師)[어떤 학파를 처음 세운 사람]인 도의선사(道義禪師)가 물려준 법 외에 더 구할 것이 없고, 참선하는 법 또한 멀리서 찾을 것이 아니라며 840년(문성왕 2) 귀국하였다.
고향에서 불법을 설파하다가 859년(헌안왕 3) 무주[광주(光州)] 황학난야(黃壑蘭若)로 옮겼다. 헌안왕이 체징의 명성을 듣고 궁으로 불렀으나 거절하였다. 하지만 왕이 재차 전라남도 장흥의 가지산 보림사로 옮길 것을 청하자 그곳으로 가서 불도를 가르쳤다. 860년(헌안왕 4) 부수(副守) 김언경(金彦卿)이 보림사에 들어와 많은 재산을 시주하여 비로자나불을 안치하였다. 861년(경문왕 1) 왕의 지원과 전국에서 시주한 재물로 절을 중창하였다. 880년(헌강왕 6) 문인들에게 임종게(臨終偈)를 남기고 77세의 나이로 입적하였다.
[사상과 저술]
체징은 통일 신라 말기 9산선문(九山禪門) 중 하나인 가지선문(迦智禪門)을 실질적으로 일으킨 주역이다. 가지선문은 통일 신라 때 중국에서 달마의 선법(禪法)을 전수해 그 문풍을 지켜 온 선종 아홉 선문 중 제1선문으로, 전라남도 장흥군에 있는 가지산 보림사를 중심으로 일어났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보조(普照), 탑호는 창성(彰聖)이다.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에는 보림사 보조선사창성탑(寶林寺普照禪師彰聖塔)[보물 제157호]과 김영(金穎)이 세운 보림사 보조선사창성탑비(寶林寺普照禪師彰聖塔碑)[보물 제158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