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100734 |
---|---|
한자 | 古墳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남도 서산시 |
집필자 | 이남석 |
[정의]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 있는 선사 시대에서 조선 시대에 이르는 무덤.
[개설]
고분은 과거 사회에서 죽은 이를 위해 수행된 매장 의례 행위의 결과로 남겨진 물질적인 증거이다. 엄밀한 의미에서는 역사·고고학적으로 의미를 갖는 경우에 국한한다. 넓은 의미에서 선사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의 옛 무덤을 가리키지만, 일반적으로 고대 국가가 성립되는 삼국 시대의 고총 고분을 의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일부 통일신라 시대의 지배층 무덤까지 포함한다.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의 무덤은 분묘나 민묘로 부르는데, 고고학적 연구 자료로서 가치가 있는 경우 고려 시대 이후의 무덤도 옛무덤이라는 의미에서 고분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죽은 사람을 위해 무덤이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은 구석기 시대이며, 구체적으로 무덤의 예가 확인되기 시작한 시기는 신석기 시대부터이다. 특히 청동기 시대부터 고인돌·석관묘·옹관묘 등의 다양한 종류의 무덤이 확인된다. 초기 철기 시대에는 토광묘의 형태로 확인되고, 이후 삼국 시대에 들어서면서 토광묘, 분구묘, 횡혈식 석실분, 횡구식 석실분, 석곽묘 등으로 다양하게 조영되기 시작하였다.
[분류 및 내용]
서산 지역에서 확인된 고분은 선사 시대의 경우 고인돌과 석관묘가 있으나 그 수량은 많지 않다. 서산 지역에서 고분의 존재가 매우 밀집되게 확인되는 시점은 백제 시대 초기부터인데, 특히 초기 국가 시대부터 백제 시대에 들어서면서 서산 지역의 대표적인 묘제로 분구묘가 확인된다. 이 분구묘는 중앙과는 차별화되는 묘제로서 대로리 명지 고분, 서산 부장리 고분군, 기지리 유적, 언암리 유적, 예천동 유적, 여미리 유적 등지에서 발굴·조사되었다. 일반적으로 백제 묘제는 조영 방식에 따라 토광묘 계열, 석곽묘·석실분 계열, 옹관묘 계열, 그리고 특수형으로 분류되며, 세부 형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분이 가능하다. 이러한 백제 고분의 전개는 초기 묘제의 다양성에서 점차 횡혈식 석실분으로 통일된다는 특징이 있다.
서산 지역에서 발굴 조사된 백제 시대 고분은 한성기와 웅진기·사비기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한성기의 분구묘·토광묘 중심 묘제에서 웅진기·사비기의 석곽묘와 석실분의 출현으로 크게 정리된다. 한성기 서산 지역에서 확인된 고분 가운데에서도 특히 분구묘를 중심으로 하는 재지 묘제 전통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면서, 백제 토기와 중앙의 위세품 등 관련 유물이 부장되는 모습을 보인다. 웅진기·사비기에 이르러서는 횡혈식 석실분과 횡구식 석실분이 조영되면서 더 이상 분구묘의 존재는 확인되지 않는다. 이는 지방 사회에 다양한 형태로 존재했던 고분 문화가 백제 중앙에 의해서 횡혈식 석실분으로 통일되어 가는 모습으로 이해할 수 있다.
통일신라·고려 시대의 고분은 횡구식 석실분의 형태로 확인되는데, 그 존재가 희박하다. 반면에 조선 시대 고분은 회곽묘와 토광묘로 정리될 수 있는데, 대부분 토광묘의 형태로 확인된다. 특히 통일신라·고려 시대의 고분이 소규모로 조영되는데 비하여, 조선 시대 고분은 대단위의 유적군을 이루어 조영되는 모습으로 확인된다.
[특징 및 의의]
서산 지역에서 확인된 고분은 청동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조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분의 조영 주체에 따라서 특징적인 모습을 보이는데, 청동기 시대는 고인돌과 석관묘의 형태로 확인되는 데 비하여, 초기 국가 시대부터 백제 시대에 이르러서는 분구묘라는 특징적인 형태로 고분이 조영되었다.
특히 백제 시대 고분은 한성기와 웅진기·사비기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한성기에는 서산 지역의 재지적 묘제 전통이 강하게 확인되는 분구묘가 중심 묘제를 이루면서, 백제의 한성 양식 토기와 위세품이 다수 부장되는 모습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반면에 웅진기·사비기에 이르러서는 중심 묘제가 백제 중앙의 횡혈식 석실분으로 일원화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후 묘제의 특징은 일반적인 시대사적 흐름과 크게 구분되지 않는다.
서산 지역에서 확인되는 고분 문화 가운데 한성 백제기 독창적인 묘제의 존재 특성과 변화상을 통하여 이 시기 서산 지역의 독자적인 문화상을 추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웅진기·사비기 백제 중앙에 의한 지방 사회의 통제 모습을 적극적으로 살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서산 지역의 다양한 고분 문화는 지방 사회의 독자성과 더불어 중앙과의 관계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이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