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세종연구소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101305
한자 世宗硏究所
영어공식명칭 The Sejong Institute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대왕판교로851번길 20[시흥동 234]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경용조남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86년 1월 18일연표보기 - 일해재단 부설 평화안보연구소 설립
개칭 시기/일시 1986년연표보기 - 일해재단 부설 평화안보연구소에서 일해연구소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88년 5월연표보기 - 일해연구소에서 세종연구소로 개칭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6년 9월 - 세종연구소의 법인명을 재단법인 일해재단에서 재단법인 세종재단으로 개편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5년 6월 - 세종연구소의 법인명을 재단법인 세종재단에서 재단법인 세종연구소로 개칭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6월 - 세종연구소의 법인명을 재단법인 세종연구소에서 세종 재단법인으로 개칭
최초 설립지 일해재단 부설 평화안보연구소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대왕판교로851번길 20[시흥동 234]
현 소재지 세종연구소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대왕판교로851번길 20[시흥동 234]지도보기
성격 국책 연구기관
설립자 재단법인 일해재단
전화 031-750-7500
홈페이지 세종연구소(http://www.sejong.org)

[정의]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시흥동에 있는 국책 연구 기관.

[개설]

세종연구소는 외교·안보·통일 및 국제정치 등의 분야에 대한 연구 활동을 수행하는 민간 공익 연구기관으로 중장기적인 국가전략과 정책대안을 개발하고, 국가안보의 현안 및 과제 등을 연구하고 있다.

[설립 목적]

세종연구소는 대한민국의 안전과 남북통일 및 대외관계에 필요한 연구와 교육·연수를 통해 나라와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변천]

1983년 10월 버마 아웅산묘소 폭발사건을 계기로 정재계 지도급 인사들이 주도하여 재단법인 일해재단[초대 이사장 최순달]을 설립하고, 1986년 1월 18일 일해재단 부설 평화안보연구소[초대 연구소장 김기환]를 세운 것이 세종연구소의 모태이다. 개소 직후 명칭을 일해연구소로 변경했다가 1988년 5월 세종연구소로 다시 변경하였다. 1996년 9월 재단법인 세종재단 부설 세종연구소로 재편하였다. 2008년 11월 공로명 이사장이 취임하였고, 2009년 1월 송대성 연구소장이 취임하였다. 2011년 11월 권철현 이사장이 취임하였다. 2015년 2월 박준우 이사장이 취임하였다. 2015년 6월 진창수 연구소장이 취임하였다. 2015년 6월 법인 명칭을 재단법인 세종연구소로 변경하였다. 2018년 2월 백종천 이사장이 취임하였다. 2018년 6월 백학순 연구소장이 취임하였다. 2021년 2월 문정인 이사장이 취임하였다. 2021년 6월 이상현 연구소장이 취임하고 세종 재단법인으로 변경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세종연구소는 안보와 통일, 외교정책 분야의 중장기적인 국가전략과 정책대안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국내외 저명인사와 연구자들을 초청하여 강연 및 세미나를 다양하게 개최하고 있으며, 연구 사업을 보완하고 독창적인 전문 연구 분야를 개척하기 위하여 외부의 우수 전문 인력을 연구 사업에 참여시키는 객원 연구위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1999년에 한반도 안보 정책을 연구하는 안보연구실, 대북정책과 통일 문제를 연구하는 남북한관계연구실, 중·일·미·러 등 주변 4개국에 대한 연구를 하는 지역연구실, 국제사회의 정치경제적 이슈를 분석하는 국제정치경제연구실로 체제를 정비하여 분야별 중장기 정책 연구를 수행함과 동시에 긴급한 안보 문제와 국제 정세에 대한 정책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2007년에는 중장기 정책 연구[단독 연구]로 안보연구실에서 북한의 WMD 개발 대응 방안을 연구하였으며, 남북한관계연구실과 지역연구실, 국제정치경제연구실 등에서 15개 과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단기 정책 연구[정책 과제]로 안보연구실의 한국 안보의 현안 과제 및 남북한관계연구실, 지역연구실 등에서 7개의 현안을 연구하였다. 2009년에는 중장기 정책 공동 연구로 주변국 외교 환경의 변화와 한국의 외교 안보, 주변 4강의 한반도 정책 결정 메커니즘-제도와 과정,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와 한·미 동맹의 조화와 갈등-쟁점 분석을 수행하였고, 종합 연구로는 북한의 당·정·군 관계, 중장기 정책 단독 연구로 미국의 세계 전략 변화 전망 외 23개 연구를 진행하였다.

2021년 연구·정책 성과물로 ‘세종정책총서’ 2권, ‘국가전략’ 4권, ‘세종정책연구’ 시리즈 9건을 발간하였으며, E-출판물로 ‘세종정책 브리프’ 총 22편, ‘정세와 정책’ 총 46편, ‘세종논평’ 16편, ‘세종영상 브리프’ 68편을 생산했고, 3회의 국내 학술회의와 총 10회의 세종정책 포럼, 13회의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하였다.

[현황]

2023년 기준 세종연구소는 이사장[문정인]과 9명의 이사진, 연구소장[이상현]과 2명의 부소장[연구 및 교육 담당 부소장, 대외협력 부소장] 체제 아래 3개 연구실[외교전략연구실·안보전략연구실·통일전략연구실], 8개 센터[교육연구원·동아시아협력센터·북한연구센터·미국연구센터·국가정보 및 사이버안보연구센터·중국연구센터·일본연구센터·인도태평양연구센터·국방연구센터]로 운영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