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초감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1635
한자 初監祭
이칭/별칭 초강제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집필자 강경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제차|무속 의례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 지역에서 행해지는 모든 굿의 첫머리에 신들을 청해 들여 제장에 모시는 제차인 청신의례(請神儀禮).

[개설]

초감제는 초감제(初監祭) 또는 초강제(初降祭) 두 가지로 풀이할 수 있다. 굿을 할 때 수심방을 감상관(監床官)이라 하므로, 초감제는 ‘처음으로 감상하는 제’ 또는 ‘감상관이 처음으로 집행하는 제’가 된다. 한편 초강제는 처음으로 신을 내려오게 하는 강신제라는 뜻이다. 큰굿에서는 옥황상제 이하 눌굽지신까지 모든 신을 청하고, 작은 굿이나 큰굿의 다른 제차에서는 해당 신만 청한다.

[절차]

초감제는 먼저 마당에 큰대를 세우고 그 큰대와 집안에 마련한 당클[굿을 할 때 마루 상방에 마련한 제붕(祭棚)] 사이를 무명으로 연결시키는데 이를 신다리[神橋]라 한다. 큰대는 신을 하강시키는 우주목이며, 신다리는 신이 제장으로 행차하는 통로를 뜻한다. 초감제의 청신 내용은 왜 굿을 하게 되었는지의 연유를 신에게 기원하고, 신의 의사를 인간에게 전달하는 굿의 앞풀이로, 각 제차마다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 초감제는 정장한 수심방이 4배를 한 후 무가를 창하고 춤을 추며 의례를 집행하는데, 소제차와 진행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베포도업침

천지 혼합으로부터 천지개벽의 상황을 노래한다. 자연과 인문 사상의 모든 발생을 차례차례 춤을 섞어 가며 노래한다. 자연 현상의 발생을 노래하는 부분을 ‘베포친다’라고 하고, 인문 현상의 발생을 노래하는 부분을 ‘도업친다’라고 한다. 이것은 굿하는 장소를 신에게 해설해 올리기 위하여 태초의 일부터 소급하여 설명을 시작하는 것이다.

2. 날과 국 섬김

굿하는 날짜와 장소를 설명한다.

3. 집안 연유 닦음

굿하는 딱한 사연을 신에게 간절하게 아뢴다.

4. 군문 열림

여러 신이 하강하려면 신궁의 문을 열어야 하기 때문에 그 문을 여는 대목을 연출한다. 심방이 맹렬한 도랑춤을 추고 문을 연다.

5. 산받아 분부사룀

신문(神門)을 연 후 심방이 점을 쳐서 군문이 잘 열렸는지 여부를 제주(祭主)에게 전달한다.

6. 주잔넘김

굿 한 차례가 끝날 때마다 신을 따라오는 잡신과 군병들에게 술을 대접하는 제차이다. 이것은 굿 한 차례가 끝났음을 알리고 다음 제차를 예고하는 역할도 한다.

7. 새림

신이 하강하는 길에 있는 모든 새[邪]를 쫓는다.

8. 신청궤

신들을 청하여 오리정까지 정중히 모셔오는 제차이다. 심방은 ‘젯리’ 순으로 신들을 내려오도록 청한다.

9. 정대우

오리정까지 온 신들을 심방이 업어 들여 제상에 차례대로 앉히는 제차이다.

10. 산받아 분부사룀

신들이 즐겁게 제상에 와서 앉았는가 여부를 점치고 그 상황을 제주에게 전달한다. 심방이 노래와 춤으로 이상과 같은 순서로 거행하고 다음 제차로 넘어간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