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광복 전후 국군 양성 배출 공간, 제주 구 육군 제1훈련소 지휘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0014
한자 光復戰後國軍養成排出空間-濟州舊陸軍第-訓練所指揮所
이칭/별칭 모슬포 훈련소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용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31년 3월 - 항공 기지 건설시작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50년 - 육군제1훈련소 창설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51년 - 육군제1훈련소 이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56년 - 육군제1훈련소 해체
제주 구 육군 제1훈련소 지휘소와 정문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3370번지지도보기

[개설]

제주 구 육군 제1훈련소 지휘소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일대에 한국전쟁 발발 후 신병 교육을 위하여 설치한 육군 제1훈련소를 지휘 통제하던 전쟁 관련 시설이다.

[다크 투어리즘의 현장으로 가다]

서귀포 시내에서 서쪽으로 30여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모슬포는 제주도에서도 손꼽히는 경치를 자랑하는 곳이다. 산방산 남쪽의 좁은 고개인 황우치를 지나면 제주도에서는 보기 드물게 넓은 평야 지대가 나온다. 그 평야 지대의 중심이 모슬포이다. 일제 강점기 대정면 소재지가 된 후 지금까지 서귀포시 서부의 중심 마을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모슬포에 들어서게 되면 서귀포는 물론 제주 섬 어디에서도 보기 어려운 군사 시설을 접하게 된다. 시가지로 들어가는 길목과 오름 위, 마을 주변 곳곳에 일제 강점기 때부터 만들어진 시설들이 배치되어 있다. 이는 제주 섬이 갖는 지정학적 위치에서 보면 어쩌면 자연스러운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일제는 중국 본토 침공을 위한 중간기지 필요성에서 1931년부터 군사 시설을 설치하였고, 해방 직전에는 미군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한 시설들을 추가한 것이다. 해방 직후 미군에 의하여 일제의 무기들은 해체되었으나 많은 시설들이 그대로 사용되어, 1946년 조선경비대의 주둔지가 되었고, 1951년도에는 육군 제1훈련소로 사용되었다. 이 역시 한국전쟁의 영향으로 병력의 안정적인 투입을 위한 신병 훈련 공간의 필요성에서 나온 것이다. 1956년 1월 훈련소가 해체될 때까지 50만 명 정도가 배출되었으며, 많을 때는 80,000명까지 입소하였기 때문에 부대가 서귀포 상효동까지 확대되기도 하였다.

지금도 강병대 정문 기둥, 강병대 교회[교회는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 태권도 발상단[일명 주먹탑] 등의 우리나라 육군의 유적이 남아 있다. 또한 격납고·통신시설·활주로 등 일제 강점기의 흔적이 남아 있어 ‘다크 투어리즘’의 현장으로는 최적지로 꼽힌다.

모슬포 유적을 볼 때마다 오키나와를 떠올린다. 오키나와는 1945년 봄, 미군과 일본군의 전쟁 과정에 주민 20여만 명이 희생된 역사적 경험이 있는 곳이다. 제주도도 오키나와와 유사한 사례이다. 단지 제주에서 본격적인 전쟁이 벌어지지 전에 일제가 항복함으로써 그 화를 면하게 된 것일 뿐이다. 역설적으로 전쟁을 준비하던 군사 시설이 인간에게 평화의 소중함을 가르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제주 지역의 예술가들도 전쟁 관련 유적을 활용한 전시회를 개최한다. 지금도 알뜨르 비행장 격납고 앞에 일제의 제로센 비행기 작품이 전시되어 있어 탐방객들을 맞이하고 있다.

[제주 구 육군 제1훈련소의 어제와 오늘]

일제는 1926년 군사 목적의 제주시 산지항 축항 공사를 시작으로 제주도에 군사 기지를 계속 설치하였다. 모슬포에서는 1931년 3월부터 항공 기지를 건설하기 시작하여 5년간의 공사로 약 60만㎡의 넓이에 1,400×70m의 활주로를 갖춘 알뜨르 비행장을 준공 하였다[이에 대해서는 1926년부터 공사가 시작되었다는 견해도 있어 심층 조사가 필요하다]. 이 공사로 인하여 인근의 자연 마을인 저근개마을과 못마을 등이 소멸하였다. 1937년 8월 전면전으로 확대된 중일전쟁으로 일제는 중국 난징에 대한 항공 폭격을 시작하였는데, 일본 본토 나가사키현 오무라 항공기지에서 이륙한 항공기가 난징을 공격한 후 알뜨르 비행장으로 돌아오는 경로로 이용하였다. 난징 공습이 성공한 후에는 오무라 항공대가 알뜨르에 주둔하여 제주도가 중국 항공 공격의 거점으로 이용되었다. 또한 알뜨르 비행장을 약 40만 평으로 확대하는 확장 공사가 시작되었다.

1937년 11월 오무라 항공대가 중국 상하이로 옮겨가게 되자 제주도 항공 기지는 비행 연습장으로 이용하였다.

1944년 10월에는 일제가 전세가 불리해지자 알뜨르 비행장을 220만㎡로 확장하는 공사를 계획하였다. 이 건설에는 제주도는 물론 육지부의 민간인들이 강제 노동에 동원되어 고된 노동에 시달려야 했다. 증언에 따르면, 알뜨르 비행장의 확장 공사에 하루 4,500여 명의 노동자가 동원되었다고 한다.

해방 이후 일제에 의해 건설된 군사 시설들은 미군정에 의해 파괴되었으나 몇몇 시설들은 재사용하였다. 육군 제1훈련소 지휘소도 오무라 항공대 건물을 재사용한 사례이다. 해방 후 오무라 항공대 건물은 대정공립초급중학교가 개교되어 사용되기도 하였다. 대정공립초급중학교는 1946년 11월 8일 오무라 항공대의 군인 막사 8동을 개조하여 개교하였으나, 1947년 국방경비대 제9연대가 모슬포에 창설·주둔하게 되면서 학교를 옮긴다.

원래 육군 제1훈련소는 대구에서 창설된 부대였다. 1950년 7월 11일 제25교육연대가 창설되었는데, 바로 다음 날 경북편성관구사령부 제7교육대로 개칭되었고, 8월 14일에 비로소 국본 일반명령(육) 제46호로 육군본부 직할 육군 제1훈련소로 재창설되었다. 8월 21일에는 육군본부 직할에서 해편되어 육군 중앙 훈련 본부에 속하게 되었으며 8월 26일에는 제1·제2·제3·제5·제6·제7·제8·제9교육대의 편성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까지는 대구에서의 편성이며 명칭과 편제가 급하게 바뀌는 것은 당시 정황이 급박했던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쟁 중 전방에서 사상자가 급증하면서 병력이 부족해지자 안정적인 병력 보충 필요성이 부각되었고, 후방의 안정적인 훈련소가 필요하여 훈련소를 제주도로 이동하게 된 것이다. 이는 중국의 참전으로 인하여 전황이 불확실해졌기 때문이다. 뒤이어 논산의 제2훈련소와 거제도의 제3훈련소가 추가 설치되었다. 초기 훈련 기간은 16주였으나 3주로 단축되기도 하였으며, 때로는 3주도 채우지 않고 전방으로 투입되는 경우도 있었다.

초기에는 하루 500명 정도가 입소했으나, 전방의 전투가 한창 치열할 때는 동시에 8만 명 정도의 병력이 입소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당연히 부대의 규모도 확대되었는데, 안덕과 화순, 서귀포까지 확대되었다. 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에 제1숙영지, 상예동에 제2숙영지, 하원동 법화사에 제3숙영지, 상효동에 제5숙영지를 설치하여 신병을 훈련시켰다. 또한 안덕면 서광리에는 하사관 교육연대 제1숙영지를 설치하여 중간 간부를 육성하였다. 그러나 한국전쟁이 끝난 후 교통의 불편 등으로 해체되었다.

[제주 구 육군 제1훈련소의 재현 공간]

1. 육군 제1훈련소 정문

훈련소 입구 일주 도로 좌우측에 각 1개의 기둥을 세웠으며, 지금도 남아 있다. 높이 7.8m, 기둥 사이 17m이다.

2. 육군 제98병원

훈련소 장병들의 질병이나 부상을 치료하기 위한 병원이다. 현재 대정여자고등학교 부지인 대정읍 하모리 1363번지이다. 정문 기둥이 남아 있다.

3. 강병대 교회

1952년 1월 10일 부임한 장도영 소장이 재임 시 건립하였다. 1965년부터 공군부대의 교회로 이용되고 있으며 지금도 원형이 남아 있다.

4. 육군 제29사단 창설지

1953년 9월 최홍희 준장을 사단장으로 하여 창설된 부대이다. 이 부대는 태권도를 보급한 부대로써 지금도 태권도의 발상지라는 근거가 되고 있으며, ‘발상단(發祥壇)-상모리 주먹탑’이 세워져 있다.

5. 임시 공군사관학교

1951년 2월 1일부터 4월 23일까지 대정읍 상모리 대정초등학교에 개설하였다. 이곳에서 1,073명의 생도가 수료하였다. 이를 기념하여 1987년 9월 30일 교정에 공군사관학교 훈적비가 세워졌고, 1995년 9월에는 대정초등학교와 공군 제8546부대 및 공군사관학교가 자매 결연을 맺어 매년 졸업식에서 공군사관학교 교장상과 장학금을 수여하고 있으며, 2008년 개교 100주년 때는 6학년 전체가 공군사관학교의 초청으로 육지부로 수학여행을 떠나기도 하였다.

6. 중국군 포로수용소

한국전쟁 기간 중에 포로가 되었던 중국군이 수용되었던 곳으로, 지금은 대정읍 상모리 산이수동에 석축 윤곽이 남아 있다.

7. 육군 제1훈련소 군예대

1951년 말 창설되었으며, 「전우가」·「제1훈련소가」 등을 만들었다. 군예대의 모체가 서라벌 악단으로 유호·박시춘·황금심·신카나리아·주선태·구봉서 등 한 시대를 풍미했던 유명인들이 다수 포진하고 있었다.

[평화의 성지로 발전하는 모슬포]

현재 육군 제1훈련소 지휘소와 정문는 등록문화재 제409호로 지정되어 문화재청의 관리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해군 부대 내에 있어 일반인의 출입은 자유롭지 않다.

과거 육군 제1훈련소의 창설은 피난민의 증가와 더불어 지역 주민들에게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즉, 피난민은 지역 주민에게 경제적 수입원과 선진 문화의 전수자 역할을 한 것이다. 인구 증가로 인하여 ‘굴묵방[난방을 위하여 집 밖에 만들어진 작은 공간]’, ‘쇠막방[외양간]’ 등이 주거용이 되었으며, 훈련병들이 몰래 가지고 나오는 군복이나 양말 등의 군용 물품들이 유통되어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졌던 것이다.

이처럼 육군 제1훈련소를 비롯하여 서귀포시 대정읍 모슬포 지역에는 일제 강점기부터 한국 전쟁기를 거치면서 수많은 군사 유적지가 남아 있는 곳이다. 즉, 진지 갱도, 격납고, 제주4·3사건 학살터가 있으며 육군 제1훈련소의 각종 시설물과 흔적들이 곳곳에 남아 있다. 그리고 유적지에는 지역 주민은 물론 육지부 강제 징용자의 한과 눈물이 스며 있으며, 열악한 조건에서도 훈련을 받고 전장으로 나갔던 사람들의 숭고한 정신이 살아 있다. 또한 제주 4·3사건의 아픔도 생생하게 살아 있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현재 육군 제1훈련소 연병장 입구에는 대정역사문화연구회에서 2007년 건립한 ‘평화의 터’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이런 아픔을 평화의 이름으로 담아내어야 할 것이다. 다크 투어의 대표적인 현장으로···.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