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601541
한자 鄕校
영어음역 hyanggyo
영어의미역 county school
이칭/별칭 교궁,재궁
분야 종교/유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남원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송화섭

[정의]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된 관학 교육기관.

[개설]

우리나라 각 지방에 관학 교육기관이 설치된 것은 고려 이후이다. 고려는 중앙집권체제를 강화하기 위하여 3경(京) 12목(牧)을 비롯한 군현에 박사와 교수를 파견하여 생도를 교육하게 하였는데, 이것이 향학(鄕學)의 시초이다.

남원 지역에 향교가 들어선 것은 조선 초기인 1410년(태종 10)으로, 태조 이성계의 향교 설치령에 의해서였다. 이때 들어선 것이 남원향교운봉향교이다. 향교는 조선시대에 지방재정으로 설치, 운영된 지방의 중등 교육기관으로, 일명 교궁·재궁이라고도 하였다.

향교에서는 유생들을 교육하기 위해 교수(교수, 종6품), 훈도(종9품), 학장(품계 없음)의 세 교직원을 두어 고을의 크고 작음에 따라 교육자수를 조정하여 적절히 배치하였다. 향교에 입학할 수 있는 유생은 이미 한문을 익힌 양반 자제들로 되어 있으나 평민의 자제들도 입학할 수 있었다.

향교 입학 정원은 부(府)·목(牧)에 있는 향교는 90명, 군(郡)에 있는 향교는 50명, 현에 있는 향교는 30명으로 되어 있다. 향교에서는 『소학(小學)』·『논어(論語)』·『맹자(孟子)』·『대학(大學)』·『중용(中庸)』·『근사록(近思錄)』 등 유교에 관련된 교과목만을 강의하였으며, 소과(小科)에 응시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과정이었다. 그러나 향교는 조선 중기 임진왜란의 변란과 사학 교육기관인 서원의 발흥으로 인해 교육 기능이 점차 쇠퇴해지기 시작하였다.

[남원 지역 향교]

남원 지역에는 현재 남원시 향교동에 있는 남원향교와 운봉면에 있는 운봉향교가 있다. 남원향교는 1410년(태종 10) 대산면 대곡리에 창건되었다가 1443년(세종 25) 지금의 향교동으로 이전되고, 1599년(선조 32)에 중건되었다.

남원향교는 현존하는 전국 향교 가운데 강릉향교 다음 가는 시설과 규모를 갖춘 웅장한 향교로서, 대성전·동서무·내삼문·명륜당·동서재·진강루·사마재·와삼문·고직사 등으로 이루어졌다. 1988년부터 청소년 및 일반인에게 윤리교육과 서도의 교육을 위해 충효관을 설치 운영하고 있다.

운봉향교 역시 1410년에 창건되었는데, 1640년(인조 18)에 운봉읍 산덕리로 이전하였다. 영조 때 건물을 크게 늘려 지었으나, 현재는 대성전을 비롯하여 동무와 서무, 명륜당, 동재와 서재, 고직사, 진강루, 신문(내삼문), 외삼문 등이 남아 있다.

대성전에는 공자를 비롯한 4성과 중국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있으며, 동무와 서무에는 우리나라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