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701313
한자 密陽 西皐精舍
분야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퇴로1길 43[퇴로리 251]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하강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98년연표보기 - 밀양 서고정사 건립
문화재 지정 일시 2009년 10월 22일연표보기 - 밀양 서고정사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77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6월 29일 - 밀양 서고정사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지정 번호 삭제
현 소재지 밀양 서고정사 -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퇴로1길 43[퇴로리 251]지도보기
성격 누정
양식 맞배지붕
정면 칸수 4칸[서고정사]|3칸[한서암]
측면 칸수 2칸[서고정사]|2칸[한서암]
소유자 여주이씨 밀양종중
관리자 여주이씨 밀양종중
문화재 지정 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77호

[정의]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퇴로리에 있는 개항기 누정.

[개설]

밀양 서고정사(密陽西皐精舍)항재(恒齋) 이익구(李翊九)[1838~1912]가 두 동생 이능구(李能九), 이명구(李命九)[1852~1925]와 함께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무릉리에서 퇴로리로 이거하고 8년이 지난 1898년 화악산 기슭에 건립한 별장이다. ‘서고(西皐)’는 마을 서쪽의 작은 언덕이라는 뜻이고, ‘정사(精舍)’는 학문을 가르치기 위하여 마련한 집을 일컫는다.

여주이씨 시조 교위공(校尉公) 이인덕(李仁德)의 12세손 이사필(李師弼)이 1500년 전후 무렵 사인당리[현 용평]의 처가로 이거함으로써 밀양 입향조가 되었다. 입향조의 13세손이자 도원(桃源) 이종극(李鍾極)[1811~1859]의 큰아들 이익구퇴로리에서 한말의 국운 회복은 오로지 실사구시의 보급에 있다고 주장하면서 경사를 연구하고 후진을 교육하는 데 전념하였다. 손자가 성헌(省軒) 이병희(李炳熹)[1859~1938]의 아들로 한국학 권위자인 벽사(碧史) 이우성(李佑成)이다. 내벽에는 이익구 자찬의 「항재잠」, 이병희(李炳憙)의 「서고정사기」, 회당(晦堂) 장석영(張錫英)[1851~1926]의 「항재기」[1914] 등 여러 시판이 걸려 있다. 밀양 서고정사는 2009년 10월 22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77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위치]

밀양 서고정사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퇴로리 251번지에 있다. 퇴로마을의 밀양 퇴로리 이씨고가에서 서쪽으로 300m에 떨어져 있는데, 마을 뒤 산기슭으로 난 작은 길을 따라 올라가면 정문 입구에 잘 정돈된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다.

[형태]

밀양 서고정사는 정채인 서고정사와 아래채인 한서암(寒棲庵) 사이에 침우천(枕雨泉)이 있고, 앞쪽 마당에는 네모난 연못이 있다. 서고정사는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서암은 서고정사 건립 때 서쪽 곁채로 함께 지은 건물로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학들의 숙소로 활용되었다. 한서암에는 소눌(小訥) 노상직(盧相稷)[1855~1931]의 「한서암기」[1902]가 내벽에 걸려 있다.

[현황]

밀양 서고정사는 여주이씨 문중에서 별도로 관리인을 두어 정결하게 관리하고 있어 건물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의의와 평가]

밀양 서고정사를 통하여 여주이씨의 경상남도 밀양 지역 내 세력 확장과 조선시대 별서 문화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