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제 복에 사는 딸」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401910
한자 -福-
영어의미역 Daughter Living with Her Fortune; A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 단목리 단목마을
집필자 박기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우행담
주요 등장인물 딸|원님|숯쟁이
모티프 유형 숯구이 총각의 생금장 유형의 민담

[정의]

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 단목리 단목마을에서 전승되는 제 복에 사는 딸에 관한 우행담(偶幸譚)적 설화.

[채록/수집상황]

1981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편찬한 『한국구비문학대계(韓國口碑文學大系)』8-4에 정식으로 채록되어 있다. 1980년 8월 3일에 조사자 정상박, 성재옥, 김현수가 경상남도 진양군 대곡면 단목리 단목마을에서 채록하였다. 제보자 성경선은 61세의 여성이다. 그 후 하종갑이 수록된 내용을 개작하여 1994년 『진양민속지』에 수록하였다.

[내용]

옛날 어느 고을에 딸을 여럿 둔 원님이 살고 있었다. 하루는 딸들을 불러 앉혀놓고 누구 덕에 사는지를 물었다.

그러자 모두들 아버지 덕에 산다고 대답하였으나 오직 막내딸만은 ‘제 복에 삽니다’하고 대답하였다.

원님은 그 대답을 듣고는 화가 나서 막내딸을 내쫓으라고 했다. 딸의 어머니는 딸이 염려가 되어 약간의 패물을 챙겨주면서 당장 먹고 살 걱정이 없도록 하였다.

막내딸은 갈 데가 없어 길을 걷다가 깊은 산골의 숯 굽는 곳까지 가게 되었다. 막내딸은 그곳에서 밥도 짓고 빨래를 해주며 살다가 숯 굽는 총각과 정이 들어 혼례를 올리고 살게 되었다. 막내딸은 열심히 숯을 굽는 남편을 위해 밥을 해다 나르고, 같이 숯 굽는 일을 거들며 이것도 내 팔자거니 하고 생각했다.

어느 날, 막내딸은 그 날도 밥을 해서 이고 숯골로 갔다. 불을 때던 남편이 밥을 먹을 동안 아내가 불을 때는데 숯가마 아궁이에 쌓은 돌이 이상했다. 새까맣게 그을음이 앉아있어 부지깽이로 검댕을 벗겨보니 돌이 아니라 빛이 나는 황금이었다. 이것저것 모두 벗겨보니 모두 황금덩어리였다.

막내딸은 불을 때다 말고 남편에게 불을 그만 때자고 했다. 남편은 숯을 굽지 말자는 말에 깜짝 놀랐으나 자기 아내가 예사로운 인물이 아님을 알고 그대로 따랐다. 그리고는 아궁이를 부수어 금을 모두 꺼냈다.

그리고 금을 깨끗이 씻어 방안 가득히 간수해두고, 남편더러 금덩이 몇 개를 지고 아랫마을 김부자를 찾아가서 아무 말도 하지 말고 보이라고 했다.

남편은 아내의 말대로 금을 지고 김부자댁 방문 앞에 가서 지게를 벗어놓고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서 있었다. 그러자 머슴들이 보고는 김부자에게 아뢰었다. 김부자가 나와서 금덩어리를 보고는 금방 논을 줄 테니 금과 바꾸자고 했다. 남편이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서 있으니, 집, 땅, 하인까지 몽땅 줄 테니 바꾸자고 했다. 그제서야 남편은 승낙하였다. 갑자기 부자가 된 숯쟁이 남편은 다음날부터 부자가 되었고, 막내딸은 마님이 되었다. 그리고는 남편에게 부탁하여 목수들을 불러 열고 닫을 때마다 ‘시나나’ ‘시나나’ 하고 소리가 나는 문을 달아 달라고 하였다. 남편은 목수들을 불러다가 그런 소리가 나는 문을 달았다.

사람들은 문소리가 날 때마다 궁금해서 한참 그 소리를 듣곤 했다.

어느 날 어떤 초라한 노인이 그 집 앞을 지나다가 문소리를 듣고는 말했다.

“허, 이상하다. 꼭 내 막내딸 이름 소리가 문에서 나네요?”

하인이 그 말을 듣고 마님에게 알렸다. 그러자 마님은 그 노인의 생김새를 묻고는 곧 목욕시키고 의관을 내다주라고 했다.

그리고 남편과 같이 사랑으로 나아가 인사를 하였다. 노인은 그 마님이 자기 딸인 줄 알아보았다. 그러면서 막내가 집을 나가자 곧 아내가 죽고, 집이 점점 망하여 식구들이 흩어지고 자신은 거지처럼 떠돌아다니며 살게 되었다는 사연을 말하였다. 그리고는 딸을 보고 말했다.

“과연 너는 네 복에 살고, 나는 내 복에 사는구나.”

[모티브 분석]

기본 모티브는 백제 서동과 신라 선화공주가 결연하여 무왕과 왕비로 성공하게 되었다는 내용이다. 그것이 구비전승 되는 과정에서 무왕은 숯 굽는 총각으로 선화공주는 원님의 막내딸로 모티브가 변개되었다. 여기에 다시 집나간 딸이 친부모를 찾는 모티브가 결합되어 변이된 설화다. 이런 유형의 설화는 전국적으로 전승되나 모티브가 변개되어 원형을 찾아보기 어려우며, 구조상 화소는 남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숯쟁이 총각의 황금장자 이야기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진주 지역에서 이 이야기가 전승되는 것은 이 지역의 설화 소재원이 풍부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리고 서동 이야기가 오래 전부터 이 지역에서도 전승되었을 개연성을 알려준다는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