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씨앗 싸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401456
영어의미역 Seeds Fight
이칭/별칭 낳은 정 기른 정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집필자 노재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가족담|지혜담
주요 등장인물 낳아준 아버지|길러준 아버지|아들|어머니
모티프 유형 낳은 정 기른 정

[정의]

경상남도 진주시에 전해오는 자식을 찾기 위한 송사에 관한 이야기.

[채록/수집상황]

1980년 8월 10일 정상박, 성재옥, 김현수가 경상남도 진양군 금곡면 검암리 운문마을에서 채록하였으며, 1981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8-3에 수록되었다. 제보자는 김숙분[여, 66세]이다. 1994년 하종갑의 『진양민속지』에는 ‘낳은 정 기른 정’이라는 이름으로 채록, 각색되어 있다.

[내용]

옛날에 집은 살만하였지만 자식이 없는 부부가 있었다. 하루는 남편이 아내에게 말했다. “내가 아는 사람한테 물어보니, 아무 날 저녁에 자면 틀림없이 우리 아이가 생길 것이라 하오. 다만 그 날 저녁에는 불도 끄고, 둘 다 절대로 말을 해서는 안 된다고 하니 당신도 꼭 잊지 말고 그리 하시오.”

이렇게 아내에게 이른 남편은 아랫마을에 사는, 가난하지만 자식 복이 많은 사내를 찾아갔다. 남편은 사내에게 사례를 톡톡히 치를 테니, 아무 날 자기 옷으로 갈아입고 자신의 아내와 동침을 해달라고 했다. 자식 복이 많은 사내는 남편의 부탁을 승낙하고 약속한 날에 그의 아내와 잠자리를 한 뒤 새벽에 몰래 빠져 나왔다. 그 후, 아내에게 태기가 있었고, 부부는 건강한 아들을 낳아 행복하게 살았다.

아들이 열다섯 살쯤 되었을 때, 아버지가 죽고 모자(母子)만이 살게 되었다. 아들은 서당에 다니고 있었는데, 서당에서 돌아오면 항상 어머니가 한숨을 길게 내쉬며 근심스런 얼굴을 하고 있었다. 아들은 어머니가 걱정되어 걱정거리가 무어냐고 물었지만, 어머니는 대답해 주지 않았다.

그러나 아들이 자신이 아니면 누가 어머니의 근심을 해결하겠느냐며 조르자, 어머니는 아버지가 어머니를 속이고 외간 남자를 불러들여 아이를 낳게 한 사실을 말해주었다. 그런데 아버지가 죽자, 그 씨앗 아비가 아들이 서당에 간 틈을 타 찾아와서는 아들을 내놓으라고 하고, 만약 그렇지 않으면 송사를 통해 아들을 찾아가겠다고 윽박지른다는 것이었다. 아들은 그 말을 듣고, 이 문제를 해결할 자신이 있다며 어머니를 안심시켰다.

씨앗 아비가 아들을 찾겠다고 송사를 내자, 씨앗 아비와 아들은 원님 앞에 나란히 서게 되었다. 씨앗 아비가 원님에게 말하였다. “저 아이는 제 씨앗을 받은 아이니 제 아들이 틀림없습니다. 이제 기른 애비도 없는 마당에 제가 다시 찾아오는 것이 마땅합니다.”

그러자 아들이 말하였다. “제 이야기를 듣고 판단해 주십시오. 여기에 밭이 있습니다. 그런데 주인이 두 사람이라 돌을 가지고 아래위로 경계를 만들어 놨습니다. 위의 밭주인이 씨앗을 자기 밭에 뿌리다가 씨앗의 일부가 아래 밭에 조금 떨어졌습니다. 이럴 경우, 가을이 되면 어느 밭주인이 거두어 가는 것이 옳겠습니까? 씨앗이 남의 밭에 떨어졌으면 밭주인이 베어 가야지, 씨앗 임자가 베어 가면 되겠습니까?”

이야기를 듣고 원님은 아들의 손을 들어 주었다. 이렇게 송사에서 이긴 아들은 어머니를 모시고 행복하게 살았다고 한다.

[모티브 분석]

이 설화의 기본 모티브는 ‘낳은 정 기른 정’이라는 유형의 민담이다. 자식을 서로 차지하기 위하여 다투다가 결국 송사를 통해 해결하는 이러한 유형의 민담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동서양에 널리 퍼져 있다. 송사의 결말 부분에 항상 등장하는 지혜담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의의와 평가]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에 전해지는 이 설화는 자식을 사이에 두고 다투다가 송사를 통해 해결하는 민담의 일종이나, 씨앗과 밭주인의 비유로 기른 정의 중요성을 부각시켜 송사를 유리한 쪽으로 이끈 아들의 재치가 돋보이는 점에서 매우 흥미롭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