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나막신쟁이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400517
영어의미역 Wooden Shoemaker's Day
이칭/별칭 나막신쟁이의 날,나막신장이의 날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상남도 진주시
집필자 박기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기원담
주요 등장인물 나막신쟁이
관련지명 옥봉동 말티고개
모티프 유형 매품을 팔다가 죽은 가난한 나막신쟁이

[정의]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전승되는 모진 매를 맞다가 죽은 나막신장이에 관한 설화.

[개설]

진주 지역에는 ‘나막신장이의 날’이 있는데, 이 날은 모질게 추운 섣달 스무 이튿날로서 소한(小寒)·대한(大寒)이 다 가고 난 뒤에도 추운 날이다. 설화 나막신쟁이날은 겨울이 다가는 어느 날 가난을 이기지 못하여 모진 매를 단돈 석 냥과 바꾸어 맞다가 죽은 나막신장이에 관한 애틋한 이야기이다.

[채록/수집상황]

1983년에 진주시가 편찬한 『내 고장의 전설』에 처음 수록된 이야기로서, 1994년 진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진주문화』16집에 수록되었고, 지식산업사에서 2003년에 『진주 옛 이야기』에 다시 수록되었다.

[내용]

옛날 옥봉동 말티고개 언덕바지에 마음이 착하고 유순한 나막신장이가 살고 있었다. 나막신이란 나무를 깎아 만든 밑이 높은 나무신을 말하는 것으로, 비가 오거나 눈이 올 때 주로 신었던 신인데, 살림이 구차하고 식구가 많은 나막신장이는 나막신을 만들어 팔아서 먹고살기가 너무 힘겨웠다. 이미 계절은 눈이 많이 오는 겨울이 다 가고 있는데, 장날이라 나막신장이는 신발을 가지고 나가기는 했으나 아무리 기다려도 신이 팔리지 않아 양식도 못 사고 빈손으로 탈래탈래 집으로 돌아오고 있었다.

주막 앞을 지나던 나막신장이는 부자가 매품 팔 삯군을 구한다는 말을 듣고, 돈 석 냥에 몸을 팔아 관가에 가서 매를 맞기로 작정하였다.

부잣집을 물어서 찾아가 말을 하자, 부자는 불쌍히 여겨서 저녁을 먹이고 관가의 호출장을 들려서 관가로 보냈다.

평소에 제대로 먹지 못한 나막신장이는 관가에서 매 서른 대를 맞고 돈 석 냥을 받아 말티고개를 넘어 집으로 오고 있었다. 그러나 워낙 영양실조가 심했고 못 먹어 허약했던 나막신장이는 고개에서 그만 쓰러져 죽고 말았다. 나막신장이가 죽자 겨울이 다 지나갔음에도 불구하고 날씨가 이상하리만치 매섭고 모진 바람이 불고 추워졌다.

가족들은 밤이 되어도 나막신장이가 오지 않자 찾아 나섰으나 나막신장이는 말티고개에서 돈 석 냥을 손에 쥐고 이미 싸늘한 주검이 되어있었다.

그 뒤로 해마다 나막신장이가 죽은 날로부터 일 년이 되면 매서운 추위가 몰아쳤는데, 그 날이 동지섣달 스무 이튿날이었다. 이날을 진주 사람들은 ‘나막신장이의 날’이라고 불렀다.

[모티브 분석]

이 설화는 자기가 사는 지역을 둘러싸고 있는 자연현상을 설명할 목적으로 만들어낸 전설이다. 대한·소한이 지나고 입춘을 앞둔 때에 마지막으로 매서운 추위가 오는 이유를 매품을 팔다 죽은 가난한 나막신장이의 한(恨) 때문이라고 하였다.

[의의와 평가]

날씨의 기원담은 전국적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다. 다른 지역에서는 대개 영등날, 제주도는 영등할머니 오시는 날이라고 해서 춥고 바람이 많이 부는 날에 관한 설화가 전해오는데, 진주 지역에서는 나막신장이의 날이라는 진주 지역의 기후적 특성에 관한 설화가 전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