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시 풍속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801687
한자 歲時風俗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상훈

[정의]

전라북도 진안 지역에서 해마다 일정한 시기에 되풀이 하는 의례적인 행사나 놀이.

[개설]

세시 풍속은 세사, 월령, 시령이라고도 불렸다. 세시 풍속을 명절로 만들었기 때문에 연간 생활 과정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데 리듬을 주었으며 활동적인 생활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에서는 명절도 계절에 따라 행사 내용이 결정되고 그것은 다시 월령에 의하여 달마다 행사가 구분하여 행하여졌다. 월령은 농업의 생활과 불가분의 관계로 세시의 행사도 농업의 개시, 파종, 제초, 수확, 저장 등 생산 활동의 계절적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세시 풍속 내용]

정월은 새해가 시작되는 달이다. 새로운 시작에 따른 다양한 의례가 행해지던 달이었다. 전라북도 진안 지역에서는 정월에는 설날, 초사흗날 당산제, 입춘축, 정월 대보름 놀이 등이 있다. 2월 초하루, 3월 삼짇날, 한식일 4월 초파일, 5월 단오, 6월 유두, 삼복, 7월 칠석, 백중, 8월 추석, 9월 중양절, 10월 시제, 11월 동지, 12월 동지 등이 있다.

[봄철(음력 1~3월)의 세시 풍속]

1. 설날

설날 아침에는 조상을 위해 차례를 올리는데, 이를 ‘명절 제사’라고 한다. 새해를 맞이한 것을 기념하여 지내는 것이다. 집안에 어른이 계시면 설날 아침에 떡국을 끊여 어른에게 올리고 그 앞에서 먼저 세배를 올린다. 그런 후에 차례를 모신다. 전라북도 진안읍 종평 마을은 차례를 마친 후에 집안 어른께 세배를 드리고 나서 동네 어른들을 찾아뵙는다. 마을의 상노인, 중노인께 세배를 올리는데, “과세는 편히 쇠셨습니까!”라고 덕담을 건넨다. 세배는 초사흗날까지 다니는데, 그 후로 가면 늦었다고 흉이 된다고 한다.

설날에 광목에 물을 들여서 아이들의 설빔을 짓는다. 형편이 넉넉하면 색동저고리를 만들어 입지만 여의치 않으면 흰색으로 지어 입힌다. 광목은 원래 붉은 색을 띠는데, 이것을 물에 적셔 말리고 다시 적셔 말리기를 반복하면 하얗게 된다. 하얗게 된 천으로 옷을 짓는다. 7~8세의 어린아이에게는 주머니를 만들어 채우는데 빈주머니로 채우면 좋지 않다고 하여 1원이라고 넣어 준다. 그리고 차례를 마친 후 상에 올린 숭늉에 성주와 조상에 올렸던 메를 조금씩 담아서 대문 앞에 짚을 놓고 쏟아 둔다. 이 밥은 ‘물밥’이라고 하는데 까마귀와 까치를 대접하는 것으로 ‘까마귀, 까치 밥주기’라고 한다.

2. 입춘

입춘은 새해의 첫째 절기이기 때문에 농경 의례와 관련된 행사가 많다. 입춘이 되면 집집마다 입춘축(立春祝)을 대문이나 문설주에 붙인다.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과 같은 내용이 보편적이나 ‘개문만복래 소지황금출(開門萬福來 掃地黃金出)[문을 여니 만복이 오고 땅을 쓰니 황금이 나온다]’과 같은 다양한 기원을 써 붙이기도 한다.

진안군 부귀면 회구룡 마을에서는 입춘날에 좋은 글귀를 쓴 입춘축을 대문이나 기둥에 붙인다. 절에서 ‘입춘대길 만사 여의형통(立春大吉萬事如意亨通)’이라 쓴 입춘 부적을 준다. 진안군 진안읍 종평 마을에서는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建陽多慶)’이란 입춘 축을 붙인다. 동향면 능길 마을에서는 입춘축을 입춘날 입춘시에 맞추어 붙인다. 또한 회구룡 마을에서는 입춘에 보리밭에 나가 보리 뿌리로 점을 치기도 했다. 즉 보리 뿌리가 세 개가 나 있으면 그 해 풍년이 들고 한 개나 두 개가 나 있으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3. 정월 대보름

음력 1월 15일인 정월 대보름은 일 년 가운데 가장 많은 의례와 놀이가 집중된 날이기 때문에 세시적인 의미가 많이 부여된 중요한 날이라고 할 수 있다. 정월 초하루인 설날은 혈연 중심적인 명절인데 비해, 정월 대보름은 보다 지연 공동체적인 성격을 지닌다.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회구룡 마을에서는 정월 대보름에 잡곡 밥 짓기, 아홉 번 행동하기, 노두 놓기, 거리제, 화재 막이, 절구질하지 않기, 칼질 하지 않기, 식구 불 켜기, 불 밝히기, 밤새기, 수세미·똬리 만들기, 산제, 댓불 피우기, 생채 먹기, 두부 먹기, 취나물 먹기, 귀밝이술 마시기, 더위팔기, 부럼 깨기, 까치밥 주기, 삼농사 점치기, 오곡밥 얻어먹기, 달집태우기, 액 연날리기, 쥐불놀이, 널뛰기 등이 행하여졌다.

4. 영등 위하기

영등 할머니는 바람의 신인데, 평소에는 인간의 삶에 관여하지 않다가 일 년에 한 번 이월 초하룻날 지상으로 내려온다고 한다. 전라북도 진안군 회구룡 마을에서는 2월 초하룻날 하늘로부터 ‘영등 할매’가 내려 왔다 보름부터 스무날까지 올라간다고 한다. 초하룻날 비가 오면 ‘물 영등’이 내렸다고 하고, 바람이 불면 ‘바람 영등’이 내렸다고 한다. 물 영등이 내리면 풍년이 들고, 바람 영등이 내리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초하룻날·초사흗날·초닷새에 밥을 해서 할머니를 대접하며, 올라갈 때는 밥을 올리지 않는다.

5. 한식

한식은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4대 명절의 하나이다. 한식이 음력 2월에 들 경우, 세월이 좋고 따뜻하다고 여기며, 음력 3월에 들 경우 지역에 따라서 떼 입히기[改莎草]를 하지 않는다.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회구룡 마을에서는 한식날이 탈 없는 날이라 하여 묘소를 고치거나 이장을 한다. 진안군 진안읍 종평 마을에서는 한식에 ‘송장을 거꾸로 세워도 탈이 없다’고 할 정도로 산일하기 좋은 날로 이야기한다. 그래서 동토가 날까하여 미루다가 사초(莎草)를 한다. 친정 부모가 아들을 낳지 못해서 제사를 잡숫지 못하면 딸이 한식에 차례를 지낸다. 안방에는 사돈네 조상이 있으므로 방안에는 들어가지 못하고 마루에서 제사를 받는다. 마루에 제사상을 마련하고 딸 내외가 절을 한다.

[여름철(음력 4~6월)의 세시 풍속]

1. 단오

단오의 단(端)은 첫 번째를 의미하고, 오(午)는 오(五), 곧 다섯과 뜻이 통하므로 단오는 초닷새를 말한다. 단오는 일 년 가운데 양기(陽氣)가 가장 왕성한 날이라 하여 큰 명절로 여겼다.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회구룡 마을에서 단오날에 창포를 삶아 그 물에 머리를 감는다. 또한 상추 이슬을 받아 분을 바르면 피부가 고와진다고 한다. 단오전에 약쑥과 익모초를 뜯어 말리면 약이 된다고 한다. 주로 배 아플 때 삶아 그 물을 마신다고 한다. 진안군 진안읍 종평 마을에서는 단오날에 오는 비를 ‘단오물’이라고 한다. 단오 즈음에 올모를 심어야 하는 때이므로 단오물은 농사에 이롭다. 또한 모를 심어야 하므로 단오물을 은근히 기다리기도 한다. 단오물이 오면 모를 심는다는 것을 두고 ‘단오물 기다려서 모 심는다’고 한다.

2. 유두

유두날에는 찰떡과 송편, 부침개를 마련하여 논고사를 지낸다. 진안군 진안읍 종평 마을에서는 유두날 아침 일찍 부침개와 떡을 들고 남자 혼자 논으로 나간다. 논의 물고 앞에 짚을 깔고 제물을 차린 후 농사가 잘되기를 바라는 고사를 지낸다. 고사를 마친 후에는 부침개를 조금씩 떼어 물고에 넣고 남은 것은 짚 위에 그대로 둔다. 자기 논을 모두 돌면서 물고에 부침개를 조금씩 넣고는 돌아온다.

3. 술멕이

두레로 두벌메기를 끝내면 대충 농사가 끝이 난다. 일을 열심히 했으므로 유두 즈음에 날을 잡아서 하루를 논다. 술을 먹는다고 하여 ‘술멕이’라 한다.

[가을철(음력 7~9월)의 세시 풍속]

1. 추석

추석은 음력 8월 15일을 일컫는데, 가을의 한가운데 달이면서 8월의 한가운데 날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 연중 으뜸 명절이다.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원강정 마을에서는 추석 무렵이 되면 올벼심리를 하는데, 새로 나온 나락을 쪄서 방아를 찐 후 밥을 해서 성주에게 올린다. 그리고 식구와 이웃 사람들과 함께 밥을 해서 함께 먹는다. 추석날이 되면 각 가정에서는 아침에 상알 차려 차례를 모시고 성묘를 한다. 무엇보다 추석의 대표적인 음식은 송편이며, 이외 쑥떡과 시루떡을 하며, 술은 집에서 직접 빚은 청주를 사용한다.

2. 중양절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회구룡 마을에서는 9월 9일 집에서 제사를 받지 못하는 귀신을 위해서 제사를 지낸다. 이때는 방안에 마련하지 않고 마루에 상을 차린다.

3. 도신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종평 마을에서는 수확을 마친 후 초사흗날이나 초이렛날에 도신을 한다. 늦게 하면 궂은 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서둘러 초승 즈음에 한다. 햅쌀로 무떡·찰떡을 푸짐하게 마련한다. 마을이나 집안에서 출산을 했다면 부정하다 하여 미리 물 한 그릇과 소금을 조금 담아서 부뚜막에 놓고 떡을 찌기 시작한다. 변소에 갔다 오거나 부정한 사람이 떡을 찌는 곳에 들어오면 떡이 서는데, 이럴 경우에는 물을 한 그릇 떠 놓고 빈다. 떡이 찌어지면 시루 째 방안의 성주께 가져다 둔다. 이때 메와 갖은 나물을 마련하여 올린다. 메는 조상 수대로 올린다. 절은 하지 않으며, 조금씩 접시에 담아 집안 곳곳에 가져 두었다가 거두어들인 다음, 이웃들에게 나누어 준다.

[겨울철(음력 10~12월)의 세시 풍속]

1. 동지

양력으로 동지(冬至)가 음력 동짓달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中冬至), 그믐 무렵에 들면 노동지(老冬至)라고 한다. 이처럼 우리 민족은 태양력인 동지에다가 태음력을 잇대어 태음 태양력으로 세시 풍속을 형성시켜 의미를 부여하였다.

진안군 동향면 능길 마을에서는 동짓날 팥죽을 쑤는데, 이 죽에는 새알 수제비를 만들어 넣는다. 팥죽은 팥 한 되를 삶아서 물을 내리고 찹쌀과 멥쌀을 한 되 분량으로 석어서 새알 수제비를 만든다. 팥죽을 끓이면 먼저 한 그릇을 떠서 들고 집안을 돌면서 한 숟가락씩 뿌린다. 이는 잡신들이 범접하지 말라고 끼얹는 것이다. 그런 후에 팥죽 한 양푼을 윗목에 떠다 두었다가 먹는다. 이외에도 광, 뒤주, 정지에도 한 그릇씩 가져다 둔다. 이 팥죽을 먹으면 나이가 한 살 더 먹게 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