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 운동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800525
한자 農民運動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진안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이성호

[정의]

전라북도 진안군 지역에서 농민이 생활 조건이나 사회적 환경의 개선을 위해 전개한 사회 운동.

[진안 지역 농민 운동의 출발]

진안 지역 농민 운동의 효시는 일제 강점기의 소작 쟁의라고 할 수 있다. 광복 이후 자신의 정치적 목소리를 내지 못하던 농민들이 조직적인 움직임을 시작한 것은 1970년대 이후부터였다. 1970년대 초반에 시작된 새마을 운동은 농민층을 전국적인 행정 체계에 흡수시켰고, 농촌 사회의 특성상 농민 운동은 새마을 운동 조직과 중복·대립하면서 진행되었다.

최초의 조직적 농민 운동은 1964년 가톨릭 노동 청년회의 농촌 청년부에서 시작되었는데, 초기에는 전통적인 농업 지역인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이 시기에 가톨릭 노동 청년회의 농촌 청년부 조직이 만들어진 곳은 광주 교구의 함평과 전주 교구의 화산·함열·진안·남원 및 수원 교구의 양지 본당 등이었다. 당시 활동의 주요 내용은 도박 안하기·겨울철 새끼 꼬기 등 농촌 계몽 운동 중심으로 1970년대의 새마을 운동과 다르지 않았다.

1970년대 이후 농업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싹트면서 새로운 접근이 시도되었다. 1972년에 가톨릭 노동 청년회로부터 한국 가톨릭 농민회가 분리·결성되어 농지 임차 관계 조사·쌀 생산비 조사 등 농업 문제에 대한 과학적 조사에 착수하였다. 1975년에는 가톨릭 농민회 전북 협의회가 구성되었으며, 이 시기부터 전라북도에서 농협 단위 조합 실태 조사와 잡부금 실태 조사 등도 실시되었다. 1979년 전라북도 3개 지역[임실·고산·김제]에서 노풍(魯豊) 피해 보상 운동이 전개되었는데, 이는 5·16 군사 쿠데타 이후 국가의 강제적 농업 정책에 대한 최초의 저항이었다. 한편 기독교 농민회는 1978년 12월 전라남도·전라북도·경상남도·경상북도 등의 활동가들이 전라북도 전주에 모여 전국 기독교 농민회 준비 위원회를 결성하면서 출발하였다. 1978년에 최초로 전라남도 지역에서 전남 기독교 농민회가 창립되었고, 1980년 5월 전주 성광 교회에서 전북 기독교 농민회가 결성되었다. 1982년에는 이들을 중심으로 한국 기독교 농민회 총연합회를 조직하였다. 종교 단체를 중심으로 한 농민 운동 조직은 1987년 민주화 운동이 폭발하기까지 지역 농민 운동을 주도하였다. 특히 농촌 문제에 대한 과학적 접근을 통해서 농업 문제가 국가 권력과 대립 구도를 형성하고 있음을 밝히고, 농민 의식화 교육 등을 통해 농민층의 세력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1980년대에 전개된 농민 운동의 주요 형태는 단위 조합의 반민주적 운영에 대한 싸움을 시작으로 농협 민주화 투쟁·조합장 직선제 투쟁이나 임실·순창 등지에서 일어난 고추 가격 문제 등 농산물 가격 문제 및 농가 부채 문제·부당한 세금 징수에 대한 저항 등 국가의 농업 정책에 대한 직접적 문제 제기와 행정 관청의 반민주적 행태에 대한 저항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농산물 가격 문제와 농가 부채 문제 등은 외국 농·축산물 수입 저지 투쟁과도 연결되었다.

[1980년대 이후 진안 지역 농민 운동의 확산]

1980년대 초반에는 폭압적 군사 정권의 농업 경시 정책과 그에 따른 농산물 가격 하락으로 인한 농가 부채에 시달리던 농민들의 자살이 빈번히 일어나는 상황이었다. 1985년 4월 22일~23일 서울에서 열린 미국 농·축산물 수입 개방 요구 규탄 대회가 끝난 후 농민 100여 명이 미국 대사관 앞에서 시위를 벌였다. 여름 무렵부터 가톨릭 농민회 주도로 시작된 소몰이 투쟁은 전국 20여 개 군으로 확산되었고 진안 지역에서도 1천여 명의 농민들이 대규모 투쟁을 전개하였다. 소와 경운기를 직접 몰고 나온 진안 지역 농민들은 진안읍 강경골재에서 경찰과 대치하며 진안~무주 국도를 4시간 이상 점거하기도 했다. 소몰이 투쟁은 가톨릭 농민회를 중심으로 조직되었지만 점차 농민 대중 투쟁으로 확산되었다.

1987년 이후 농민 운동은 농업 문제를 넘어 반농민적 국가 정책 전반에 대해 저항하고, 민족 민주 운동과 연대하기 시작하였다. 1987년 2월에 전국적 농민 조직인 전국 농민 협회가 미·일의 농·축산물 개방 압력과 독점 세력을 위한 경제 정책에 따른 농민의 고통과 비민주적 행정 등에 저항하여 자주적·주체적 농민 운동과 민주·민족 통일을 위한 사회 운동을 목표로 창립 대회를 개최하였다. 진안 지역에서는 6월 항쟁의 열기로 조성된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1987년 10월에 4H 활동에 종사한 젊은 농민들과 기독교 농민회의 결합으로 농민 협회가 결성되었다. 진안군 농민 협회는 창립 이후 면 단위 지회[정천면·성수면]를 통해 조직을 확대하고 지역 조사와 연구를 진행시키며 투쟁 강도를 높여갔다. 진안군 농민 협회는 진안군 관내의 6개 면 60여 개 마을을 직접 방문하면서 농민들에게 수세의 부당성을 홍보하고 정부의 반농민적 농업 정책을 알리며 마을 대책 위원회·면 대책 위원회·군 대책 위원회를 통해 지역 농민들과 농민 협회를 조직적으로 결합시키면서 지역 투쟁을 전개하였다.

1989년에는 군 대책 위원회 출범 이후 진안 초등학교 운동장에서 1,500여 명의 지역 농민이 참여하여 진안 농민 대회를 개최하였고, 1989년 2월 여의도에서 개최한 전국 농민 대회에 진안 지역의 농민 400여 명이 참여하여 전국 투쟁에 동참하였다. 2005년에는 국회의 쌀 비준안 처리를 앞두고 정부에 대한 농민들의 불신이 전국적으로 폭발하였다. 당시 전국적으로 WTO 반대 투쟁이 전개되었는데, 진안 지역에서는 군청에 농기계를 반납하고 농산물 제값 받기·농산물 수입 개방 반대 등의 시위를 전개하였다. 진안군 농민 협회는 1990년 2월에 가톨릭 농민회와 연합하여 진안군 농민회로 발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박** 1960년 419혁명직후 4H구락부 운동이 전휴상씨를 필두로 한 진안의 운동이 누락된것같습니다.
  • 답변
  • 디지털진안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귀하께서는 전휴상을 필두로 한 4H 구락부 운동에 대해 추가 기술을 요청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원고 내용의 수정이나 보완은 민원 근거자료 확인 후 집필자의 의견 수렴을 거쳐 이루어집니다. 관련한 근거자료를 elikusa@aks.ac.kr로 송부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확인 후 집필자의 의견을 수렴하도록 하겠습니다. 의견 개진에 감사드립니다.
2019.09.18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