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친족 용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11654
한자 親族用語
영어음역 Chinjok Yongeo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집필자 강영봉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촌수가 가까운 일가의 어떤 대상을 가리켜 이르거나 부르는 어휘.

[개설]

친족 용어는 아버지, 어머니, 형, 동생 등 식구를 비롯하여, ‘나’를 중심으로 한 아버지 쪽 친족과 어머니 쪽 외척이 있다. 친족으로는 ‘하르방(할아버지), 할망(할머니), 삼춘(삼촌), 고모, 고모부’ 등이 있고, 외척으로는 ‘웨하르방(외할버지), 웨할망(외할머니), 웨삼춘(외삼촌), 웨숙모(외숙모) 따위가 있다.

[친족 용어의 구분]

친족 용어 가운데 지칭어(指稱語)와 호칭어(呼稱語) 구분이 필요하다. ‘지칭어’는 그 대상에 대한 이름이며, 호칭어는 실제 생활에서 부르는 이름을 말한다. 지칭어는 문어적 성격이 있다고 하면, 호칭어는 구어적 성격이 짙다. 친족 용어 가운데 중요한 것을 들면 다음과 같다.

o궨당: 한자어 ‘권당’(捲堂)으로, 친족과 외척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o덥덜: ‘같은 친족에 속하는 무리’를 말한다.

o방상: 달리 ‘방답’이라 하기도 하는데, 일가붙이의 집안사람을 말한다.

o성펜: 아버지 쪽 일가를 말하는데, 달리 ‘아방펜’이라 하기도 한다. 표준어 ‘내척’에 해당한다.

o웨펜: 어미니 쪽 일가를 말하는데, 달리 ‘어멍펜’이라 하기도 한다. 표준어 ‘외척’에 해당한다.

[친족 관계 접미사]

제주어에는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어휘에만 붙는 특이 접미사가 있다. ‘큰-, 셋-, 말잣-, 족은-’ 따위가 그것들로, ‘큰-’은 ‘맏이의’, ‘셋-’은 ‘둘째의’, ‘말잣-’은 ‘셋째의’, ‘족은-’은 ‘맨 마지막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이다. ‘아들 형제’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아들이 1명이라면 웨아덜(아·단아덜·단아)이다. 2명이라면, ‘큰아덜(아), 족은아덜(아)’이 된다. 3명이라면 ‘큰아덜(아), 셋아덜(아), 족은아덜(아)’이 되고, 4명이라면 ‘큰아덜(아), 셋아덜(아), 말잣아덜(아), 족은아덜(아)’이 된다.

아들이 5명이라면 ‘큰아덜(아), 셋아덜(아), 큰말잣아덜(아), 족은말잣아덜(아), 족은아덜(아)’이 된다. 6명이라면, ‘셋아덜(아)’은 둘로 나누어, ‘큰아덜(아), 큰셋아덜(아), 족은셋아덜(아), 큰말잣아덜(아), 족은말잣아덜(아), 족은아덜(아)’이 된다.

[친족 어휘]

주요 친족 명칭을 보면 다음과 같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표〉친족 용어

[특이 친족 어휘]

o동공아덜, 동공아: ‘귀엽게 모셔 키운 아들’을 말하는데, ‘동공’은 한자어 ‘東宮’(동궁: ‘황태자’나 ‘왕세자’를 달리 이르던 말)에서 유래한다. ‘귀엽게 모셔 키운 딸’은 ‘동공’이 된다.

o삼춘: ① 삼촌(三寸) ② 남녀 구분 없이, 어른을 친밀하게 이르는 말.

o다심아방: 달리 ‘다슴아방’이라고도 하는데, ‘어머니가 개가하여 얻은 남편’을 뜻한다. 표준어 ‘의붓아버지, 의붓아비’에 해당한다. 결국 ‘의부’(義父)라는 어휘에 해당하는 제주어는 ‘다심, 다슴’으로, 의붓어머니를 ‘다심(다슴)어멍’, 의붓딸을 ‘다심(다슴)’ 등이 된다.

o가시어멍: ‘아내의 어머니’를 말하는데, ‘가시’는 아내를 뜻하는 중세 어휘 ‘갓’에서 연유한다.

o두갓: 부부를 말하는데, 달리 ‘두갓세, 갓세’라고도 한다. ‘갓’ 또한 아내를 뜻하는 중세 어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