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2746
한자 禾北洞本鄕
영어음역 Hwabuk-dong Bonhyang
영어의미역 Shrine for the Tutelary Deity of Hwabuk-dong
이칭/별칭 가릿당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화북1동 1888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하순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신당
건립시기/연도 미상
둘레 약 21m
면적 약 26㎡
소재지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화북1동 1888 지도보기
소유자 화북동 마을 복지회관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화북동에 있는 마을 수호신을 모시는 신당.

[개설]

제주 지역의 신당은 흔히 본향당, 일뤠당, 여드레당, 해신당으로 나누는데, 그 중 본향당은 마을 공동체의 신을 모시는 성소로 마을굿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본향당 당신은 마을 공동체의 신인만큼 마을 사람 전체의 생명과 건강, 사업 번창 등 모든 부분을 관장한다.

본래는 모든 자연마을마다 마을이 형성될 때 함께 세워졌을 것이나 지금은 많이 통합되거나 소멸되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주 지역의 전체 신당 중 약 44%가 본향당으로 여전히 본향당이 가장 많이 남아 있다.

화북동 본향에서는 ‘큰도한집’, ‘동고칫할망’, ‘서고칫할망’의 3신위를 모시는데, 큰도한집은 마을 사람들의 생산, 물고를 관장하는 본향신이고, 동고칫할망과 서고칫할망은 부스럼을 치료해 주는 치병신이다.

그런데 본풀이에는 해신요왕또·윗당 오금상또·큰도한집·정주문요왕또·삼천백매또 등 여러 신위가 등장하는데, 이로 미루어 보아 목축신인 오금상또를 모시는 ‘윗당’이 폐당되면서 화북동 본향에 합당되었고, 화북의 동동네, 서동네에 있던 ‘자운당’, ‘삼동낭할망당’ 등의 일뤠당들도 폐당되면서 역시 화북동 본향에 합당된 것으로 짐작된다.

화북동 본향은 ‘가릿당’이라고도 하는데,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으나, ‘가지 갈라 온 당’이라는 의미의 ‘가짓당’이 ‘가릿당’으로 전화했다는 설이 있다.

[건립경위]

화북동에 대한 기록으로는 ‘1270년 고려 원종 11년 경오 11월에 삼별초군이 탐라를 정벌하려 할 때 동제원(東濟院)에서 관군과 일전(一戰)을 하였다’라는 기록이 문헌상으로 알려진 화북경(禾北境)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다.

또한, 1300년(충렬왕 6) 제주에 10현을 설치할 때 제주를 동서로 구분하여 이도(二道)를 설치하면서 서도에 처음 별도현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기록들로 보아 적어도 600여 년 전부터 화북동이 세워졌다고 보여지며, 신당의 건립도 이때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위치]

제주시 화북1동 중동네 동산 숲 속에 있다.

[형태]

화북동 본향은 수림형 본향당의 형태를 띠며 해신당으로 밭 가운데 작은 신목이 있으며, 신목 앞에 잡석을 쌓아 제단을 만들었다. 원래 제장 주변에는 돌담이 있었으나 현재는 무너진 상태이다.

[현황]

제일은 정월 7일, 17일과 매달 3일, 7일이며, 신당에 갈 때는 메 세 그릇을 준비한다. 현재는 화북동 주민 일부만이 다니는데 꼭 제일을 지키기보다는 택일해서 다니는 경우가 많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