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오등동 병다동 본향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2736
한자 梧登洞並多洞本鄕
영어음역 Odeung-dong Byeongda-dong Bonhyang (Godasidang)
영어의미역 Shrine for the Tutelary Deity of Byeongda-dong, Odeung-dong (Godasidang Shrine)
이칭/별칭 다싯당,무눈당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등동 799[한북로 133-30]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하순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신당
건립시기/연도 미상
둘레 25m
면적 약 33㎡
소재지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등동 799[한북로 133-30]지도보기
소유자 김병효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등동에 있는 다시마을의 수호신을 모시는 신당.

[개설]

제주 지역의 신당은 흔히 본향당, 일뤠당, 여드레당, 해신당으로 나누는데, 그 중 본향당은 마을 공동체의 신을 모시는 성소로 마을굿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본향당 당신은 마을 공동체의 신인만큼 마을 사람 전체의 생명과 건강, 사업 번창 등 모든 부분을 관장한다.

본래는 모든 자연마을마다 마을이 형성될 때 함께 세워졌을 것이나 지금은 많이 통합되거나 소멸되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주 지역의 전체 신당 중 약 44%가 본향당으로 여전히 본향당이 가장 많이 남아 있다.

다시당은 본래 알당으로 불렀으며, ‘짐씨할망 천신불두’와 ‘고씨영감 산신일월’을 모셨다. 웃당은 다시 동쪽 속칭 ‘강구물동산’에 있었는데, ‘섯당 한집 만주기또 강씨아미’와 ‘동당한집 이씨영감 산신대왕’을 모셨다. 본래 알당과 웃당은 따로 있었는데 현재는 함께 모시고 있다.

다시당은 다시라는 마을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다시는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1702년)에 ‘간다시(艮多時)’로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다시’를 한자로 표기한 것으로, ‘다시’는 ‘(같이)’에서 온 말로 추측하기도 하며, 두 성바지 이상의 사람들이 모여 마을을 이루었다는 데서 생긴 말이라고는 하나 신빙성은 없다.

[위치]

제주시 오등동 다시마을 남쪽 속칭 ‘당밧’에 있다.

[형태]

오등동 병다동 본향은 신목형, 제단형 본향당의 형태를 띤다. 밭담 한 귀퉁이에 있는 팽나무를 신목으로 삼아 신당을 마련하였으며, 자연석을 삼각형으로 둘러쌓은 위에 시멘트로 틈새를 보강하여 담을 둘렀다. 팽나무 아래 나지막하게 시멘트 제단을 두었는데, 그 곳에는 다섯 개의 궤가 마련되어 있다.

[현황]

오등동 다시마을의 일부 주민과 출향민들이 정초 및 집안에 일이 있을 때 신당에 다니고 있다. 다시마을 주민들은 제주 4·3사건 때에 오등동, 광양, 도남 등지로 소개(疏開)되었는데, 고향을 떠나 살더라도 1년에 한 번씩 신당을 찾아 과세문안(過歲問安)하거나 비념을 하고 있으며, 신당에 갈 때는 메 세 그릇을 가지고 간다.

[의의와 평가]

오등동 병다동 본향은 출향민들이 다니는 신당이라는 점에서 신당이 고향 마을에 대한 귀속감을 유지시켜 주는 하나의 연결고리임을 시사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