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2653
한자 洪履祚
영어음역 Hong Ijo
이칭/별칭 수백(綏伯)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찬흡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제주판관
출신지 평안북도 정주
성별
생년 1736년(영조 12)연표보기
몰년 미상
본관 남양(南陽)
대표관직 제주판관

[정의]

조선 후기 제주판관을 역임한 문신.

[가계]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수백(綏伯). 아버지는 홍계택(洪啓澤)이며, 평안북도 정주에서 태어났다.

[활동사항]

1765년(영조 41) 식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여러 내외직을 거쳐 1793년(정조 17) 5월 이휘조(李徽祚)의 후임으로 제주판관에 부임하였으며 1795년(정조 19) 9월에 물러났다. 홍이조가 부임할 때 사헌부장령 강봉서(姜鳳瑞)[1748~1823]가 당시 제주목사 이철운(李喆運)이 구호곡을 훔치고 백성을 학대하였다고 상소하니 조정에서는 제주목사를 탄핵하는 행위는 풍속과 교화에 관계된다고 하여 강봉서의 자리를 옮겼다.

또한 조정에서 강봉서의 상소를 확인하기 위하여 심낙수(沈樂洙)[1739~1799]를 제주위유안핵순무시재어사(濟州慰諭按覈巡撫試才御使)로 보내어 이철운을 파직시키고 귀양을 보냈다. 또한 심낙수에게 제주목사의 권한을 행사하도록 하여 관내를 순무(巡撫)하고 하급 관리를 선발하는 과거인 시취(試取)를 실시하도록 하였다.

1794년(정조 18) 4월 대일관(大一觀)을 건립하고 윤음(綸音: 왕이 신하나 백성을 가르쳐 타이르는 내용을 담은 문서)과 유서(諭書: 관찰사나 절도사·방어사 등이 부임할 때 왕이 내리던 명령서), 어제책문(御製策文) 등을 봉안하였다.

[저술 및 작품]

제주 유생들의 시취(試取) 내용과 시문 등이 수록되어 되어 있는 『탐라빈흥록(耽羅賓興錄)』을 간행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