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1266
한자 -廳
영어음역 Simbangcheong
영어의미역 Jeju Shaman's Group
이칭/별칭 슨방청,신방청,신청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하순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단체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있는 제주 지역 심방 단체.

[개설]

제주 지역에서는 무격(巫覡)을 심방[神房]이라고 하며, 심방청은 심방에서 따온 조직의 명칭이다. 심방들은 자연적인 자신들의 조직을 가지고 있으니 세습무계와 단골판 등이 이러한 사례에 해당되는 반면, 심방청은 인위적이며 사회의 공인을 받는 단체로서 한말부터 있어온 듯하다. 그러나 그 이전부터 이러한 조직이 있었을 것으로 보여진다.

제주도의 심방청과 흡사한 조직 단체로는 전라남도의 나주 신청(羅州神廳)·장흥 신청(長興神廳), 경기도 수원의 경기 재인청(京畿才人廳), 함경북도의 스승청 등을 꼽을 수 있다.

[설립 목적]

제주 지역 심방과 무격 사회에 대한 감독 등 제반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신굿(神굿)을 하여 소미[小巫]의 단계를 넘은 무격을 ‘하(下)신충’이라고 하는데, 하신충이 되어야 비로소 무격 조합인 심방청에 가입할 수 있었다. 심방이 굿을 하려면 반드시 심방청에 등록해야 했으며, 그렇지 않으면 자체적인 처벌이 따랐다.

심방청에는 각 지역별로 책임자를 두었으며, 도 전체의 책임자를 ‘도황수’라 하였다. 도황수는 춤도 잘 출 뿐더러 사설도 정확하게 읊어 모든 무당들의 수장이 되었던 심방이다.

1910년대까지 입춘 무렵이 되면 도내 무당들은 도황수를 뽑는 입춘굿놀이를 개최하였으며, 제주 지역에서 마지막으로 뽑혔던 도황수는 성산읍 신풍리에 사는 홍매화(洪梅花)로 알려져 있다.

1970년대 심방청과 유사한 형태의 무당 조직인 대한경신연합회 제주지부가 조직되었으나, 이는 당시 정치적 배경에 의해 조직된 것으로서 심방청이 하던 역할을 계승하지는 못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

심방청은 심방들 조직체를 관장하여 심방 사회의 규율과 질서를 지키며, 신굿에 참여하여 심방으로서의 자질 즉 본풀이 구송 능력과 제의 양식 및 제차(祭次)에 관한 지식 등을 검증하였다. 이로써 심방청은 계통을 이어가고 판 벌림, 그리고 굿 수행의 이론과 실제 교육, 음악 교육 기관으로서의 기능을 하였다.

심방청의 구실은 무악 반주자들이 서로 단합하여 먼저 간 선배의 넋을 달래기도 하고 제사도 지내는 것이다. 또한, 심방 스스로의 기강을 확립하고 상부상조하는 계(契)를 하기도 하였는데, 이것을 보면 자치단체의 성격도 지닌 셈이다.

심방청에는 『선생안(先生案)』이라고 하는 책자가 보관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역대의 무부 이름과 규약문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심방청에서는 이 선생안을 모셔놓고 3월 3일과 9월 9일에 제를 올렸다.

이 후 이러한 무의 조직은 명칭을 달리하여 일제강점기 및 광복 이후에도 줄곧 성행하였으나 본래의 심방청과 같은 자율적이고 상부상조적인 성격은 사라지고 대신 무를 정화하고 규제하는 조직으로 변모되었다.

[현황]

제주 지역 전체의 책임자는 도황수, 각 지역의 책임자는 황수[鄕首], 면 단위의 책임자는 멘황수[面鄕首]라 하였으며 황수 밑에서 사무를 돕는 이를 공원(公員)이라 하였다. 심방청의 실제 사무는 공원이 맡아 처리하였으며 면 단위에는 면공원이 있었다.

[의의와 평가]

심방청은 심방의 자격과 굿을 관장함으로써 제주무속 본풀이 및 굿법이 제대로 전승되는 데 기여하였다.

[참고문헌]
  • 『제주의 무속』(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90)
  • 『제주 100년』(제주도, 1996)
  • 제주특별자치도(http://www.jeju.go.kr)
  • 정원기의 국악아카데미(http://cafe.daum.net/samulnorian)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