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500573
한자 蘭谷遺稿
영어공식명칭 Nangokyugo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문헌/전적
지역 전라북도 익산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김봉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1937년연표보기 - 『난곡유고』 편찬
간행 시기/일시 1964년연표보기 - 『난곡유고』 간행
소장처 전북대학교 도서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천잠로 303[효자동2가 1080]
간행처 발산정사 - 전라북도 익산군 왕궁면 발산리
성격 문집
저자 소승규
편자 소학규
간행자 소병택|소선영
권책 4권 2책
행자 10행 24자
어미 상흑어미(上黑魚尾)
권수제 난곡유고
판심제 난곡유고

[정의]

전라북도 익산 출신의 조선말 유학자 소승규의 문집.

[개설]

『난곡유고(蘭谷遺稿)』는 조선 후기와 개항기에 활동한 학자 소승규(蘇昇奎)[1844~1908]의 문집이다. 소승규는 지금의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발산리 출신으로, 어려서부터 학문에 뜻을 두었고 글재주가 뛰어나서 이름이 널리 알려졌으나, 과거에는 급제하지 못하였다. 이에 관직에 미련을 버리고 인산(仁山) 소휘면(蘇輝冕)의 문하에 들어가 경학과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였는데, 한말의 대표적인 산림(山林)[학식과 덕이 높으나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한 선비]이자 우국지사인 연재(淵齋) 송병선(松秉璿)이 소승규의 학문을 높이 평가하여 찾아오기도 하였다. 을사늑약 이후로 외교권을 빼앗기고 나라가 날로 위태롭자, 소승규는 항일 유적지 등을 찾아다니며 슬픈 마음을 토로하였다. 특히 시에 뛰어난 재주가 있어서 칠언율시와 칠언사율 작품을 많이 남겼다.

『난곡유고』소승규의 시를 비롯하여 일상생활부터 교류한 인물, 명승지의 모습까지 담은 글들을 묶어 1964년 4권 2책의 연활자본으로 간행한 책이다. 현재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에 있는 전북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저자]

소승규는 자는 자화(子和), 호는 난곡(蘭谷), 본관은 진주(晉州)이다. 소자파(蘇自坡)의 장남 소세온(蘇世溫)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소휘연(蘇輝延)이며 어머니는 안동김씨이다. 큰아버지인 소휘식(蘇輝式)의 집안에 장자로 입양되었다. 소승규는 1844년(헌종 10) 정월 9일에 태어나, 어려서부터 재능이 뛰어나고 뜻이 남달랐다. 일곱 살에 책을 읽기 시작하여, 열다섯 살에는 글 짓는 생각이 숙성하였고, 스무 살 때에는 사서삼경를 비롯해서 제자백가서까지 독파하였다. 그 무렵 과거 공부도 겸하였는데, 군(郡)의 광학재(廣學齋)와 도(道)의 희안당(姬顔堂)에서 글짓기 경연을 벌일 때마다 번번히 우등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과거 시험에는 실패하자 인산 소휘면의 문하에 들어가 경학과 예를 깊이 공부하였다. 연재 송병선이 소승규이 거처하는 발산정사(鉢山精舍)에 일부러 찾아와 함께 수일간 경서를 강론하기도 하였다.

또한 부모가 돌아가시자 슬픔을 극진히 하고 상례를 잘 지키니 군과 도에서 포상하자는 의논이 있었다. 1905년 을사늑약 이후로는 나라가 날로 위태로워지고 세사(世事)가 크게 변하자, 옛 현인들의 유적지나 금산 종용당(從容堂)의 항일 유적지를 찾아 슬픈 마음을 토로하기도 하였다. 1908년 2월 9일 예순다섯 살에 눈을 감았다.

[편찬/간행 경위]

소승규가 세상을 뜬 후 조카 소진정(蘇鎭貞)과 9촌 조카 소진환(蘇鎭晥)이 문중의 여러 자손들과 의논하여 2책으로 간행하기로 하였다. 1937년 4월 소학규가 글을 편집·교정하고 서문을 썼으나, 이후 시국이 급변하고 전쟁이 거듭되어 간행하지 못하였다. 1964년 종증손 소병택(蘇秉澤)과 재종숙 소선영(蘇禪永)이 재산을 내어 간행하게 되었다.

[형태/서지]

4권 2책의 연활자본이다. 책의 사주(四周)에 두 개의 검은 선이 돌려진 사주 쌍변(四周雙邊)이며 본문의 각 줄 사이를 계선(界線)으로 구분하고 있다. 반곽은 23.3×16.0㎝이다. 계선이 있고, 10행 24자이다. 어미는 상흑어미(上黑魚尾)이다.

[구성/내용]

서문은 1937년 4월 상순에 성균관 진사 소학규가 지은 것으로, 소승규의 덕행과 문장을 서술하고 발간 경위를 설명하고 있다.

권1은 시이다. 오언절구 12수는 주자(朱子)의 「무이정사(武夷精舍)」의 열두 운자를 따서 지었고, 오언율시 8수는 마흔 살에 자신의 인생을 회고하거나 병중에 느낀 소감을 읊조렸다. 오언사율 1수는 무주 적상사을 오를 때 느낀 소감을 적은 것이다. 권1에는 칠언절구와 칠언율시가 많다. 칠언절구는 모두 52수로서, 1904년 1월 4일 회갑을 맞아 지은 시부터 여행 도중의 소감이나 경물을 읊은 시, 지인들과 주고받은 시, 강론 모임 때 지은 시 등이 수록되어 있다. 칠언율시 106수는 명절이나 사시(四時), 일상생활, 강론 모임, 지인들과의 만남 등을 노래한 시가 수록되어 있다. 칠언율시 중에는 동학에 대하여 윤리를 무너뜨리는 사악한 주장이라고 배척하고 돈과 곡식을 약탈한다고 비난하는 두 수가 있어서 주목된다.

권2와 권3 역시 시로서 모두 칠언사율이다 권2는 삼한의 옛 시절을 회고한 시부터 절의 승려에게 준 시까지 164수이다. 여행 도중 경물이나 지인들과 지은 시가 많으나, 몸과 그림자, 정신이 항상 자신을 따라다니는 것을 묘사하거나 가난한 선비, 늙은 기생이나 승려의 모습을 묘사한 시도 있다.

권3은 1902년 12월 어머니 회갑연에 올린 시부터 송아재(松哦齋) 이시응(李時應)의 시를 차운한 두 개의 시와 이시응의 시까지 도합 138수가 수록되어 있다. 끝부분에 1907년 4월 여산 죽림서원 터를 지나가다가 느낌이 있어 지은 시가 있는 것을 보면 연대순으로 시를 배치하였음을 알 수 있다. 내용 역시 권2와 같이 일상생활이나 여행 도중 소감이나 경물, 친구들과의 만남을 주로 노래하였다. 도시화되기 이전의 이리 지역 전원 풍경을 읊은 시, 을사늑약 이후 금산 종용당의 유적을 방문하여 의사들의 혼을 위로한 시가 있어서 주목된다.

권4는 서(序) 5편, 기(記) 2편, 설(說) 1편, 제문(祭文) 3편, 가장(家狀) 4편이 수록되어 있다. 「유봉래산일기(遊蓬萊山日記)」는 1897년 4월 14일부터 5월 1일까지 변산의 봉래산에 다녀온 일기로, 29면 1만 500자나 되는 방대한 양이다. 가장은 증조부, 조부, 부친과 생부의 생애와 덕행, 가족관계 등에 관한 기술이다. 책 끝머리는 부록으로, 저자의 집안에서의 행적을 적은 가장(家狀), 묘갈명, 제문 두 편, 장례원에 올린 글 세 편, 발문으로 되어 있다. 발문은 1937년 10월 상순에 9촌 조카 소진환이 쓴 글과 1964년 2월 전태춘(全泰春)이 지은 글 2편이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난곡유고』에 실린 「유봉래산일기」는 소승규가 1897년 4월 14일부터 5월 1일까지 지금의 전라북도 부안군에 있는 변산 봉래산에 다녀온 기록인데, 방대한 분량의 글을 통하여 선비들의 일상생활과 교유 관계, 당시의 지역별 풍광까지 살필 수 있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크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