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500409
한자 廣頭院山烽燧臺址
영어공식명칭 Gwangduwon Mountain Fire Station
이칭/별칭 봉화산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 72-2
시대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규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재지 광두원산봉수대터 -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 72-2 지도보기
성격 봉수대
관리자 익산시

[정의]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 봉화산 정상에 있던 조선 시대 봉수대터.

[개설]

광두원산봉수대(廣頭院山烽燧臺址)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봉화산[광두산] 해발 53.7m 정상에 있는 봉수대터이다. ‘광두원산봉수대’라는 이름은 조선 시대 용안현 화실리에 광두원이라는 역원(驛院)이 있었던 데에서 유래한다. 광두원 북쪽에 있는 산이라 ‘광두산’으로 불렸으나 오늘날에는 ‘봉화산’으로 불리고 있다.

광두원산봉수대는 서쪽으로 함열 소방산봉수에서 전해진 봉화를 북쪽으로 충청남도 강경 옥녀봉봉수에 전달하던 봉수이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용안현에는 “봉화가 1곳이니 현의 동쪽 광두원이다[서쪽으로 함열 소이방에 응하고 북쪽으로 충청도 은진 강경에 응한다].”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용안현편 봉수조(烽燧條)에는 “현의 동쪽 13리[약 5㎞]에 있다.”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또한 광두원산봉수는 서쪽으로 함열 소방산봉수, 북쪽으로 은진현 강경산봉수라는 기록으로 보아 함열 소방산봉수에서 강경 강경산봉수로 연결되는 봉화이다. 또한 『여지도서(輿地圖書)』에도 광두원산의 봉수는 “서쪽으로는 함열현 소방산 봉화와 통하고 북쪽으로는 은진현 강경산 봉화로 연결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광두원산봉수대는 호남 해안의 봉수대로부터 오던 봉화를 받아 충청도 강경산의 봉수대로 전달하였던 곳으로, 현재는 터만 남아 있다.

[건립 경위]

광두원산봉수대는 조선 시대에 축조된 봉수대로, 봉수는 교통과 통신이 발달되지 않았던 시대에 위급한 상황을 알리기 위해 각 지역의 산정에서 봉화를 피워 연락을 취할 목적으로 고안된 것이다.

[위치]

광두원산봉수대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 72-2번지 일원에 있다.

[형태]

광두원산봉수대의 정확한 형태는 알 수 없다.

[현황]

광두원산봉수대는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봉수대의 정확한 형태를 알 수 없다.

[의의와 평가]

광두원산봉수대는 조선 시대에 편찬된 『세종실록지리지』 및 『신증동국여지승람』과 『여지도서』에 기록된 것으로 보아 조선 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광두원산봉수대는 익산 함라 소방산 봉수에서 받아 충청남도 강경에 위치하고 있는 옥녀봉 봉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였던 통신 시설로 역사적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