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청흥정」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2084
한자 淸興亭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김미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445년연표보기 - 안침 출생
특기 사항 시기/일시 1498년[추정]연표보기 - 청흥정 건립
저자 몰년 시기/일시 1515년연표보기 - 안침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982년 - 「청흥정」 『화순 시총』에 수록
배경 지역 청흥정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성격 오언 율시
작가 안침(安琛)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에 있던 청흥정에 대해 안침이 읊은 한시.

[개설]

「청흥정」의 작가 안침(安琛)[1445~1515]의 자는 자진(子珍), 호는 죽창(竹窓)·죽재(竹齋)이며, 본관은 순흥이다. 조선 전기에 부제학·대사헌·관찰사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사신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498년(연산군 4)에 전라도 관찰사가 되었으므로, 이 시기에 청흥정을 방문했을 가능성이 높다.

시의 배경인 청흥정은 현존하지 않은 정자로 구체적으로 어느 지역에 위치해 있었는지조차 알 수 없다. 다만 『동국여지승람』에 고을 북쪽 3리에 위치한 건물로 경관이 수려하여 많은 소객(騷客)이 노닐며 감상하던 곳이라 하였고, 『화순 시총』에 이 시가 실려 있어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구성]

처음에 정자가 능주 지역에 있었음을 알려 준다. 이후 다리 근처 하얀 돌, 난간 밖의 대, 강물의 고기, 정자 찾은 새 등 청흥정을 둘러싼 경치를 섬세하게 묘사하였다.

[내용]

능성천고지(陵城千古地)[능성 천년 옛 땅에]

소쇄일정신(瀟灑一亭新)[맑고 깨끗한 정자 새롭구나]

백애교변석(白愛橋邊石)[다리 근처 하얀 돌은 자태가 곱고]

청련함외균(靑憐檻外筠)[난간 밖의 대는 언제나 푸르다]

강청어가수(江淸魚可數)[강물은 맑아 고기를 셀만하고]

야정조상친(夜靜鳥相親)[밤은 고요하고 새들이 모여 있다]

기향홍진거(起向紅塵去)[어지러운 세상으로 다시 가노라면]

환위역역인(還爲役役人)[또다시 노역에 시달리겠구나]

[특징]

신(新), 균(筠), 친(親), 인(人)의 운자를 사용하였다.

[의의와 평가]

청흥정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어 위치나 건립 시기 등을 전혀 알 수가 없다. 다만 이 시를 통해 안침이 살았던 시대인 조선 전기에 청흥정이 있었음을 알 수 있고, 아름다운 경치를 상상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